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8 Download: 0

고채도 색채의 채도 증가와 광택도에 따른 감성

Title
고채도 색채의 채도 증가와 광택도에 따른 감성
Other Titles
Emotions according to the Increased Chroma and Glossiness of High-Chroma Color
Authors
이다솜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채도 색채의 사용이 확대되고 채도가 더욱 높은 색채를 사용하는 경향에 따라 고채도 색채의 채도가 증가할 때 상관관계를 갖는 감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채도 색채를 7가지 색상으로 분류하여 고채도 색채의 채도가 증가할 때 상관관계를 갖는 감성 어휘를 분석하였다. 또한 광택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유광, 무광 자극물에서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채도 영역에서는 전체적으로 ‘강한’,‘선명한’,‘개성 있는’, ‘동적인’, ‘화려한’감성이 크게 느껴졌다. 또한 감성 어휘별 분석을 통해 색상별로 채도가 증가할 때 상관관계가 높은 감성의 종류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색상별 분석 결과 색상에 따라 고명도, 중명도~고명도, 중명도~저명도 방향으로 채도가 증가하였다. 고명도 방향으로 채도가 증가하는 Y색상에서는 ‘따뜻한’, ‘선명한’감성이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중명도~고명도 방향으로 채도가 증가하는 R, YR, GY, RP색상에서는 ‘강한’, ‘개성 있는’ 감성이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중명도~저명도 방향으로 채도가 증가하는 B, P색상에서는 ‘강한’감성이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광택도에 따른 감성 평가 결과 유광, 무광에서의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색상별로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감성의 종류가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선명한’ 감성은 Y색상의 유광 자극물, GY색상에서는 무광 자극물에서 크게 느껴졌다. 또한 ‘성숙한’ 감성은 B, P색상의 평면 자극물보다 유광, 무광 자극물에서 크게 느껴졌다. 이를 통해 색상과 광택도가 상호작용하여 감성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본 원색의 고채도 색채 감성 연구를 넘어 보다 세밀하고 확대된 고범위의 색채 감성을 다룬 것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후속 연구를 통해 보다 체계적으로 색 자극물을 선정하고, 광택 이외의 재질 특성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더욱 발전된 연구가 진행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With the tendency of the increased use of high-chroma colors and higher chroma colors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this study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ise of chroma of high-chroma colors and emotions. This study classified high-chroma colors into seven colors and analyzed emotional vocabulary with correlation to the increase of chroma of high-chroma colors.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gloss, the differences in gloss and matte stimuli were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domain of high chroma , emotions of 'strong', 'vivid', 'distinctive', 'dynamic', and 'glamorous' were strongly felt. Also, the emotional vocabulary analysis showed that the types of emotions with high correlation varied when the chroma increased by hue. As a result of analysis by hue, the chroma increased in the direction of high brightness, middle brightness ~ high brightness, middle brightness ~ low brightness depending on the hue. For Y hue with increasing chroma in the direction of middle brightness ~ high brightness, the emotions of 'warm' and 'clear' were positively correlated. For R, YR, GY, and RP hues with increasing chroma in the direction of middle brightness ~ high brightness, the emotions of 'strong' and 'distinctive' were positively correlated. For B, P hues with increasing chroma in the direction of middle brightness ~ low brightness, the emotion of ‘strong’ were positively correlated. Emotion evalu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gloss revealed no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gloss and matte. However, the types of emotions differed by hue. In particular, the emotion of 'vivid' was highly felt in the Y hue glossy stimuli and in the GY hue matte stimuli. Moreover, the emotion of ‘mature’ was highly felt in the glossy and matte stimuli than the B, P hue plain stimuli. That is, it was found that hue and the degree of gloss interacted with each other to affect the emotion evaluation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cover the color emotions of high range in a close and expanded manner beyond the existing studies on the color emotions centered on basic primary colors. Future studies that select color stimuli more systematically and consider interactions with material properties other than gloss may further advance the field of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