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70 Download: 0

만 5세 학급 유아들의 생활지도를 통한 긍정적 또래관계 지원

Title
만 5세 학급 유아들의 생활지도를 통한 긍정적 또래관계 지원
Other Titles
Support for positive peer relationship through guidance on the life of five-year-olds
Authors
송예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순환
Abstract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의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지원할 수 있는 생활지도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이에 따른 유아와 교사, 연구자의 반응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학급 유아들의 생활지도를 통한 긍정적 또래관계 지원 방안은 무엇인가? 2. 만 5세 학급 유아들의 생활지도를 통한 긍정적 또래관계 지원 방안에 따른 유아, 교사, 연구자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하늘어린이집 만 5세 학급 구름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구름반 유아 20명, 담임교사 1명 그리고 관찰자, 조력자, 협력자로서 참여한 연구자 1명이었다. 연구자는 담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또래관계의 어려움을 파악하고자 3월 18일부터 3월 29일까지 2주간 주 5회 오전 9시부터 오후 2시까지 구름반 유아들의 또래관계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갈등으로 인해 구름반 유아들의 전체 및 개별 유아들의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 및 유지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이에 유아들의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지원하고자 문헌연구와 교사와의 협의를 통해 문제해결을 위한 생활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3월 13일부터 5월 31일까지였으며, 이 기간 동안 연구자는 구름반 유아들의 또래관계 어려움을 관찰하고, 교사와 함께 문제점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또래관계 지원을 위한 실행과정을 계획 및 협의하여 실행하였다. 즉 만 5세 구름반에서 일어나는 유아들의 갈등양상 및 또래관계에 대한 문제점 인식에서 출발하여, 또래관계 지원을 위한 1차 실행 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및 2차 실행 방안 모색, 2차 실행, 2차 실행 평가 및 최종 평가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기간 동안 놀이 상황 및 다양한 활동 시간의 현장 관찰과 교사와의 인터뷰가 즉각적이고 연속적으로 일어났으며, 비디오 녹화, 사진, 음성녹음, 현장 약기를 현장노트로 작성하였다, 이 외에도 일화기록, 또래관계 체크리스트, 연구자 저널 작성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이를 범주화, 부호화하여 연구문제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아들의 긍정적인 또래관계 지원을 위한 생활지도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하였다. 연구자가 교사가 함께 협의한 1차 실행 방안은 하루일과 구성에서 자유놀이 시간 부족과 놀이 이름표를 사용한 놀이 영역 제한으로 나타나는 갈등을 예방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분한 자유놀이 시간을 확보하고 갈등을 유발하는 놀이 영역 제한 규칙을 제거하는 물리적 지원하기가 이루어졌고, 만 5세 구름반 전체 유아들의 또래관계 개선을 위해 친구가 좋아하는 행동과 싫어하는 행동 및 갈등 해결에 필요한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 알게 하기가 이루어졌으며, 언어적인 공격성을 보이거나 또래로부터 거부당하며 또래관계에 특별한 어려움을 겪는 유아의 개별적인 특성을 고려한 지원이 있었다. 1차 실행 방안에 대해 연구자와 교사가 함께 평가한 결과, 놀이 영역에 대한 제한을 하지 않음으로써 나타나는 놀잇감 및 공간 부족의 문제 해결과 만 5세 구름반 전체 유아들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해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할 필요성, 지속적인 개별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해 가정 연계 지원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에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의 평가를 반영하여 쌓기영역의 충분한 놀잇감 및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물리적 지원하기가 이루어졌으며, 만 5세 구름반 전체 유아들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해 또래와 함께 하는 경험 및 협동 활동 지원, 또래관계에 필요한 친사회적 기술 형성을 위해 지식과 태도 알게 하기가 이루어졌으며,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개별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에 대해 가정과의 연계를 통한 또래관계 지원하기와 불규칙적인 등원시간으로 또래관계 형성에 특별한 어려움을 겪는 개별 유아의 가정과의 연계를 통한 또래관계 지원하기가 이루어졌다. 둘째, 만 5세 유아들의 긍정적인 또래관계 지원을 위한 생활지도 방안에 따른 유아들의 반응은 또래 간의 갈등을 유발하는 부적절한 행동 감소, 긍정적인 방법으로 갈등 해결과 또래를 향한 친사회적 행동 증가, 또래에 대한 수용적인 태도 형성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갈등 해결 과정에서 유아의 주도적인 역할을 인식하게 되었고, 또래관계를 지원하기 위한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연구자는 유아의 행동을 바라보는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으며, 반성적 사고를 통한 실천을 추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의 긍정적인 또래관계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한편,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물리적 지원하기, 지식과 태도 알게 하기, 개별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원하기, 가정과의 연계를 통한 지원하기와 같은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생활지도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일상생활 속에서 통합적으로 또래관계를 지원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들의 또래관계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유아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데 필요한 올바른 행동 습관을 형성하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본 연구가 현장의 교사들에게 또래관계를 지원하기 위한 실제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This research aims to not only seek and execute measures of life guidance which can support five-year-old children’s positive peer relationship, but also examine reactions of young children, teachers, and researcher. To achieve such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What support measures are available for five-year-old children to form a positive peer relationship through life guidance? 