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9 Download: 0

북한 『가야금 교칙본』에 수록된 계면·량청·우조 분석연구

Title
북한 『가야금 교칙본』에 수록된 계면·량청·우조 분석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Gemyeun’, ‘Ryangchung’ and ‘Ujo’ listed in of North Korea : in comparison with the melodies of CheonNyeon-ManSae of the National Gukak Center
Authors
조아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본고는 1966년 북한에서 출판된 『가야금 교칙본』에 수록된 계면·량청·우조와 남한의 국립국악원에서 출판된 『한국음악 제5집: 중광』에 수록된 천년만세(千年萬歲)를 비교하여 악곡의 형식과 선율의 구성 및 리듬 유형을 분석연구 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가야금 교칙본』에 수록된 계면·량청·우조의 악곡 명칭과 장의 구성을 살펴본 바, 남한과 북한에서 각각 사용하는 악곡의 명칭이 다르며 악곡의 분장방식 또한 차이가 있다. ‘현악영산회상’, ‘중광지곡’, ‘줄풍류’ 등 다양한 이름이 혼용되는 남한과는 달리 북한은 ‘령산회상’ 하나만 사용한다. 부분 악곡의 명칭도 국립국악원의 『한국음악 제5집: 중광』에서는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로 곡의 명칭이 사용되는 반면 북한의 『가야금 교칙본』에서는 ‘계면’, ‘량청’, ‘우조’라는 명칭이 사용된다. 또한 장의 구성의 경우 국립국악원의 『한국음악 제5집: 중광』에서는 계면가락도드리를 제외하고 양청도드리와 우조가락도드리가 총 7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북한 『가야금 교칙본』의 계면·량청·우조는 모두 장의 구분이 없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세 악곡의 동일선율, 유사선율, 상이선율을 살펴본 결과 계면과 우조의 경우 유사선율의 비율이 높고 양청의 경우는 상이선율의 비율이 높다. 북한 『가야금 교칙본』의 계면과 국립국악원 『한국음악 제5집: 중광』의 계면가락도드리는 유사선율이 85.36%이며 상이 선율은 14.64%로 유사선율의 비율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량청의 경우 상이선율이 77.19%, 유사선율이 22.81%로 상이한 선율이 더 많다. 그 이유는 국립국악원 『한국음악 제5집: 중광』의 양청도드리 리듬이 1음 1박으로 진행하는 반면, 북한 『가야금 교칙본』의 량청은 산조 주법이 사용되어 리듬의 분할과 주법의 변화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북한의 우조의 경우 국립국악원의 우조가락도드리 선율과 비교하여 유사 선율이 100%에 달하며 가장 유사한 선율을 구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계면과 량청 그리고 우조 세 악곡 모두 동일한 선율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원인에는 북한의 계면·량청·우조를 연주할 때 산조가야금에 1현을 더한 13현 가야금을 사용했고 그 연주법이 산조와 유사하다는 점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북한 『가야금 교칙본』의 선율에서는 ‘사랭’, ‘튀기는법’, ‘미닥법’등의 연주법을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꾸밈음 형식의 리듬 분할이 지속적으로 출현한다. 이러한 선율의 구성은 줄풍류 연주시 정악의 연주법이 아닌 산조와 민속악적 연주법을 활용하였고, 그로 인해 북한 선율에서 분박이 발생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The dissertation is about a comparative study between ‘Gemyeun’, ‘Ryangchung’ and ‘Ujo’ listed in , the manual of Gayageum published in North Korea in the year of 1966, and ‘CheonNyeon-ManSae’ listed in , published by the National Gukak Center of South Korea. The study focuses on the forms of the musical pieces, structures of the melodies as well as types of the rhythm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way the musical pieces are titled and structured. Whereas a variety of names such as ‘HyunakYoungsan Hoesang’, ‘Joong Gwang Jikok’ or ‘Julpungnyu’ are being used interchangeably in South Korea, ‘Youngsan Hoesang’ is the only name used in North Korea. In terms of the title of the sub pieces, they are classified into ‘Gemyeun’, ‘Ryangchung’ and ‘Ujo’ in North Korea’s whereas they are named as ‘Gemyeun-garak-dodeuri’, ‘Yangcheong-dodeuri’ and ‘Ujo-garak-dodeuri’ by the National Gukak Center’s .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the musical pieces, in the National Gukak Center’s , ‘Yangcheong-dodeuri’ and ‘Ujo-garak-dodeuri’ except for ‘Gemyeun-garak-dodeuri’ each consists of 7 chapters. On the other hand, in North Korea’s , no such composition of chapters is found. Second, a comparative study of the three musical pieces which categorized the melodies into identical, similar and disparate melodies shows that there is high level of similar melodies in the cases of ‘Gemyeun’ and ‘Ujo’ whereas there is high level of disparate melodies in the case of ‘Ryangchung’. A comparison of melodies between ‘Gemyeun’ of North Korea’s and ‘Gemyeun-garak-dodeuri’ of the National Gukak Center’s shows much higher level of similar melodies with 85.36% of similar melodies and 14.64% of disparate melodies. In the case of ‘Ryangchung’, there is higher level of disparate melodies with 77.19% of disparate melodies and 22.81% of similar melodies. This results from the disparity that ‘Yangcheong-dodeuri’ of the National Gukak Center is performed on a single note-single beat basis, whereas NorthKorea’s is performed with Sanjo style of frequent rhythmic segmentations as well as changes in playing techniques. ‘Ujo’ shows the highest level of similarity with almost 100% similar melodies with those of the National Gukak Center’s. Third, no identical melody was found from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three musical piece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when they perform ‘Gemyeun’, ‘Ryangchung’ or ‘Ujo’ in North Korea, they play the thirteen-stringed Gayageum which adds one more string to the Sanjo Gayageum and that the playing technique is similar to that of Sanjo. In North Korea’s , a variation of rhythms in the form of ornaments which techniques are deemed as ‘Saraeng’ , ‘Tuiginun-bup’ or ‘Midak-bup’ is frequently found. Such structures of melodies result from the fact that they applied techniques for Sanjo and folklore music as opposed to those for Jungak when performing Julpungnyu in North Korea, which is bound to incur division of bea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