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2 Download: 0

아웃토잉(out-toeing) 발레 전공자의 보행 교정 운동이 보행 시 발바닥 압력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Title
아웃토잉(out-toeing) 발레 전공자의 보행 교정 운동이 보행 시 발바닥 압력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Other Titles
The immediate effects of gait training on foot pressure of out-toeing ballet majors
Authors
이은하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it training on foot pressure of out-toeing ballet majors during gait. The subjects were 20 ballet majors between the age of 19 and 29. Independent variables were muscle exercises needed for gait training, distinguished between mat and floor exercises. Dependent variables were peak pressure on different areas of the left foot and right foot, length of contact and contact area. Foot pressure during gait was measured by pressure distribution measurement (emedⓇ-le Novel, Germany), and analyzed separately for 4 different areas of the foot: M01(hind foot), M02(mid foot), M03(fore foot) and M04(toe). The data was sorted through the Windows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using the non-parametric Friedman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was a=.05. The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A. After gait training,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peak pressure in the right fore foot and right hind foot. It appears that the training reduced the pressure in the fore foot and hind foot which was being used to propel the body forward in an out-toeing gait. B. After gait training,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ntact area of the right mid foot and the left hind foot, and in particular,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ntact area are of the toes of both the left and right foot.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otal contact area of the entire left foot and right foot. The increase in contact area of the different areas of the foot and the entire foot shows that the foot was being used more evenly after training. C. After gait training, there was a reduced difference in the length of contact between the entire left foot and entire right foot. As for different areas of the foot, the length of contact in the left hind foot and the right hind foot was also reduced, but this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Through gait training, out-toeing ballet majors were able to reduce peak pressure in their feet, but there was an increase in contact area. Additionally, in terms of length of contact, peak pressure, contact area ,there was reduced asymmetry between the left foot and right foot. In conclusion, it appears that gait training is helpful in evening out use of different foot areas on a surface, relieving pressure in specific areas and maintaining a balance between left and right foot. Out-toeing ballet major's gaiting training was helpful in efficient walking by means of redistributing the pressure and the contact area. This program focused on training the toes (13%), ankles (27%), knees (7%) and pelvis (53%), but the length of training was not long enough to correct out-toeing gait into a proper forward gait. In order to do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long term training through exercises of the gluteal group muscles and the hamstring group muscles which are related to hip rotation, and this should be studied further in the future. Also, gait training increased toe contact area, demonstrating a positive effect on the use of toes. However, this study did not assess the use of each of the individual five toes, and this is another subject to be studied in the future.;본 연구의 목적은 아웃토잉(out-toeing) 발레 전공자의 보행 교정 운동이 보행 시 발바닥 압력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를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발레를 전공한 19~29세 대학생 20명으로 하였다. 독립 변인은 보행 교정 운동에 필요한 근육 훈련으로 매트(mat)와 플로어(floor) 운동으로 구분하였다. 종속 변인은 왼발과 오른발의 부위별 최대 압력, 접촉 시간, 접촉 면적이다. 보행 시 발바닥 압력은 압력 분포 측정기(EmedⓇ-le Novel,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발바닥 압력은 후족부(M01), 중족부(M02), 전족부(M03) 그리고 발가락(M04) 4영역(mask)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자료 처리는 Window용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모수 프리드만 검정(Friedman test)방법을 이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A. 보행 교정 운동 후, 최대 압력은 오른발의 전족과 후족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팔자 보행 시 신체를 앞으로 보내기 위해 전족과 후족에 집중 되었던 압력이 감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B. 보행 교정 운동 후, 부위별 접촉 면적은 오른발 중족, 왼발 후족에서 유의하게 증가 하였고, 특히 발가락에서는 왼발과 오른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전체 발바닥 접촉 면적도 왼발과 오른발에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교정 운동 후 부위별, 전체 접촉 면적이 증가한 것으로 발바닥을 고르게 사용하게 된 것을 의미한다. C. 보행 훈련 후, 전체 발바닥 접촉 시간은 왼발과 오른발의 차이가 훈련 전에 비해 감소하였다. 부위별 접촉 시간은 훈련 전에 비해 왼발과 오른발후족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아웃토잉 발레 전공자의 보행 교정 운동을 통해 최대 압력은 감소하였으나, 접촉 면적은 증가하였다. 전체 발바닥 최대 압력, 접촉 면적, 접촉 시간에서 왼발과 오른발의 비대칭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보행 교정 운동은 지면과 접촉한 발바닥의 부위별 고른 사용과, 특정 영역에 집중된 압력 완화, 좌·우 균형 유지에 도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발가락(13%, 이하 훈련 시간 기준), 발목(27%), 무릎(7%) 그리고 골반(53%) 부위를 훈련하였으나, 오랜 기간 동안 수행된 팔자 보행을 정상 각도 범위로 교정하기에는 비교적 훈련 시간이 짧았다. 이를 위해 골반 외회와 관련된 볼기근 군, 넙다리근 군 근육 운동을 통한 장시간의 훈련이 필요하며, 이를 추후 과제로 한다. 또한 발가락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발가락 사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다섯 발가락 각각에 대한 분석을 하지 않아 이를 추후 과제로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