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6 Download: 0

딕토컴프 활동을 활용한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영역 통계 자료 기반 문항 교육 방안 연구

Title
딕토컴프 활동을 활용한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영역 통계 자료 기반 문항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s of TOPIK Questions based on statistics in writting section Using Dicto-Comp Activity
Authors
권지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는 TOPIK 쓰기 영역 통계 자료 기반 문항에 초점을 맞춰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문항은 TOPIK의 현 체제에서 유도적 쓰기 문항으로 출제되고 있으며, 문항에서 요구하는 과제에 맞춰 제시된 자료의 정보를 객관적이며 정확하게 분석해 필요한 정보만 선별하고, 이를 200자~300자로 집약적이며 조직적으로 구성 및 구조에 맞게 재구성하여 적절한 어휘와 표현을 사용해 한국어로 생산해 낼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통합적이며 복합적인 쓰기 능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쓰기에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쓰기에 대한 부담으로 쓰기를 기피하기도 한다. 또한 쓰기를 위한 언어 지식을 가지고 있더라도 글의 구성이나 구조를 조직하기 못하거나, 사용 및 활용 능력으로 끌어내지 못해 쓰기의 완결성 및 수행률이 떨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쓰기에 대한 심적 부담감을 덜어 주며, 복합적인 한국어 쓰기 능력을 향상을 도모하고자 변형된 딕토컴프 활동을 활용해 TOPIK 쓰기 영역 통계 자료 기반 문항에 초점을 맞춘 쓰기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밝혔고,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TOPIK과 딕토컴프 활동에 대해 살펴보며, 교육적 가치를 밝혔다. 선행 연구를 고찰하며, TOPIK 쓰기 영역 통계 자료 기반 문항에 대한 교육 방안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받아쓰기와 작문이 결합된 활동으로 통제된 작문과 자유 작문의 장점만을 통합한 딕토컴프 활동이 효과적인 교육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고, 이를 Ⅲ장과 Ⅳ장에서 논의하였다. Ⅲ장에서는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며 TOPIK 쓰기 영역 통계 자료 기반 문항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반영할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TOPIK 쓰기 영역 통계 자료 기반 기출 문항 분석, TOPIK 쓰기 영역 통계 자료 기반 문항에 대한 학습자 오류 사례 분석, TOPIK 쓰기 영역 통계 자료 기반 문항에 대한 교사 및 학습자 대상 요구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와 시사점을 바탕으로 앞서 설정한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었으며, Ⅲ장에서 찾은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은 Ⅳ장에서 제안할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도 바탕이 되었다. Ⅳ장에서는 앞서 고찰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및 자료 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와 시사점을 바탕으로, 변형된 딕토컴프 활동을 활용한 TOPIK 쓰기 영역 통계 자료 기반 문항에 대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수업의 실제까지 제시하였다. 교육 방안은 모두 10단계로 구성하였고, 수업을 시행하며 필요한 자료 및 수업 절차에 따른 활동 내용까지도 자세히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한 교육 방안을 활용해 시행한 수업의 실제와 함께 수업 후 학습자들의 인터뷰도 제시하였다. 인터뷰 결과, 학습자 대부분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본 교육 방안이 효율적이며 효과적인 교육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의 요약 및 의의를 제시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TOPIK 쓰기 영역 통계 자료 기반 문항에 초점을 두고 변형된 딕토컴프 활동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복합적인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제안한 교육 방안을 활용한 장기 연구를 해 보지 않아 효과성 및 타당성을 입증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를 예비 연구로 하여 일반화를 위한 대규모 실험 연구나 장기 연구를 통해 좀 더 심층적으로 효과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후속 연구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후속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 방안이 실제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교육 방안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seeks to suggest education methods to improve the writing competency of students by focusing on TOPIK Questions based on statistics in writting section. The questions are on guided writing in the current TOPIK system. The test-taker is asked to objectively and accurately analyze the visual data provided and select particular elements to paraphrase in 200-300 characters using appropriate vocabulary and expressions in Korean. As such,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writing capability is required. But most students not only experience difficulty in writing, but also avoid writing as they see it as a burden. Even when students have the linguistic knowledge required for writing, they are often unable to organize a text properly or complete a text in a practical manner. As such, this study suggests an education method for writing that focuced on TOPIK Questions based on statistics in writting section by using dicto-comp activities that have been revised to improve Korean writing skills while easing the burden of writing.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manner. In Chapter I, the objective of and need for the study is discussed.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ceding studies are reviewed. For theoretical backgrounds, TOPIK and dicto-comp activities are reviewed with their educational values identified. Preceding studies are also reviewed and the need for studies on writing education methods about TOPIK Questions based on statistics in writting section is also confirmed. Dicto-comp activities combine only the advantages of diction and writing through controlled writing and free writing. These activities have also been verified as effective methods for education. Based on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ceding studies, study questions were established. The study questions were then discussed in Chapter III and Chapter IV. In Chapter Ⅲ, to collect relevant data of preparing educational methods for TOPIK Questions based on statistics in writting section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OPIK Questions based on statistics in writting section that have already been used, errors of students about TOPIK Questions based on statistics in writting section and the needs of instructors and students about TOPIK Questions based on statistics in writting section. Based on the implications and findings gained through this analysis, the answer to the study questions could be found. The answers to the study questions found in Chapter III serve as the basis for developing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suggested in Chapter Ⅳ. In Chapter Ⅳ, the implications found through a review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ceding studies served as the basis for a revised dicto-comp activities. With the revised dicto-comp, Education methods of TOPIK Questions based on statistics in writting section were then presented in a total of 10 steps. Materials, class processes and activities are also presented in detail. A case study on classes that used the suggested educational measure and interviews with students after the class are also presented. The interviews found that most of the students had a positive response to the educational measure, suggesting that it can be an efficient and effective measure. In Chapter Ⅴ, a summary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findings are presented, with comments on the limit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a follow-up. While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educational methods to improve integrated writing capabilities of students by using revised dicto-comp activities that focus on TOPIK Questions based on statistics in writting section, it has its limits in that it was not abl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validity through a longer term study using the suggested measure. As such, this study should be used as a preliminary study to conduct a follow-up study that takes the form of a larger-scale experimental study or a longer term study to generalize the hypothesis.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rough such follow-up studies, the suggested educational methods will be applied effectively in the field of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