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2 Download: 0

컨텍스트를 적용한 문화관광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컨텍스트를 적용한 문화관광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Contextual Design of Cultural Tourism Product : Focused on Culture of Jeju Haenyeo
Authors
좌유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정
Abstract
본 연구는 사라져 가는 인류무형문화유산 제주해녀문화의 전승과 보존을 위해 제주해녀문화의 유산적 가치를 문화관광상품의 사용자 환경에서 이해하고 정서적 공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컨텍스트를 적용하여 제주해녀 문화관광상품 디자인을 개발해 제안한다. 제주해녀문화는 제주의 바다를 터전으로 생업활동을 하며 살아온 제주 여성들의 삶이라고 할 수 있다. 아무런 공기 공급 장비 없이 맨몸으로 무자맥질하여 해산물을 채취하는 물질기술과 공동체 문화, 민속지식, 무속신앙, 해녀노래, 물옷과 물질도구 등의 유·무형적 소산들이 제주해녀문화를 이루고 있다. 이는 유산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아 2016년 11월 30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되어 제주해녀문화의 유산적 가치를 대내외적으로 인정받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하지만 제주해녀문화를 보존하고 지키려는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제주해녀의 숫자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매년 줄어드는 개인소득으로 인해 신규 해녀의 자원 수가 드물어 고령의 해녀 수만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는 제주해녀가 살아있는 유산(Living Heritage) 그 자체이기 때문에 해녀의 숫자가 감소하고 고령화로 인해 그들의 기억이 사라진다는 것은 제주해녀문화가 사라질 수 있는 위험한 위기에 놓여 있다는 의미이다. 이를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제주해녀문화의 전승과 보존을 위해 제주해녀 문화관광상품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해당 상품에 내포되는 제주해녀문화 콘텐츠는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에서 높게 평가된 유산적 가치를 근거로 구성하였다. 이는 제주해녀문화의 발생지 제주지역에서의 독특한 문화 정체성과 자연 친화적인 어업방식을 통한 자연과 공존하는 삶의 방식에 주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으로 본 연구에서는 제주해녀문화의 문화 정체성 형성이 제주 바다의 장소성에 기인하는 것을 착안해 제주 바다의 장소성을 토대로 형성된 제주해녀문화의 문화콘텐츠를 함축적으로 보여 줄 수 있는 매개체로 제주해녀의 물질도구‘테왁'을 선정하였다. 테왁은 해녀들이 부력을 이용하여 수면에서 이동하거나 물질을 하는 중간에 호흡을 고를 때 지탱해주는 도구이다. 바다 위 떠 있는 테왁은 해녀들에게 생과 사를 넘나드는 고된 물질에서 삶으로 향하는 이정표와 같고, 망망대해에서 유일한 안식처가 되어준다. 그리고 해산물로 가득 채워진 테왁 망사리를 해녀들이 이고 갈 때면 그들의 어깨에 짊어진 삶의 무게처럼 느껴지게도 한다. 연구자는 이같이 테왁을 통해 투영되는 제주해녀의 삶을 현대인의 눈높이에 맞춰 정서적 공감을 형성하고, 제주해녀에 대한 이질감을 낮춰 제주해녀문화의 인식을 제고 하고자 디자인 컨셉을 ‘테왁'으로 정하고 제주해녀 문화관광상품을 디자인 개발하였다. 이에 앞서, 시중에 판매되는 제주해녀 문화관광상품 개발현황을 사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대체로 장식품 위주의 제주해녀를 표면적으로 표현한 상품이 많았다. 이를 통해 기존에 개발된 문화관광상품에서 제주해녀문화의 유산적 가치를 전달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인식해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디자인 접근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로 인해 문화관광상품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제주해녀문화를 이해하고 정서적 공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 환경까지 고려하여 디자인하는 컨텍스트적 디자인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컨텍스트를 적용한 문화관광상품 디자인은 그 대상뿐만 아니라 사용자를 중심으로 그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통해 해당 문화의 유산적 가치를 진정성 있게 전달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컨텍스트를 적용한 문화관광상품 사례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이다. 컨텍스트를 적용한 문화관광상품의 사용자는 상품과 주변 환경에 의해 어우러진 시각적 이미지와 제공되는 창의적 경험을 통해 문화적 메시지를 인지하고 정서적 공감 형성을 통해 해당 문화에 애착을 갖게 한다. 이는 문화관광상품을 통해 일상생활에서도 쉽고 친근하게 문화콘텐츠를 인지하고 각인시켜 기억에 오래 남기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컨셉인 '테왁'의 상징성과 제주문화콘텐츠를 컨텍스트적 디자인 접근 방법으로 제주해녀 문화관광상품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해녀 문화관광상품 개발을 통해 제주해녀문화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고 컨텍스트를 적용한 문화관광상품 디자인 개발 사례로서 새로운 접근방법을 모색하는 데 의의가 있다.;This study is intended to inherit and preserve the culture of Jeju Haenyeo, a vanishing cultural heritage. To that end, the researcher intends to develop and suggest cultural tourism products related to Jeju Haenyeo by applying contexts so that the users of such products are able to understand the cultural values ​​of Jeju Haenyeo and develop emotional connections.  