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노래와 해금선율의 남⋅여창 변화 비교

Title
노래와 해금선율의 남⋅여창 변화 비교
Other Titl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nge in Vocal and Haegeum, focusing on ‘Joonguh and Dooguh’
Authors
이슬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가곡은 실내악 규모의 기악 반주에 맞추어 시조시를 노래로 부르는 성악곡이다. 현행 가곡은 남창과 여창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가곡 발생초기의 대엽조 가곡에서는 여창을 위한 별도의 악곡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여창은 남창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고에서는 우조 중거⋅두거, 계면 중거⋅두거의 노래와 해금선율을 대상으로 하여 남창과 여창선율의 상관관계 및 남창에서 여창으로 변화된 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가 노래와 해금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노래의 남창과 여창선율을 동일선율, 유사선율, 부분유사선율, 상이선율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노래선율은 우조 중거⋅두거, 계면 중거⋅두거에서 동일선율과 변화선율(유사선율, 부분유사선율, 상이선율)의 분포가 대체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모든 곡에서 55%이상의 변화선율이 나타나며 남창과 여창이 동일선율보다 변화선율이 많은 악곡임을 알 수 있었다. 동일선율과 변화선율은 우조와 계면조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였으나, 계면조에서 변화의 유형이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제 Ⅲ장에서는 반주선율인 해금의 남창과 여창선율을 동일선율, 유사선율, 부분유사선율, 상이선율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해금은 악곡과 악조에 따라 남⋅여창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중거에서는 우조와 계면 모두 동일선율이 70% 이상 나타나며 남창과 여창이 매우 유사한 악곡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두거는 우조와 계면조의 남⋅여창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다. 우조 두거의 동일선율은 57%, 계면 두거의 동일선율은 32%로 우조 보다 계면조에서 변화가 더 많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우조⋅계면 중거의 해금선율은 남창과 여창의 동일선율의 비중이 높으며 일부 변화선율이 나타나는 유사한 악곡임을 알 수 있었고, 우조⋅계면 두거는 변화선율이 많이 나타나며 남창과 여창 선율간의 유사성보다 독립적인 성격을 가진 악곡임을 알 수 있었다. 제 Ⅳ장에서는 제Ⅱ장과 제Ⅲ장에서 나타난 남⋅여창 선율 분포를 비교하여 노래와 해금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우조 가곡에서는, ‘우조 중거’ 노래의 변화선율은 54.97%, 해금은 17.11%로 노래에서 변화가 더 많이 나타났다. 노래가 유사선율, 부분유사선율, 상이선율로 변화가 나타날 때 해금선율은 동일 선율로 진행하는 부분이 많았다. 노래의 남⋅여창선율은 1장에서 가장 상이한 경향을 보였으며 4장에서 가장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해금선율은 2장과 4장에서 변화선율이 나타나지 않으며 동일선율 100%로 나타났고, 5장에서 가장 상이한 경향이 나타났다. ‘우조 두거’ 노래의 변화선율은 59.65%, 해금은 42.11%로 노래에서 변화가 더 많이 나타났다. 노래가 유사선율, 부분유사선율, 상이선율로 변화가 나타날 때 해금선율은 동일 선율로 진행하며 변화가 적게 나타났다. 노래의 남⋅여창 선율은 1장, 2장, 3장, 5장에서 약 70%의 변화선율이 나타나며 상이한 경향을 보였으며, 4장에서 가장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에 반해 해금선율은 1장과 2장에서 변화선율이 나타나지 않으며 동일선율 100%로 나타났고, 4장에서 가장 상이한 경향을 보였다. 계면조 가곡에서는 ‘계면 중거’ 노래의 변화선율은 55.56%, 해금은 28.07%로 노래에서 변화가 더 많이 나타났다. 노래가 유사선율, 부분유사선율, 상이선율로 변화가 나타날 때 해금선율은 동일선율로 진행하는 부분이 많았다. 노래의 남⋅여창 선율은 1장에서 가장 상이한 경향을 보였으며, 4장에서 가장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해금선율은 1장에서 가장 상이한 경향을 보였으며, 4장에서 변화선율이 나타나지 않으며 동일선율 100%로 나타났다. ‘계면 두거’ 노래의 변화선율은 66.09%, 해금은 72.51%로 해금선율에서 변화가 더 많이 나타났다. 노래와 해금선율 모두 약 66% 이상의 변화선율이 출현하며 유사선율, 부분유사선율, 상이선율의 변화선율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노래의 남⋅여창 선율은 2장과 3장에서 가장 상이한 경향을 보였으며, 4장에서 가장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에 반해 해금선율은 3장에서 가장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5장에서 가장 상이한 경향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남창에서 여창으로의 변화가 노래와 해금선율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노래선율은 남창에서 여창으로 변화할 때 여성 창자의 창법 및 사설에 맞게 변화하였고, 이를 통해 남창과 여창은 독립적인 악곡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해금선율은 남창의 선율을 그대로 연주하며 변화가 적게 나타나는 경향이 나타났지만 계면 두거의 해금선율은 노래선율보다 더 다양한 변화를 보이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Gagok