2. What are the reactions of young children, teacher, and researcher according to the support measures for five-year-old children’s positive peer relationship through life guidanc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ive-year-old Gureum Class at Haneul Daycare Center located in Seoul, and twenty two children from Gureum Class, one homeroom teacher, and one researcher as a participating observer, assistant and co-operator were selected for research participants. To figure out difficulties of peer relationship in which the homeroom teacher recognized, the researcher observed the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in Gureum Class for two weeks (Mar. 18 to 29; 5 times a week from 9 A.M. to 2 P.M.). The observation result revealed that every child in Gureum Class found it difficult to form and maintain a positive peer relationship due to repeatedly occurring conflicts. To support young children’s positive peer relationship, measures for life guidance were sough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 consultation with the teacher. The research was performed from Mar. 13 to May 31, 2019, and during this period the researcher observed their (children in Gurem Class) difficulties of relationship with peers, analyzed the problems with the homeroom teacher, and executed through planning and consultation of the execution process for supporting their peer relationship based on them. Specifically,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order of problem recognition (conflict aspects and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in Gureum Class), search for first execution measures, first execution, first execution assessment and search for second execution measures, second execution, second execution assessment and final assessment. During the research period, plays and various activities were monitored, and instant and continuous interviews with the teacher were mad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video taping, photographs, audio recording, and field jotting. In addition,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methods like anecdotal recording, checklist for peer relationship, drawing up a researcher’s journal, followed by categorizing, coding, and analyzing by research question. The research results have shown as follows. First, measures for life guidance which supports five-year-old children’s positive peer relationship were prepared and executed. Conflicts arising out of the lack of free playtime (from the daily routines organized) and limit to areas of plays (using a play name tag) occurred and the resultant problems came up. Therefore, the first execution measures in which the researcher consulted the homeroom teacher for preventing such conflicts and solving the problems were to secure sufficient playtime and provide physical support which removes the limitation rule of play areas that causes conflicts. To improve the peer relationship of all five-year-old children in Gureum Class, attitudes and knowledge on behaviors that peers like and dislike and social communication skills necessary for conflict solutions were conveyed;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especially young children who showed verbal aggression or were rejected by peers, and had much difficulty in the peer relationship (support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assessment result of the first execution measures by the researcher and the teacher indicated that insufficient toys and space resulted from unlimited play areas and specific support measures were needed for improving the peer relationship of all children in Gureum Class, and that support through close collaboration with each family was also needed for continuously improving the peer relationship of individual child. Accordingly, the assessment of first execution was reflected in the second execution: Physical support was given to provide sufficient toys (stacking area) and space; support for experience and cooperation activities with the peers was given to improve the peer relationship of all children in Gureum Class; attitudes and knowledge were conveyed to form prosocial skills necessary for the peer relationship; support through close collaboration with each family was given to correct repetitive inappropriate behaviors of each child; special attention through close collaboration with each family was paid to young children who had much difficulty in the peer relationship due to irregular attendance time. Second, following the life guidance for supporting five-year-old children’s positive peer relationship, inappropriate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hich cause conflicts among peers reduced, and conflicts were resolved in a positive way, and prosocial behaviors towards the peers increased, and acceptable attitudes towards the peers formed. In the course of solving conflicts, the teacher recognized young children’s leading role, and the important of teacher’s role for supporting the peer relationship was recognized, and the researcher positively changed its recognition to behaviors of young children, thereby being in pursuit of practice through reflective thinking. This research suggested the need for supporting five-year-old children’s positive peer relationship and integratively supported the peer relationship in daily life, i.e. providing physical support in consideration of various aspects for a positive peer relationship, conveying the knowledge and attitudes, providing the support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reparing the specific and systematic life guidance (support through close collaboration with each family).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that it not only improved the peer relationship of young children, but also helped them form appropriate behavior habits necessary for having a relationship and living within it as a member of society. We hope this research would help field teachers prepare practical support measures for supporting the peer relationshi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