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조성해-
dc.creator조성해-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41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41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0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01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998-
dc.description석사학위를 수여받기 위해 제출된 포트폴리오임-
dc.description.abstract2000년대 초중반을 기점으로 학문 목적 학습자의 수가 점점 늘어나기 시작했고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보다 근래에는 연수생이 한국어 학습자로서 주류를 이루던 흐름조차 바꾸어 놓았다(김문준 외, 2010, pp. 117-118; 성아영, 이경, 2016, p. 268). 즉, 국내 고등 교육 기관 소속 학습자의 수가 언어 교육 기관 소속 학습자의 수를 능가하게 되었다. 광범위한 관점에서 KFL에 해당하는 외국 대학 한국어 또는 한국학 전공생과 KSL 교육과정 대상자인 다문화 가정 자녀까지 포괄한다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는 실상 한국어 교육 학습자의 대다수를 이룬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현상은 정부의 Study Korea Project 추진에 따라, 학문 목적 학습자 개념의 확장에 따라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학업 맥락에 놓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최정순, 윤지원, 2012, p. 133; 박석준, 김용현, 2013, p. 74; 성아영, 이경, 2016, p. 268). 또, 최근 교재 개발 현황을 보면 유학생을 위한 교재가 각 대학 기관을 주축으로 꾸준히 출판되고 있다. 유학생의 특정적인 목표 상황을 고려하여, 대학 강의 수강 혹은 대학 생활 적응을 도우려는 목적으로 교재가 개발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 목적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비해 여전히 양적으로, 질적으로 미흡하다는 지적(박석준, 김용현, 2013, p. 74)이 있다. 이미 한국어 학습자로서 학문 목적 학습자의 비중이 일반 목적 학습자보다 커졌음에도 학문 목적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는 적절한 교육적 처치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대학 강의 수강과 관련된 교재 개발에 치우쳐 있어 대학 생활 적응을 돕는 교재가 더 부실한 상태이다. 여기에서 필자는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이 학업 능력이나 인지 능력 향상에 주력하여 학습자의 요구가 균형 있게 충족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를 발견하게 되었다. 최근 유학생 대상 요구 분석 연구 결과(최성호, 장경원, 2018, p. 617)나 대학 생활 부적응 문제나 중도탈락자 문제를 다룬 여러 연구물(윤지원, 김상욱, 2017, pp. 30-32; 장정은, 구자경, 2017, p. 693; 오혜영, 이윤희, 2018, p. 102)에서도 학습자의 요구가 단순히 학점 취득 혹은 학업적 적응에 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이처럼 유학생의 요구가 학업 영역에만 국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급한 요구가 학업 성취에 있다고 보더라도 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적응 요인을 제거하려면 대학 생활 적응을 돕는 교재가 강의 수강을 돕는 교재와 함께 균형적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주목하여 본고에서는 대학 생활 적응과 관련된 요구 분석 결과, 목표 과제로 밝혀진 수강 신청하기 과제를 구현하게 되었다. 다각화된 요구 분석을 통하여 대학 생활의 기초이자 학업 활동의 출발점이 되는 수강 신청 과제에 외국인 학부 신입생들이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특히나 수강 신청 실패 문제를 해결하거나 방지하는 과정에 익숙하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한편, 이와 같은 요구 분석 결과와 달리, 기성 교재에서는 수강 신청을 다루는 경우가 많지 않았고, 그마저도 수강 신청이 표면적으로만 다루어지거나 목표 언어 항목 학습을 위하여 존재하는 모습이었다. 단편적으로, 수강 신청 실패와 해결을 다룬 교재는 단 2권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본고에서 소개하게 될 교재는 기존 교재에서 간략히 설명한 수강 신청 방법을 포괄하는 것은 물론, 기성 교재에서 찾아보기 어려웠던 수강 신청 실패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까지 아우를 것이다. 무엇보다도 기존 교재의 공통적인 한계점이었던 요구 반영 불충분과 실제성 결여를 문제시하며 이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교재를 구현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교재 개발의 주된 목적을 유학생의 요구를 반영하고 실제성이 있는 자료를 사용하여, 기 개발된 대학 생활 교재를 보완하고 발전시키는 것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다음의 네 가지 절차에 따라 교재 개발을 진행하였다. 첫째, 영역 전문가(domain expert)를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면접을 실시하였고, 영역 전문가로서 참여하여 목표 상황에서 상호 작용 양상을 관찰하였으며, 객관성을 더하고자 유관한 문헌을 참조하여 목표 과제를 확인하였다. 둘째, 실제 현장에서 구어 및 문어 텍스트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실제 목표 담화 원형을 찾아내었고 한국인 담화와 외국인 담화를 비교하여 유학생의 목표 수준과 현재 수준 간의 차이를 통해 결여(deficiency)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재의 텍스트와 단계별 교수 과제를 고안하였다. 셋째, 실제 현장에서 수집한 담화 자료와 동일한 내용을 다루는 교재를 비교하여 실제성 결핍의 문제를 확인하였고, 학습자의 요구와 비교하여 요구 반영 불충분의 문제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절차들을 통해 기 개발된 대학 생활 교재들의 텍스트와 과제의 실제성 및 학습자 요구와의 관련성이 떨어지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정리하자면,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양질의 교재 개발이 촉구되고 있다는 점과 대학 생활 적응에 대한 요구가 분명히 있음에도 개발된 교재가 불충분하다는 점을 통해 유학생 대상 대학 생활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어 학습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그 수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는 유학생을 위한 대학 생활 교재를 개발하게 되었다. 특히, 본고에서는 수강 신청하기 과제를 구현하여 제시하였다. 이 과제는 다각적인 요구 분석 결과와 실제성 있는 자료를 기틀로 고안되었다. 문헌 조사, 현장에서 근무하는 전문가와의 비구조화된 면접, 현장 전문가와 학습자 간 상호 작용에 대한 참여 관찰을 통하여 목표 과제를 파악하였고, 실제 목표 상황에서의 문어 및 구어 텍스트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모어 화자 참여 대화와 비모어 화자 참여 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결여를 파악하였고 교재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아울러 현존하는 교재를 분석하여 실제 담화와 비교하였다. 이로써 기존 교재에서 실제성이 떨어지거나 학습자 요구가 반영되지 않은 부분을 확인하였고, 그것을 보완하고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본 교재를 개발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과제 중심 교수법의 원칙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즉, 교재의 실제성 확보와 학습자의 요구 반영이라는 본고의 교재 개발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과제 중심 교수법을 근간으로 교재의 일부를 구현하게 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교재 개발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고찰 4 Ⅱ. 이론적 배경 8 A. 일반 학문 목적을 위한 한국어 8 B. 과제 중심 교수법 10 Ⅲ. 요구 분석 15 A. 문헌 연구 16 B. 비구조화된 면접 17 C. 참여 관찰 19 D. 구어 담화 분석 21 E. 문어 담화 분석 32 F. 교재 분석 36 Ⅳ. 교재의 구성과 교육 효과 42 A. 교재의 전체 구성 42 B. 교재의 장별단원별 구성 47 C. 교재의 교육 효과 60 Ⅴ. 결론 62 참고 문헌 63 온라인 참고 자료 66 부록의 시각 자료 출처 68 부록 1. 교재 72 부록 2. 교사용 지침서 1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093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과제 중심 교수법을 기반으로 한 외국인 학부 신입생의 대학 생활 한국어 교재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한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 한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