is a vocal song with instrumental accompaniment of chamber music. The current Gagok consists of 26 male songs and 15 female songs, but there was no separate music for the male song and the female song in the early Gagok. The female song originated from singing the male song with an octave up, and it is known to have been composed based on the male song. The melody of Gagok has an independent character in the male song and the female song. But in the haegeum melody, the melody of male and female song is similar. This indicates that the change from male song to female song is different in the song and haegum. This paper shows the changes of Gagok and haegeum from the male song to female song, and shows how these changes are different in gagok and haegeum. In chapter Ⅱ, it shows the change from male vocal to female vocal comparing the vocals of male and female. The distribution of the same melody and deformed melody was similar in the vocal melody of the Ujo Joonguh⋅Dooguh, Gyemyeon Joonguh⋅Dooguh. In all songs, more than 55% of the changing melodies appeared, and it shows that male songs and female songs were independent music. Joonguh shows the most similar tendency in part 4, and showed the most different tendency in part 1. Dooguh shows the most similar tendency in part 4, and showed the most different tendency in part 2 and 3. The distribution of the same melody and the changing melody was similar in Ujo and Gyemyeon, but the type of the variation in the Gyemyeon was more varied. In chapter Ⅲ, it shows the change from male songs to female songs comparing the haegeum of male and female. haegeum showed different aspects according to musical piece and scales. The Joonguh shows the same melody rate of over 70% in both the Ujo and Gyemyeon and male and female songs were very similar melodies. On the other hand, Dooguh showed different aspects of change between Ujo and Gyemyeon. The same melody rate of Ujo Dooguh was 57% and the same melody rate of Gyemyeon Dooguh was 32%. It can be seen that the Joonguh Haegeum melody is a similar song with a high proportion of the same melody of male and female songs. It was found that the Dooguh is a music piece with an independent characteristic rather than the similarity between the song male and female melody. In chapter Ⅳ, it shows the difference of vocal and haegeum by comparing the change aspects of songs and the changes of haegeum in chapter Ⅱ and Ⅲ. The haegeum melody showed a monotonous change compared to the vocal. When the vocal melody is varied in the song, haegeum melody does not change and is performed in the same way. On the other hand, the haegeum melody of Gyemyeon Dooguh showed more change melody than the song melody while showing a rich change melody along with the song change. As mentioned above, the change aspects derived from male songs to female songs are different in vocal and haegeum. When the song melody changes from male to female songs, it chang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intestines, the chronology and the editorial. Through such a change melody, female songs has the character of independent music which is different from male songs. On the other hand, the melody of Haegeum plays the melody of male songs as it tends to show less change. However, the Haegeum melody of Gyemyeon Dooguh has more various changes than the vocal melo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