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7 Download: 0

자기표현 미술수업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기표현 미술수업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Self-expression Art Classes on Ego-identity : Focused on High School First Graders
Authors
이예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은경
Abstract
현대 사회 속 우리는 다양한 집단에서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하며 살아간다. 특히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시기로 자신의 위치와 역할, 관념에 대해 수많은 고민이 일어나는 시기이다. 그러므로 청소년기에는 자신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형성된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기반으로 주체적인 미래를 계획해 나가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문화, 환경, 교육 여건상 정서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대부분 청소년이 자신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렇게 자신에 대한 성찰과 자아정체성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로 성인기를 맞이하게 되면 자신의 미래와 진로에 대한 갈등과 방황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청소년들이 자신에 대해 고민하고 탐색하는 시간을 거쳐 긍정적인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자기표현 미술수업을 개발하여 청소년기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자신을 탐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신을 표현하도록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표현 미술수업이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며 연구의 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자아정체감과 자기표현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를 통해 각 개념의 연계성과 연구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술 교과서를 분석을 통해 자아정체감과 자기표현 미술 활동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교수학습 자료와 평가방법을 개발 및 재구성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으로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I 고등학교 1학년 1개의 학급 남학생 24명을 선정하였다. 넷째, 박아청(2003)이 개발한 ‘한국형 자아정체감’검사지를 활용하여 사전검사를 시행하였다. 이후 총 6차시(1차시 50분)에 걸친 동영상 제작 자기표현 미술 교수·학습 프로그램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아정체감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사전·사후검사 자료를 SPSS Ver, 21.0 통계패키지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사전·사후검사를 비교, 분석하였고 실기 결과물에 대한 질적 평가를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에 대한 결과로는 첫째, 자아정체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의 자아정체감 점수가 0.25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둘째, 자아정체감의 하위영역의 사전·사후검사의 대응표본 t-test 실시 결과 주체성에서는 0.15점이 증가하였고 자기수용성 역시 0.11점 증가하여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미래확신성에 있어서는 0.22점이 증가하였고 목표 지향성에서는 0.34점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주도성은 0.34점 증가하였고 친밀성에서는 0.38점 증가하였다. 이처럼 자아정체감의 모든 하위영역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어 본 연구에서 진행된 자기표현 미술수업이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생들의 실기 결과물 질적 분석 결과 학생 대부분이‘내가 어떤 생각을 하고 생활하는지 알게 되었다.’, ‘나를 한층 더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더 자세히 알게 되었다.’ 등의 답변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자기평가지 분석 결과에서는 ‘자신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된 시간이었다.’, ‘나를 자세히 알게 된 수업 활동이었다.’라고 답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자기 탐색 활동을 통해 자신을 탐구 및 이해하였으며 이를 주제로 연계하여 자기표현 동영상 제작 미술 활동이 잘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자기표현 미술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자아정체감 사후검사의 전체 영역과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의 실기 결과물과 활동지, 자기평가지 분석을 통해 자신에 대해 더 알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기표현 미술수업이 학습자의 자아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특정 I고등학교의 남학생만을 대상으로 적은 표본을 적용한 점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구의 대상을 확대하고 다양한 집단에 적용한다면 연구의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후속연구를 통하여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다양한 자기표현 미술수업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In the contemporary society, we perform various roles in diverse groups. In particular, adolescence - a time converting from childhood to adulthood - is the period when a person thinks a lot about one's own position, role, and notion. Thus, a person should explore oneself during adolescence and plan independent future based on positive ego-identity. However, a majority of Korean adolescents lack the time to think about themselves since they do not undergo psychological education due to Korean cultur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f adolescents become an adult without self-examination and ego-identity, they experience conflicts and get lost in the future and course of lif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help adolescents explore and express themselves by developing self-expression art classes so that they can establish positive identity after thinking about themsel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effects of self-expression art classes on high school students' ego-identity and the following are the study methods and procedures. First, for understanding of ego-identity and self-expression, connection of respective concepts and necessity of research were contemplat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Second, by analyzing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Curriculum and Art Textbooks, the necessity of art activities focusing on ego-identity and self-expression was examined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evaluation methods were developed and reorganized. Third,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24 male students of one class in first grade at I High School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Fourth, pretest was conducted by using the 'Korean version Ego-Identity Test Sheet' developed by Park Ah-cheong (2003). Afterward, video making self-expression art teaching-learning program experiment classes took place six times (50 minutes per session). Last, pretest and posttest materia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using the SPSS Ver.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during ego-identity posttest and study results were arranged and derived through qualitative assessment of practical outcomes. When comprehensively looking in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have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overall domains and subordinate domains of students' ego-identity posttest through self-expression art classes. In addition, it has been identified that students got to know more about themselves after analyzing students' practical outcomes, activity sheets, and self-assessment sheets. Therefore, it has been derived that self-expression art classes exert positive influence on learners' ego-identity.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e sense that it applied only a small number of samples which were male students of I High School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refor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can be verified if study targets are expanded and study is applied to diverse groups. Furthermore, future studies should develop diverse self-expression art classes for forming ego-identity of adolesc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