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0 Download: 0

안현정 작곡 남창가곡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흐르고 흐르노니> 분석 연구

Title
안현정 작곡 남창가곡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흐르고 흐르노니>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 Analytical Study of for Namchang Gagok and orchestra Composed by Ahn Hyun-Jung
Authors
서현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for Namchang Gagok, a Korean classical long lyric song cycle sung by man, and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It is composed by Ahn Hyun-Jung and one of the prominent trends of her works is description of nature. is a programme music describing water in three movements. The first, second and third movements are titled ‘Ford’, ‘Moon over Water’ and ‘Flow and Flow’ e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composition technique and motive of a programme music by analyzing melody, rhythm and musical motifs. For this, I first divided each movement into phases and sub-phas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beat, tempo, tonality, rhythm and musical motif. Then, I analyzed rhythmic and motivic characteristics of each sub-phase based on musical form and melody. In addition, to understand how traditional elements are used as programme elements, I studied and compared it with the second movement of . From these analysis, I was able to determine some musical and rhythmic forms from each movement and find out abstract and programme meanings out of them.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First, the first movement ‘Ford’ of comprises 105 measures and it is divided into 7 phases and sub-phases. And melody of ‘Namchang Gogok’ has not yet appeared. The harmony and ostinato musical motif appear as a form of homophony, while consecutive appearance of wind instruments and Heageum, melody of counterpoint and circle canon appear as a form of polyphony. Second, the second movement ‘Moon over Water’ comprises 128 measures and it is divided into 9 phases and sub-phases. , a traditional Korean song, is quoted in this 2nd movement. The lyric of ‘Pyeong-Rong’ has a programmatic characteristic which is describing nature-friendly culture of the Sa-Dae-Bu(士大夫), the gentry of the Joseon Daynasty period.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both ‘Pyeong-Rong’ and the second movement ‘Moon over Water’ is the accompaniment of orchestral music. The second movement instructs different methods of expression based on different expression marks, whenever there are changes in musical motif of accompaniment. The orchestral music is played in homophony style, while the vocal melody, wind instruments and Haegeum are played in heterophony style. Third, the third movement ‘Flow and Flow’ comprises 149 measures and it is divided into 11 phases and sub-phases. These 11 phases can be divided again into 3 parts – part A, B and C. In part A, there are several changes of tonality and some sorts of rhythmic patterns (a, b, c, d) are repeated. In the next part B, melody of Namchang Gagok starts to come out. The last part C is the cadenza of Namchang Gogok solo and the song is completed with the rhythm c of the part A coming out again. Fourth, the followings are the rhythms and musical motifs used as expressive musical elements of programme music for each movement. 1) 1ST movement - Repeated note (Tremolo). Disjunct motion of broken chod with short time value and the ostinato. 2) 2nd movement - Repeat of 󰁜 rhythm and quick performance of Arpeggio technique. 3) 3rd movement - 4 rhythmic patterns : rhythmic pattern a is Glissando Technique and rhythmic pattern b is Trill Motif. Rhythmic pattern c is Arch Type Broken Chod and rhythmic pattern d is Division Rhythm. These rhythmic patterns are describing a drop of water, wave, the flow and movement of water. The auditory elements like intervals, time value, rhythm, progression of note and shape of melody are making visual elements, feeling and atmosphere of water. Besides, the lyric showing nature-friendly culture, articulation, technique of play are used as expressive musical elements of programme music as well.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some composition methods and ideas to composers who attempt to make new tendency by u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hat reveals the flavor and beauty of Korea. In the contemporary times when Korean traditional music encounters various genres of music, I look forward to the creation of good works that will keep the spirit of Korean art. music describe the water. it's consists of Three movements .6 Each has a subtitle 1st. (first movement) ‘Ford’ 2nd.(second movement) ‘Moon over water’ 3th (Three movement) ‘Flow and flow’;본 논문은 작곡가 안현정의 남창가곡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흐르고 흐르노니>를 분석 연구한 것이다. <흐르고 흐르노니>는 표제적 성격의 곡(표제음악(標題音樂), Programme music)으로 1악장 ‘여울’ 2악장 ‘물에 비추인 달’ 3악장 ‘흐르고 흐르다’의 3악장으로 구성되었다. 본 논문은 <흐르고 흐르노니>의 ‘표제음악적 특징’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다섯가지 분석방법이 사용되었는데 첫째, ‘작곡가 안현정의 음악관’을 알아보고 <흐르고 흐르노니>의 ‘작품해설’, ‘관현악편성(管絃樂(編成)’을 파악한다.둘째, ‘기(起)-승(承)-전(轉)-결(結)’의진행, 박자(拍子), 빠르기(速度, Tempo), 음형(音形, Figure)에 의해 단락(段落, Paragraph)과 부분(部分,Sentence)으로 나눠 ‘악곡 형식(樂曲形式, Musical Form)’을 파악한다. 셋째, 각 단락의 출현악기(出現樂器)와 선율전개(旋律展開) 및 음악적 특징을 통해 ‘음형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파악한다. 넷째, 남창계면조(男唱界面調)<평롱(平弄)>이 인용된 ‘<흐르고 흐르노니>의 2악장’과 ‘남창계면조 <평롱>’ 두 곡을 비교 분석하여 ‘작곡가의 새로운 해석’을 파악한다. 다섯째, <흐르고 흐르노니>의 ‘음형’, ‘연주기법(演奏技法)’을 통한 표제적의미를 분석한다. 