The culture of Jeju Haenyeo can be defined by the life of Jeju women who have been living on bread-and-butter jobs in the sea of Jeju. The culture of Jeju Haenyeo is composed of Muljil techniques, such as free diving to collect seafood, and tangible and intangible products, such as community culture, folk knowledge, shamanistic belief, songs of Haenyeo, Mulot and tools for Muljil. With its cultural value recognized both at home and abroad as a heritage, the culture of Jeju Haenyeo was listed on the UNESCO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on Nov 30, 2016. Despite these efforts to preserve and protect the culture of Jeju Haenyeo, the number of Jeju Haenyeo people has been steadily declining. The cause of this decline is the declining annual personal income, which has significantly reduced the new generation of Haenyeo and in turn resulted in a mostly older Haenyeo population. Since Jeju Haenyeo culture is ‘living heritage’itself, the decreased number of Haenyeo and the disappearance of their memory due to aging means that the culture of Jeju Haenyeo is in danger of disappearance. Based on this backgroun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intends to develop the design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related to Jeju Haenyeo for the purpose of inheriting and preserving the culture of Jeju Haenyeo. The researcher has composed the cultural contents of Jeju Haenyeo connoted in the products based on cultural value evaluated highly by the Intergovernmental Committee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is focused on the way of life coexisting with nature through unique cultural identity and nature-friendly fishing in the Jeju area with the culture of Jeju Haenyeo. From this perspective, the researcher selected Taewak, which is the tool for Muljil, as a medium that can implicitly show the cultural contents of Jeju Haenyeo which have been formed on the basis of the formation of the cultural identity of Jeju Haenyeo being in close proximity to the Jeju sea. Teawak is a tool intended to help Haenyeo people move on the surface of the water by using its buoyancy or to breathe during ‘Muljil’. Teawak floating on the sea is like an achor to life during difficult Muljil while hovering between life and death. It becomes a resting place in the open sea. When Haenyeo people carry Mangsary filled with seafood on the head, it feels like the weight of their lives. The researcher intends to enhance the image of the culture of Jeju Haenyeo by forming an emotional connection to people by placing the life of Jeju Haenyeo projected through Taewak at the modern person’s eye level and lowering the sense of heterogeneity for Jeju Haenyeo.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developmental state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related to Jeju Haenyeo prior to design development, the researcher has visualized the surface image of Jeju Haenyeo. Realizing there is a limit to the transmission of the cultural value of Jeju Haenyeo through this, the researcher sought a new design approach. Therefore, the researcher has adopted a contextual design approach considering the user environment so that the user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can understand the culture of Jeju Haenyeo and connect with it emotionally. The design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while applying the context transmits the meaning of cultural value, considering not only the object but als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user.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ases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applying contexts, being able to find that the user of such products understands the meaning of the cultural value transmitted through visual perception and experiences and connects with it emotionally. This can be a design approach that achieves a high transmission of cultural meaning in everyday life. Through this way, the researcher has developed the design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related to Jeju Haenyeo by selecting items that represent the cultural contents of Teawak and Jeju Haenyeo.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sought a new approach to the design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applying context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awareness about the culture of Jeju Haenye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