View : 1041 Download: 0

An Institutional Analysis of British and Korean Aid to Statistics

Title
An Institutional Analysis of British and Korean Aid to Statistics
Authors
진유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기숙
Abstract
Despite recent increases in statistical aid at the international level,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aid system and behavior of the individual donor countries in this field. Based on the neo-institutional approach, this thesis tried to examine aid effectiveness of the statistical field from the perspective of donor countries by using Elinor Ostrom's Institutional Analysis Framework (IAD Framework).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se whether different institutional arrangements could bring different outcomes in aid provision through comparative case studies, assuming that the aid programs of donor countries have an effect on the ownership of the recipient countries and sustainability of aid effects. The United Kingdom and South Korea were chosen for the comparative case studies. The UK has been the largest bilateral donor in the statistical field while Korea has recently expanded its statistical support as one of the emerging dono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wo countries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aid provision for statistical capacity building while sharing some similar pictures in having institutional limitations. Both the UK and South Korea were providing statistical aid not only to response to the needs of the recipient countries but also to meet their domestic motivations. The countries’ current statistical aid system has been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settings of the country. This has led to common institutional problems inherent in their statistical aid system. Motivational and informational problems arising from the emergence of incentives of the actors in the aid system have been identified, respectively. Nevertheless, the UK has shown itself to be able to address, to some extent, the recognition of these individual actors' incentives, as well as the institutional mechanisms to cope with them. These institutional measures could ensure ownership of the recipients and sustainability of the aid outcomes of the country. In Korea, on the other hand, under the fragmented aid system, due to the administrative autonomy granted to the individual ministries as well as bureaucratic constraints applied to them at the same time, it is found that institutional problems were generated in a way that the actors could purse their own incentives within the aid system. Institutional measures to address the issues have been insufficient, which has eventually been limited to bring more desirable aid outcomes with ownership and sustainab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response to the need for improving statistical aid in Korea despite its achievement in scale over the last several years. In order for Korea's statistical aid to be more effective, the research suggested the ways of ensuring ownership of the recipient countries by establishing long-term relationship with them and by engaging them into every process of aid provision including mutual evaluation, which could lead the sustainability of aid outcomes with more responsibility of them. At the same time, it was recommended to diversifying aid modalities in cooperation with other donor organizations or aid agencies so that it can have more flexibility in managing the aid programs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최근 국제사회의 통계 원조 확대에도 불구하고 개별 공여국의 원조 체계와 행태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신제도주의 접근에 기반한 E. Ostrom의 제도 분석틀(IAD Framework)을 활용하여 통계 분야 원조 효과성을 공여국의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공여국의 원조 제도가 수원국의 주인의식(ownership)과 원조 효과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하에 개별 공여국 간의 서로 다른 원조 제도가 가져올 수 있는 결과의 차이를 비교 사례 연구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례 연구 대상으로는 OECD 국가 중 통계 분야에 가장 많은 양적 지원을 하고 있는 영국과 신진 공여국으로 최근 지원을 확대하고 있는 한국을 선택하였다. 연구 결과, 영국과 한국은 모두 각 국가가 지닌 행정적 또는 제도적 제약에 따라 현재의 통계 원조 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었으며, 수원국의 요구 뿐 만 아니라 국내적 동기에 따라 통계 원조를 제공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체계 안에 내재적인 제도적 문제점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원조 제도 내 행위자들 간 상호작용 과정에서 각 행위자들의 유인(incentives)이 발현됨에 따라 동기(motivational) 측면과 정보(informational) 측면의 문제들이 공히 발견되었다. 그런데 영국은 이러한 개별 행위자들의 유인 발현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수원국의 주인의식과 사업 효과성을 지속가능하게 하는 등 어느 정도 성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반면 한국의 경우 분산형 원조 제도 하에서 개별 부처는 행정적 자율성이라는 기회와 동시에 제도상의 제약이라는 한계를 가지며, 이로 인해 각 행위자들은 자신들의 유인을 추구하는 행태를 지속하고 있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수원국의 주인의식과 원조 효과의 지속가능성을 제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통계 원조가 원조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수원국의 주인의식을 고취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즉 장기적 관계 수립, 공동 성과관리 및 사업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타 공여국 및 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자원관리의 효율성 확보, 다양한 원조 방식의 도입을 통한 원조 자원의 다각적 관리 방안 등을 제도적 개선사항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통계 원조가 그간의 양적 성장에 비해 사업 효과성 측면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구체적인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