위의 여러 분석을 통해 도출(導出)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현정은 전통음악(傳統音樂)과 다양한 예술장르(Genre)를 결합시켜 넓은 범위의 예술로 창조하는 작곡가로 남창계면조 <평롱>을 인용하여 표제음악 <흐르고 흐르노니>를 창조하였다. <흐르고 흐르노니>는 ‘물’과 관련된 다양한 모습을 표현하는데 1악장은 ‘물살이 급격히 움직이는 여울목(湍)의 모습’을 2악장은 ‘남창가곡 <평롱>의 원 선율을 살리며 서정적인 노래와 색채감 있는 관현악의 조화’를 3악장은 ‘남창가곡의 소리와 관현악의 대비를 통해 끊임없이 흐르고 흐르는 풍요와 정처없이 흐르는 우리 삶의 다양한 면’을 나타낸다. 7종의 관악기(管樂器)군, 3종의 찰현악기(擦絃樂器)군, 2종의 발현악기(撥絃樂器)군, 1종의 타현악기(打絃樂器)군, 2종의 유율타악기(有律打樂器)군, 11종의 타악기(打樂器)군으로 모두 26종의 악기가 출현하며 남창가곡(男唱歌曲)의 선율은 2.3악장에 전개된다. 둘째, <흐르고 흐르노니>의 1악장(一樂章)은 총 105마디(Mesure)로 7개의 단락과 각 부분으로 나뉘며 <기→승→전→승→결>로 진행한다. Tempo와 악상(Dynamic)의 변화는 시작→전개→긴장→절정→결말을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로 1악장은 ‘4/4박자, 느린 Tempo♩=40’ p 악상으로 시작하여 ‘3/4박자, Tempo♩=50’으로 박자와 속도가 변해 ‘Tempo♩=80’까지 빨라지고 ff 악상으로 악장을 마무리한다. 2악장(二樂章)은 총 128마디로 9개의 단락과 각 부분으로 나뉘며<기→승→전→승→전→결>로 진행한다. ‘9/8박자, 느린 Tempo󰁜=50’ mp 악상으로 시작하여 ‘급격히 빨라진 Tempo 󰁜=90’ ppp 악상으로 악장을 마무리한다. 3악장(三樂章)은 총 149마디로 11개의 단락과 각 부분으로 나뉘며 <기→승→전→승→전→결>로 진행한다. ‘4/4박자, 빠른 Tempo♩=100’ ff악상으로 시작하여 ‘12/8박자, 느린 Tempo󰁜=45’로 박자와 빠르기가 변하며 ‘Tempo󰁜=82’까지 빨라진다. 그 후 ‘Tempo=70→󰁜=55’로 빠르기가 느려지며 마지막 단락은 ‘4/4박자’로 박자가 변하는데 ppp 악상으로 악장을 마무리한다. ‘음형’은 리듬(Rhythm), 음정간격(音程間隔), 선율진행(旋律進行)에 의해 다섯가지로 나뉘는데 첫째, 주어진 박자 안에서 분할(分割)된 리듬으로 ‘같은음(同音)을 반복하는 음형’ 둘째,상대적으로 넓은 음정간격(멜로딕 인터벌, Melodic Interval)의 ‘펼침화음(Broken Chord,分散和音) 음형’ 셋째, 좁은 음정간격의 음들을 빠르게 반복하는 ‘Trill 음형’ 넷째, 수평(水平)적으로 흐르는 선율(Melody)의 ‘Line 음형’ 다섯째 ‘반음계(Chromatic Scale) 하행(下行)음형’으로 나뉜다. 셋째, <흐르고 흐르노니>의 선율은 수평(水平)적 선율의 ‘Polyphony’, ‘Heterophony’ 수직(垂直)적 선율의 ‘Homophony’로 전개된다. ‘음형’은 ‘나타냄말(Expression marks)’ ‘표현기법(Articulation) ’ ‘악상(Dynamic)’에 의해 ‘시작→전개→긴장→절정→결말’의 각 단락의 분위기를 조성한다. <흐르고 흐르노니>에 사용된 ‘연주기법(演奏技法)’으로 ‘Tremolo 주법’ ‘Trill 주법’ ‘Arpeggio 주법’ ‘Gliss 주법’ 대금의 ‘Tonguing 주법’ 거문고의 ‘진획 주법’ ‘살갱 주법’ ‘싸랭주법’ 소아쟁과 대아쟁의 ‘Pizz. 주법’ ‘Arco 주법’이 있다. 넷째, 8/9박자의 ‘<흐르고 흐르노니> 2악장’은 16박을 한 장단(長短)으로 하는 ‘남창계면조 <평롱>’과 ‘가사’, ‘전개구조, 선율이 유사하지만 ’<흐르고 흐르노니> 2악장‘은 <평롱>에서 저음역(低音域)로 하행하여 종지(終止)한 선율을 옥타브(Octave)를 높여 Climax.를 설정하고 5장의 이두(二頭) 후에 따로 진행선율을 두어 2악장을 마무리한다. 2악장 ‘물에 비추인 달’은 Homophony, Heterophony의 선율진행이 나타나며 남창가곡의 ‘가사(歌詞)적 요소’ ‘선율적 요소’ ‘나타냄말’ ‘음형의 변화’를 통해 ‘물’의 여러 가지 모습이 잘 표현된다. 다섯째, <흐르고 흐르노니>에 전개된 ‘음형’과 ‘연주기법’은 ‘물’을 표현하는 표제음형(標題音形)과 연주기법으로 사용되었다. ‘같은음을 반복하는 음형’ ‘Flutter Tonguing 주법’ ‘Tremolo 주법’ 은 ‘물방울’을 표현하는 ‘물방울 음형’이며 ‘펼침화음 음형’ ‘반음계 하행 음형’ ‘Trill 음형’ 표기(表記)에 의한 (Tr.)‘Trill 주법’ ‘Arpeggio 주법’ ‘Gliss 주법’ 거문고의 ‘진획 주법’은 ‘여울’을 표현하는 ‘여울 음형’이고 ‘Line 음형’은 흘러가는 ‘물줄기’를 표현하는 음형이다. 나타냄말, 표현기법, 악상은 표제대상(‘여울’, ‘물방울’, ‘물줄기’)의 다양한 모습을, ‘리듬’ ‘음역’ ‘음의 진행방향’은 표제대상의 진행 속도, 음색과 음역에 의한 긴장, 진행방향을, 또한 ‘순차진행, 반음계의 좁은 음정간격’ ‘도약진행의 넓은 음정간격’은 표제대상의 넓고 좁은 폭을 표현한다. 본 논문을 통하여 표제음악의 작곡적 구상과 방안에 도움이 되길 기대하며 또한, 전통음악을 소재로 작곡가의 음악관이 반영된 새롭고 혁신적인 작품들이 많이 탄생하여 한국음악에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