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7 Download: 0

특수교사의 낙관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Title
특수교사의 낙관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Optimism, Social Support, Sense of Calling and Burnout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uthors
이은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낙관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소명의식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권에서 재직 중인 특수교사 149명에게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주요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SPSS 25.0와 SPSS PROCESS macro 3.0을 사용하여 각 변인 간 관계를 알아보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법을 사용하여 낙관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소명의식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상관분석을 통하여 주요 변인들 간 상호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낙관성과 사회적 지지, 소명의식, 심리적 소진 간 상관이 모두 유의미하였다. 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은 낙관성과 사회적지지, 소명의식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반면, 특수교사의 낙관성, 사회적 지지, 소명의식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낙관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소명의식의 단순매개효과가 각각 유의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소명의식을 순차적으로 거쳐 심리적 소진에 이르는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낙관성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직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특수교사 개인의 낙관성은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는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높은 낙관성은 특수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높이고 이렇게 높아진 사회적 지지는 소명의식을 고취시켜 결국에는 심리적 소진을 낮추는 것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에 기반하여 특수교사의 낙관성, 사회적 지지, 소명의식이 심리적 소진의 예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소명의식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함에 따라, 개인의 성격 특성인 낙관성에 비교적 변화의 여지가 높은 사회적 지지와 소명의식을 개입하였을 때 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 예방이 보다 용이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낙관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소명의식이라는 변인을 개입하여 개인 내적/외적 요인에 대하여 통합적인 검증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는 데 있어 특수교사가 지니고 있는 긍정적 자원을 바탕으로 한 중재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토대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social support, sense of calling and burnou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study identified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burnout.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self-report online survey were conducted with 162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currently working in Seoul and Kyonggi - do.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total of 149 data, excluding the unreliable response and extreme values. Thereafter,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four variables were analyzed via bootstrapping verification with SPSS PROCESS macro 3.0. Firs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four key variables. As a result, there was significant interrelation between optimism, social support, sense of calling and burnout. Specifically, burnou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optimism,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alling.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ptimism,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alling.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burnout was verifi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burnout was verified. Also,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burnout were verified. In last, the direct effect of optimism on burnout was significant. As a result, the optimism that i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ffects prevention of burnout. Also, optimism had a greater influence on prevention of burnout through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all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dentified the positive resources among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personal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prevent the burnou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according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