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8 Download: 0

스포츠 상황의 도덕적 가치판단에 SNS사용이 미치는 영향

Title
스포츠 상황의 도덕적 가치판단에 SNS사용이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NS on Moral Value Reasoning in Sports Situation
Authors
오진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함정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d in clarifying the effects of SNS on moral value reasoning for sports situation and proposing the appropriate SNS usage for adolescents and establishing healthy sports SNS culture. The subject of research was people in their 20’s who use Facebook, Instagram and Twitter which were the most active communicative SNS platforms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The original sample consisted of 370 people, selected by using Convenience Sample Method. Subtracting surveys that lacked reliability and information, valid sample came down to 300 people. To follow up o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 statistic program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3.0 was used to conduct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If it showed effects in one-way analysis of varianve, Sceffe test was used to post-test the hypothesis. The effects of usage of SNS by people in their 20’s on moral value reasoning were as follow. First, moral value reasoning of SNS users in their 20’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statistics. When i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subject, women in their 20’s had higher level of moral value reasoning compared to men in their 20’s. Also, when analyzed by age groups, age 25-29 had higher moral value reasoning than age 20-24, bu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s. Second, moral value reasoning was analyzed by the subjects’ participation in sports. Personal sports games tended to have higher moral value reasoning than groups sports games without any meaningful effects. When analyzed by the frequency of playing sports, the order of moral value reasoning came to 4 days a week, etc (more than 5 days a week), 3 days a week, 2 days a week and 1 day a week. Also, the level of moral value reason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urs spent to participate in sports provided high levels in ‘more than 4 hours’ and ‘3~4 hours a day.’ There was no meaningful changes in the level of moral value reasoning when analyzed by the time spent participating in sports. Third, moral value reasoning was measured by the forms of usage of SNS by the subjects. When analyzed by the frequency of access, those who access more than the average number of access showed higher levels of moral value reasoning. Disclosing personal information did not have any meaningful effect on moral value reasoning, while the time using SNS did show that ‘3 years’ and 2~3 years’ showed high levels. Also, while there was no effect when analyzed by using sports related SNS media, ‘2 hours’ on sports related SN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moral value reasoning. There was no meaningful change on moral value reasoning affected by the SNS use time. When all of the aforementioned are considered, gender, participation frequency, SNS access frequency, use time of sports SNS had positive and meaningful effects on moral value reasoning on different situ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SNS has to work as a platform to establish moral standards, going above its original role of providing and sharing information. Also, SNS has to be used as a communicative space where adequate sportsmanship and fair play linger amongst people who enjoy sports. ;본 연구의 목적은 SNS사용이 스포츠 상황의 도덕적 가치판단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 20대의 올바른 SNS 활동 및 건전한 스포츠 SNS 문화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통계에 따라 SNS서비스사별 가장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히 일어나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트위터를 사용하는 20대 남녀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표본의 경우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e Method)을 사용하여 추출하였으며, 표집된 총 표본은 370명이었으나 신뢰가 떨어지고 내용이 부실한 자료는 제외하고 실제 자료처리를 위한 유효 표본은 300명이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분산분석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시, Scheffe test로 사후검정을 시행하였다. 20대의 SNS사용이 스포츠 상황의 도덕적 가치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NS를 하는 20대 남녀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을 분석해 보았다. 먼저, 남녀성별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 차이는 20대 여성이 20대 남성보다 도덕적 가치판단의 수준이 높게 도출되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또한, 연령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의 차이는 25-29세가 20-24세의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보다 높게 도출되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드러나진 않았다. 둘째, SNS를 사용하는 20대 남녀의 스포츠 참여 형태별로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을 분석해 보았다. 스포츠 참여종목 유형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의 차이는 개인종목에 참여하는 20대 남녀가 단체종목에 참여하는 20대 남녀의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의 차이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스포츠 참여빈도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의 차이는 주4회, 기타(주5회 이상), 주3회, 주2회, 주1회 순으로 높게 드러났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스포츠 참여시간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의 차이는 4시간 이상, 3∼4시간 이상이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스포츠 참여기간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SNS를 사용하는 20대 남녀의 각 SNS사용 형태별로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을 분석해 보았다. 먼저, 접속빈도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차이는 접속빈도가 20대 하루 평균접속을 넘어갈수록 도덕적 가치판단이 높게 나타났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SNS개인정보 공개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SNS사용기간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의 차이는 3년 이상과 2∼3년 미만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스포츠 SNS사용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스포츠 SNS사용시간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의 차이는 1시간∼1시간 30분과 1시간 30분∼2시간 미만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2시간 이상이 가장 높은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을 보였다. 스포츠 SNS사용기간에 따른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종합해보면 성별, 스포츠 참여빈도, SNS접속빈도, 스포츠 SNS사용시간은 스포츠 상황의 도덕적 가치판단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SNS사용과 스포츠 상황에서의 도덕적 가치판단은 전반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이다. 기존 선행연구들 중에는 스포츠와 도덕적 가치판단 상황의 유의미성과 관련 된 논문들이 많았다. 하지만 이 논문은 SNS사용과 스포츠 상황에서의 도덕적 가치판단이라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SNS의 활동이 기존의 단순한 정보의 공급 및 공유의 범위에서 나아가, 도덕성의 기준을 바로잡는 토대가 되어 사회발전을 위한 공간이 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SNS 공간은 여러 사람과 함께 스포츠를 즐기면서 올바른 스포츠맨십 및 페어플레이가 건전히 형성된 소통 문화의 공간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