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5 Download: 0

인스타그램 이용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외모비교와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Title
인스타그램 이용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외모비교와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agram Usage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 Mediated-Moderation model of Appearance Comparison and Self-Concept Clarity
Authors
조원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본 연구는 SNS(인스타그램) 이용이 이상섭식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조절효과와 외모비교의 매개효과를 포함한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인스타그램을 이용하는 만 20세에서 34세에 해당하는 성인초기 남녀 36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 중 불성실한 응답 및 극단 값을 제외한 35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각 변인들 간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위계적 회귀분석 및 SPSS PROCESS macro 3.3을 이용하여 각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SNS(인스타그램) 이용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외모비교를 통한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된 조절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SNS(인스타그램) 이용, 외모비교, 이상섭식행동, 자기개념명확성 모든 변인들 간 상관이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SNS(인스타그램) 이용과 외모비교, 이상섭식행동 각각은 다른 주요 변인들과 모두 정적상관을 보였고, 자기개념명확성은 다른 주요 변인들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SNS(인스타그램) 이용과 이상섭식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였으며, 외모비교와 이상섭식행동과의 관계 또한 자기개념명확성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SNS(인스타그램) 이용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를 외모비교가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SNS(인스타그램) 이용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외모비교의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상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결과를 종합하여 SNS(인스타그램) 이용과 이상섭식행동과의 관계에서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SNS(인스타그램) 이용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외모비교를 통한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SNS(인스타그램) 이용이 직접적으로 이상섭식행동을 예측할 뿐만 아니라 SNS(인스타그램) 이용이 외모비교를 통하여 이상섭식행동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높은 자기개념명확성이 SNS(인스타그램) 이용, 외모비교와 이상섭식행동과의 관계를 조절하여 이상섭식행동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SNS(인스타그램) 이용과 이상섭식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를 넓힘으로써 이상섭식행동의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성인초기는 정체성 형성과 신체적 자기평가와 같은 영역에서 자신에 대한 가치를 만들어나간다는 중요한 시기이다. 성인초기에 이상섭식행동이 많이 나타난 점을 고려해보았을 때, 정체성 형성에 도움을 주어 이상섭식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절한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SNS(인스타그램) 이용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외모비교의 매개효과와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이상섭식행동의 어려움을 겪는 성인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적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SNS(Instagram)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using a mediated-moderation model.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of SNS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would be moderated by self-concept clarity and mediated by appearance comparison. To that end, this research conducted an online self-reporting survey of 365 men and women in the early 20 to 34 years of age using domestic Instagram to collect data. Based on 350 data, excluding unsatisfactory responses and extreme values,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s were conducted between each of the variables. Subsequentl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of the variables was identifi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d the SPSS PROCESS macro 3.3. Since then,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adjustment effect of self-conceptual clarity through appearance comparison was tested in relation to the use of SNS(Instagram)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ach of the variables. As a result, the use of SNS(Instagram), appearance comparison, disordered eating behavior, and self-concept clarity of all the variables were all significant. The use of SNS(Instagram) and comparison of appearance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each showed static correlation with other major variables Self-concept clarity has shown inadequate correlation with other key variables. Second, the control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was significant in relation to the use of SNS(Instagram)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comparison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also showed significant control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Thir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up a research model tha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NS(Instagram) use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al mediated effect of appearance comparison was significant in relation to SNS(Instagram) use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Fourth, the mediated-moderation model was verified in relation to the use of SNS(Instagram) and the abnormal eating behavior by summing up the results of these adjust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ed-moderation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through appearance comparison was significant in relation to SNS(Instagram) use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NS(Instagram) use not only directly anticipates disordered eating behavior, but SNS (Instagram) use leads to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rough comparison of appearance. In this process, it was also found that high self-concept clarity played a role in reducing disordered eating behavior by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comparison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using SNS(Instagram).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to develop an effective program for the treatment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 by broadening the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the use of SNS(instagram) and the relationship with disordered eating behavior. Furthermore, early adulthood is an important period for creating values for oneself in areas such as identity formation and physical self-assessmen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were a lot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 in early adulthood, proper intervention is needed to help form identity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o understand more specifically and develop effective preventive and therapeutic measures for adults suffering from disordered eating behavior as the mediated-moderation effects of appearance comparison and self-conceptuality are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Instagram) use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