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이소현의 작품 연구

Title
이소현의 작품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four compositions by Lee, Sohyun. : Fragmentary Thoughts on Emotion for flute solo (2019), Twisted for B♭Clarinet, Cello and Piano (2018), Whiteout for String Quartet (2018), The Empire of Light for Flute, B♭Clarinet, Bassoon, Violin, Viola and Cello (2017)
Authors
이소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사방
Abstract
본 논문은 이소현의 석사 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 연주 작품인 플루트 독주를 위한『감정에 관한 단상』(2019), 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오해 (Twisted)』(2018), 현악 사중주를 위한 『화이트아웃 (Whiteout)』(2018), 플루트, B♭클라리넷, 바순,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를 위한『빛의 제국 (The Empire of Light)』(2017)에 대한 고찰이다. 이 연구에서는 작품별로 곡의 배경, 주제 및 작곡 의도 등을 밝히고, 이를 표현하기 위해 선택한 음의 소재, 화성 진행, 음악 형식 등의 음악적 어법이 작품에서 어떻게 구체화 되었는지 알아본다. 플루트 독주를 위한 『감정에 관한 단상』(2019)은 작곡자가 느끼는 순간의 감정들에 관한 단상을 세 개의 악장으로 표현한 것이다. 제 1악장은 바쁜 일상 속에서 느끼는‘지루함’을 나타낸다. 현대사회의 복잡함과 지루함이란 상충되는 두 개의 이미지를 형상화하기 위해 선율의 확장, 멀티포닉스(Multiphonics) 등을 사용하였다. 제 2악장은 ‘긴장감’을 표현한 악장으로, 알 수 없는 막연한 긴장감과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한 긴장 등 다양한 긴장감의 형태를 키클릭(Key clicks), 젯휘슬(Jet whistle), 텅램(Tongue ram) 등 여러 현대 플루트 주법을 이용하여 색채적으로 나타내었다. 제 3악장의 주제는 ‘예측 불가함’으로 앞 두 악장에서 표현한 긴장과 지루함을 비롯해 기쁨과 슬픔, 두려움 등 짧은 시간동안 찾아오는 다양하고 예측 불가한 감정들의 혼란을 형상화하였는데, 복잡하고 섬세한 여러 감정의 표현을 위해 1악장과 2악장의 음악적 요소들과 더불어 새로운 주법들을 함께 사용했음을 볼 수 있다. 두 번째 작품 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오해 (Twisted)』(2018)는 총 2악장으로 구성된 것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주고받는 감정과 말 사이에 생긴 오해, 그 오해로 인한 상황, 감정 등을 표현한 곡이다. 제 1악장은 ‘풀리지 않는 오해’로‘시간과 공간 내에서의 소통되지 않는 답답한 상황’을, 제 2악장은 ‘해결되지 않는 반복되는 오해’와 그로 인한 답답한 감정을 각각의 악기로 캐릭터화(Characterization) 하였다. 1악장의 긴 음가 화음의 피아노는 풀리지 않는 문제를, 3마디의 동기의 점차적인 확대 진행을 보여주는 클라리넷과 첼로는 소통되지 않는 두 사람을 표현한 것이다. 2악장에서의 피아노는 흘러가는 시간을 뜻하는데 A부분에서는 간헐적으로 인지되는 시간, B부분에서는 끝에 다다른 제한된 시간을 나타낸다. 1악장과 2악장은 같은 상황에서의 다른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음가나 빠르기 등의 요소가 대조적으로 구성되어있다. 세 번째 작품인 현악 사중주를 위한 『화이트아웃 (Whiteout)』(2018)은 다양한 현악기의 주법들을 통해 예상치 못하는 순간에 맞닥뜨리는, 한치 앞도 알 수 없는 상태를 표현한 작품이다. 점점 변화하는 상황에서 가상의 주인공이 맞닥뜨리는 쌓여가는 위기와 그로 인해 고조되는 심리의 변화, 그리고 ‘화이트아웃’ 상태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A-B-C‘의 형식을 택하였다. A부분의 지속음과 리코쳇(Ricochet) 등은 점점 쌓여가는 눈 혹은 당황스러운 상황을, B부분의 하모닉스와 글리산도로 앞이 보이지 않는 뿌연 상태를 형상화했으며, 마지막 C부분의 짧은 리듬으로 이루어진 동기의 부분적 발전과 확대를 통해 결국 맞닥뜨리는 ‘화이트아웃‘ 상태를 표현하며 곡이 마무리 된다. 마지막 네 번째 작품인 플루트, B♭클라리넷, 바순,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를 위한 『빛의 제국 (The Empire of Light)』(2017)은 벨기에의 초현실주의 화가 르네 마그리트 (René Magritte, 1898-1967)의 작품 『빛의 제국 (L'empiredes lumières)』(1954)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된 곡으로, 맑은 하늘과 그 아래 반대되는 까만 어둠 속에 홀연히 가로등만 켜져 있는 집의 모순적인 회화적 느낌을 표현한 곡이다. 전체 형식은 ‘A-B-C-A’로 빛의 주제라 할 수 있는 주요 선율이 지속적으로 꼬리를 물고 등장하여 진행되며 각 부분에서 주제의 요소가 축소, 확대, 발전, 변주됨으로서 곡이 구성된다. 본 연구는 네 작품의 연구를 통해 작곡가의 작곡 의도를 밝히고 또한 작품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것을 다양한 음악적 어법의 적용하여 어떻게 음으로 구체화 하였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of four works included on the Master’s degree recital of Lee So-hyun on April 25, 2019 at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usic Recital Hall. The works include: Fragmentary Thoughts on Emotion for flute solo (2019), Twisted for B♭clarinet, cello and piano (2018), Whiteout for string quartet (2018), and The Empire of Light for flute, B♭clarinet, bassoon, violin, viola and cello (2017). This research aims to describe the background and theme of each work, the composer’s intentions, and to examine how the musical language, including tone material, chord progressions, and musical form, were applied to each work. Fragmentary Thoughts on Emotion (2019) for flute solo, in three movements, expresses momentary emotional thoughts of the composer. The first movement describes ‘boredom’ in our busy daily routine. It utilizes melodic expansion and multiphonics to portray two contradictory images of contemporary society: ‘boredom’ and ‘complexity‘. The second movement depicts ‘nervousness.’ This is expressed through unidentified and vague tension caused by unexpected situations and extended playing techniques, such as key clicks, jet whistle, tongue ram, etc. The third movement-using the theme of ‘unpredictability’ and in addition, referencing ‘boredom’ and ‘nervousness’-embodies the confusion of various unpredictable emotions such as joy, sorrow and fear, which come in short bursts. In order to express the many complicated and subtle emotions in this third movement, many new performing techniques are added within musical elements from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s. The second work of the repertory, Twisted (2018) for B♭clarinet, cello and piano-consisting of two movements-describes ‘misunderstandings’ of emotions and words between people, as well as the situations and emotions resulting from this misunderstanding. The first movement, titled “Inextricable misunderstanding”, characterizes each instrument by expressing the stifling situation of impossible communication in time and space, while the second movement expresses the stifling emotions from ‘Insolvable, repetitive misunderstandings.’ In this first movement, the piano plays chords of long duration, portraying insolvable problems, while the clarinet and cello gradually expand a three-measure motivic progression to represent two people facing incommunicability. In the second movement, the piano symbolizes transpiring time, being perceived intermittently in part A, and then limitation, when reaching the end in part B.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s contrast elements, such as note duration or tempo, in order to represent two distinct sensations created in the same situation. The third work, Whiteout (2018) for string quartet, represents being without foresight in an unexpected moment, via a variety of string techniques. To exhibit the crisis of the protagonist-a change in psychological aspect and the state of ‘Whiteout’-this work follows an A-B-C structure. The sustained sound and ricochet technique in part A embody a disconcerting feeling, like snow piling up, with harmonics and glissando in the part B representing an invisible foggy state; finally, with eventually a partial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short rhythm motives in part C, it achieves the ultimate ‘Whiteout’ state. The fourth and the last work, The Empire of Light (2017) for flute, B♭ clarinet, bassoon, violin, viola and cello, is inspired by the painting, The Empire of Light (L'empire des lumières) (1954), of the Belgian surrealist René Magritte (1898-1967.) It depicts the contradictory pictorial sensation of a house lit with only one street light, symbolizing ‘the Light’ in darkness that contrasts the clear sky. The main melody, which is the ‘Light’ theme, appears continuously in succession, with the structure of the entire work being in development of the this melody’s elements. In summary, both the atmosphere of these works, as well as the various intentions of composer Lee Sohyun, play an important role in defining the music. Such ideas, like translating a subjective feeling melodically, reflecting a virtual situation or symbolizing a protagonist are essential elements. This research is devoted to examining the genesis of the composer’s idea and to demonstrate how this message is represented through various aspects of her musical langu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