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7 Download: 0

섬네일(Thumbnail)을 통한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의 정보전달 효과 연구

Title
섬네일(Thumbnail)을 통한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의 정보전달 효과 연구
Other Titles
Information Delivery Effect of Thumbnails on Mobile Video Content
Authors
신영수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UX(UserExperience)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종훈
Abstract
모바일을 통한 동영상 콘텐츠 시청이 증가하면서 동영상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영역인 섬네일 영역도 점점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의 사용자가 섬네일을 통해 얻는 정보에 대한 만족도를 정확히 알 수 없으며, 섬네일의 효과적인 정보 전달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섬네일이 실질적으로 동영상 콘텐츠 시청 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동영상 콘텐츠의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현재 활용되는 섬네일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우선 이론적 고찰을 기초하여 섬네일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기존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속 섬네일 인터페이스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평가 기준 자료 중 모바일 섬네일 인터페이스에 적합한 평가 기준을 예측가능성, 일관성, 가시성, 경제성, 심미성 총 다섯 가지로 새롭게 도출하였다. 또한, 섬네일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형을 세 가지로 자동추출 섬네일, 별도제작 섬네일, 포스터 섬네일로 정의하였다. 사례분석에서는 앞서 도출한 섬네일 인터페이스 평가 기준과 세 가지 유형으로 정의한 섬네일들이 동영상 플랫폼 내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례분석 대상으로는 국내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 '티빙(Tving)'과 '푹(Pooq)', 유료 콘텐츠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왓챠플레이'와 '넷플릭스(Netflix)', 영상 업로드 플랫폼인 '유튜브(Youtube)'와 '네이버TV'를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 및 사례분석을 통하여 얻은 동영상 플랫폼에서의 섬네일 활용 현황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터뷰 및 객관적 타당성 검증을 위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현재 동영상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섬네일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사용자들은 동영상 콘텐츠 시청에 있어 섬네일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으며, 특히 뚜렷한 시청 목적 없이 프로그램을 탐색할 경우 섬네일에 대한 의존도가 훨씬 높게 나타났다. 섬네일의 외형적 형태인 섬네일 인터페이스는 정보전달 효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섬네일과 섬네일 간의 거리 확보에 의한 가독성과 무한 스크롤 등의 모바일 제스처가 사용자 정보전달에 있어 영향을 주었다. 반면, 섬네일의 이미지는 사용자가 동영상 콘텐츠 선택 시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사용자들은 콘텐츠의 장르나 섬네일의 유형과 관계없이 흥미 유발 요소를 포함하는 섬네일에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영화 포스터나 제품 광고처럼 정통미디어에서 사용하던 홍보 매체는 세련된 디자인이나 조형미 등의 심미적 요소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하지만 섬네일의 경우, 동영상의 분위기를 가장 직관적으로 전달하는 섬네일에 대해 사용자들의 선호도가 높았던 반면에 심미적 요소는 정보전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른 매체와의 차별점이 있었다. 이를 통해 가공된 이미지를 활용하는 포스터 섬네일의 경우 사용되는 영역에 대한 활용도가 높은 것에 비해 사용자들의 선호도가 낮았다. 포스터 섬네일을 주로 사용하는 OTT 서비스 플랫폼의 경우 포스터 섬네일만이 아닌 다른 유형의 섬네일도 같이 활용하여 운영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본 연구는 현재 각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섬네일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성을 종합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향후 개선 방향을 근거로 프로토타입에 대한 사용성 평가 또한 보충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The progress of mobile devices armed with high-definition and large screens has created an optimal environment for people to watch videos through these devices. And it has greatly increased the video watching time. A thumbnail belongs to the image domain but is also part of two other domains, the information domain that delivers th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text domain that delivers text-based information such as title, date, and number of views. People receive information though a thumbnail and because it leads to watching the corresponding video content, the role of the thumbnail is quite important. Currently, almost every site that deals with content on the Web shows thumbnails, and through this domain, users receive information. Compared to website interfaces of early days, the current ones allow larger thumbnail sizes; this indicates that thumbnails play a very important role for users. In addition to the interface designers, video content producers are also investing substantial time in thumbnail image production. Unlike in the past when a random image from the video was automatically extracted and shown, most thumbnails are produced separately nowadays. Furthermore, thumbnail images have diversified considerably because now a thumbnail should not only deliver the video content information properly but also attract more attention than other content thumbnails that are posted on the site. As such, thumbnails are evolving in several aspects, but a recognized problem is that no clear evidence is available whether the information is being effectively delivered to the users for video selec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ype of information delivered to users through the thumbnails in terms of video content selection and to explore if the thumbnail domain is being effectively used by the users. First, various thumbnails used on current platform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rough cases studies of video service platforms in South Korea. Based on this, we discover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platforms with respect to the interface type and the expressed image even for the same conten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users of the video service platforms,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methods used to express thumbnails and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thumbnails were effective. Based on the interviews, it was discovered that not all thumbnails were effective for conveying information, and in some cases, users even felt uncomfortable with the thumbnails present on the platforms. To retain not only the quantity but also the universality of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users of the video service platforms. In the survey result, the users showed high dependency on thumbnails for video content selection. Particularly, when searching without a specific purpose on a platform, the dependency on thumbnails was much higher. For text information as well, the users reacted more to the text present on thumbnails rather than on the text domain where only texts were entered. Unlike the case of traditional promotional media, in which aesthetic elements were important, users preferred thumbnails with high understandability that delivered content effectively, and thumbnails with excellent readability and visibility, which were more easily noticed than other content thumbnails. As such, although the users showed high dependency on the thumbnails, they still had some discomfort regarding the thumbnails created by the platforms or content producers, and in some cases, the information was not delivered properly. However, considering the current video platform environment and usability of video content, the problem is most likely to be resolv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in enabling faster searching of content for users in terms of video selection and be helpful for video content producers and media content businesses with respect to promoting their contents more effec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UX(User Experience)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