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41 Download: 0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전략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적응특성 탐색

Title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전략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적응특성 탐색
Other Titles
A Typology of Change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Accultura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using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uthors
김서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전략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을 구분하고, 잠재계층 구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는 동시에 각 잠재계층의 심리적·사회적(학교생활) 적응 모습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국내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발달과정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다문화 가정 학생 비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반면에 이들에 대한 발달과정 연구는 미약하다는 점과 기존의 사회적 인식이 다문화 가정 학생을 부정적인 심리적·사회적 적응과 연결시킨다는 점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유형의 잠재계층을 구분하는 것이다. 우선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한국문화수용도, 외국문화수용도,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를 분석하여 잠재계층을 파악하였다. 둘째, 도출된 잠재계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구사회학적(성별, 경제적 수준, 부모 교육수준), 심리적(신체만족도, 부모에 대한 자긍심, 외국인 부모 나라에 대한 관심), 언어적(학생 한국어 수준, 어머니 나라 언어수준), 가정 요인(모의 한국어 수준, 가족지지, 부모 양육 태도), 학교 요인(또래지지, 교사지지)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셋째, 잠재계층별로 심리적·사회적(학교생활) 적응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심리적(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도, 우울, 사회적 위축)·학교생활(교우관계, 교사관계, 학업적응) 적응 결과와 종단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다문화 가정 청소년 총 1,639명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로 1차년도(초4)부터 6차년도(중3)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잠재계층 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모집단의 이질적인 특성을 지닌 잠재계층을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잠재계층 구분에 영향을 주는 배경요인들을 찾아보았고, 마지막으로 잠재계층 별 심리적·학교생활 적응의 모습을 다집단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한국문화수용도와 외국문화수용도,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를 통해 잠재계층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문화적응 유형은‘통합-저스트레스형’, ‘주변화-고스트레스형’, ‘동화-저스트레스형’으로 나타났다. ‘통합-저스트레스형’은 한국문화수용도와 외국문화수용도가 높고,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이다. ‘주변화-고스트레스형’은 한국문화수용도와 외국문화수용도가 낮고,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은 집단이다. ‘동화-저스트레스형’은 한국문화수용도가 높고, 외국문화수용도가 낮으며, 스트레스가 적은 집단이다. Berry의 문화적응 유형 중 분리형은 도출되지 않았다. 이는 국내에서 출생하고 성장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현상을 반영한 결과이다. 둘째, 집단 구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본 결과 개인 변인 중 성별, 한국어 수준, 어머니 나라 언어수준, 주관적 경제적 상황, 가족 변인 중 어머니 교육수준, 가족지지, 부모 양육 태도(방임), 어머니 나라에 대한 관심, 학교 변인 중 또래지지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한국어 수준이 낮고, 가족지지가 약하고, 방임이 높은 학생들의 경우 다른 두 집단보다 ‘주변화-고스트레스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이와 관련한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셋째, 잠재계층별 심리적·학교생활 적응 결과를 살펴본 결과 ‘통합-저스트레스형’이 가장 긍정적인 적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화-저스트레스형’과 ‘주변화-고스트레스형’ 순으로 확인되었다. 잠재계층별로 심리적·학교생활 적응의 시간적 변화를 살펴본 결과 모든 집단에서 자아탄력성, 교우관계는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고, 교사관계는 유지되었고, 우울과 사회적위축이 증가하며, 삶의 만족도와 학습적응이 떨어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자아존중감은 잠재계층별로 차이가 났는데, ‘통합-저스트레스형’은 증가하고 ‘동화-저스트레스형’은 유지되는 반면, ‘주변화-고스트레스형’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변화-고스트레스형’은 세 유형 중 심리적, 학교생활 적응 정도가 가장 낮은 집단으로 확인되어 이 유형에 대한 교육적·심리적 지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효용성 및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이 건강한 정체성 형성을 돕는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의 문화적응 유형의 잠재계층을 도출하였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결과를 살펴보아, 이들의 문화적응을 포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취약한 집단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건전한 적응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을 교육·상담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latent classes in change patterns in accultura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to identify relevant variables affecting the latent classes, and to assess the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school adjustment) adaptation of each latent class. Through the process, the research reviews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acculturation developmental process in a objective perspective. The research is based on two problem consciousness: Though the proportion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adolescents is increasing, there are limited studies focusing on the identity development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Next is the traditional negative perspective upon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Three research agendas were conducted for this purpose. First, the latent classes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acculturation type were classified. In order to classify the typ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cculturation strategies, analysis of longitudinal change of preference for Korean culture, their heritage culture and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were conducted. Next, the determinants (Gender, language proficiency, social support, mother’s education level,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notion of father & mother, body & grade satisfaction, neighborhood satisfaction) affect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Lastly, the research examined how psychological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sociocultural (Academic adjustment, teacher & friend relationship) adaptation results vary according to the latent class classification. The study was based on the 6 year data (4th ∼ 9th grade) of 1,639 multi-cultural adolescents which was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Multi-group Latent Growth Model were conducted. Major procedures and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ed. Through the changes in orientation toward Korean & heritage culture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latent class we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Integration-low stress’, ‘Marginalization-high stress’, and ‘Assimilation-low stress’ . ‘Integration – low stress' is a group with high preference for Korean & their heritage culture, and low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Marginalization- high stress’ is a group with low preference for both Korean & their heritage and relatively high level of acculturation stress. ‘Assimilation – low stress’ is a group with high preference for Korean culture and low preference of their heritage culture. And the level of acculturation is low. It differs from the pattern of Berry 's acculturation strategies which is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orn and raised in Korea. Second, gender, Korean·heritage language proficiency, perceived economic status, mother’s education level, family support, parental neglect, notion of mother’s country, peer support, and grad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In particular, students with low level of proficiency of Korean language and parents’ educational support & expectation with high level of parental neglect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Marginalization-high stress’ than the other two classes. Third, the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cculturation result assessment showed ‘Integration-low stress’ class created the most positive result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cculturation, as student get older, all latent classes showed tendency of higher level in self-esteem, teacher & friend relationship,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while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adjustment decreased. Especially, while the self-esteem level in the ‘Integration-low stress’ and ‘Assimilation-low stress’ classes increased, the ‘Marginalization-high stress’ class self-esteem level decreased. The ‘Marginalization-high stress’ class was identified as the lowest level of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cculturation among the three classes, which requires the need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this latent class. Through the assessment,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adapt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research classified latent classe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acculturation, identified the determinants and outcomes and reviewed their acculturation in general. As a result, the most vulnerable latent class was identified, and discussions to enrich their acculturation process were made in the educational counseling perspec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