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5 Download: 0

응급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에 따른 이야기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Title
응급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에 따른 이야기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AS Reaction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Medical Personnel according to Job Stress and Resilience
Authors
표지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actions among emergency medical personnel according to their job stress and resilience in a Draw・A・Story(DAS) test and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DAS as a supplementary tool to measure their job stress and resilience.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and the DAS test with 130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t seven emergency medical treatment center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Gyeongsangbuk Province on April 1~May 11, 2019. After the exclusion of 14 questionnaires containing insincere answers, total 116 were used research materials. Employed in the study were the DAS test,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KOSS), and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 In DAS analysis, three people with a master's degree did rating along with the investigator with the SPSS 25.0 version used in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subfactor of the job stress and resilience scale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followed with the entire domains and sub-domains of each scale as variables to analyze correlations among job stress, resilience and DAS results.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DAS reaction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and resilience. An independent-sample t-test was conducted between the group that selected stimulus drawings and the group that did not select them to figure out differences in job stress, resilience, and DAS reac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hoice of stimulus drawing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degree of job stress and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in DAS among emergency medical personnel. That is, the greater job stress they had, the more negative their drawings became regarding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in DA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level of resilience and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in DAS among emergency medical personnel. That is, the higher their resilience was, the more positive and bright their drawings became regarding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in DA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resilience, which led to a conclusion that the three scales all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with the same correlations among their subareas.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in DAS according to the choice of stimulus drawings. The respondents that selected "volcanoes," "dinosaurs," "cats," "snakes," and "kniv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lf-image in DAS. Those who selected "a lady in a veil," "androgynous child," "parachute," and "gender"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in DAS. The present study examined correlations among DAS, job stress, and resilience in the entire areas and subareas and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m.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DAS can reflect the job stress and resilience of emergency medical personnel and expand the applicability of DAS as a projective drawing test, thus holding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data to measure more profoundly the psychological states of emergency medical personnel in the clinical field according to their job stress and resilience.;본 연구에서는 응급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에 따른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DAS)의 반응특성을 분석함으로써, DAS가 응급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회복탄력성 수준을 측정하는 보완적 도구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4월 1일부터 5월 11일까지 서울시, 경기도, 경상북도 지역에 소재한 7곳의 응급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응급의료인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DAS 검사를 진행하였다. 이중 불성실하게 답변한 자료 14부를 제외하고 총 116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DAS 이야기 그림검사, 직무스트레스 척도(KOSS), 회복탄력성 척도(CD-RISC)를 사용하였으며, DAS 분석은 연구자 외 석사학위 소지자 3인과 함께 평정하였고, 통계 분석은 SPSS 25.0 Ver를 사용하였다. 직무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 척도의 하위요인별 기술통계분석을 진행하였고, 직무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과 DAS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각 척도의 전체 및 하위영역을 변수로 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직무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과 DAS 반응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 단순 회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자극그림 선택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DAS 반응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자극그림 선택 집단과 비선택 집단 간 독립표본 t 검정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급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DAS 정서내용과 자아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DAS의 정서내용과 자아상은 부정적인 그림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급의료인의 회복탄력성 수준에 따라 DAS의 정서내용, 자아상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의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DAS의 정서내용과 자아상은 긍정적이고 밝은 그림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세 가지 척도 간의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하위영역 간의 상관관계에서도 동일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DAS 자극그림 선택에 따른 DAS 정서내용 및 자아상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화산’, ‘공룡’, ‘고양이’, ‘뱀’, ‘칼’을 선택한 응답자는 DAS 자아상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면사포를 쓴 여인’, ‘중성적인 아이’, ‘낙하산’, ‘성’을 선택한 응답자는 DAS 정서내용과 자아상이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DAS와 직무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의 하위 및 전체 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DAS가 응급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을 반영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고, 투사적 그림검사로써 DAS의 도구 활용 가능성을 확장시켰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임상현장에서 응급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에 따른 심리상태를 보다 심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