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8 Download: 0

학교상담자의 직무환경, 효능감, 간접 트라우마 관리 수준이 전문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교상담자의 직무환경, 효능감, 간접 트라우마 관리 수준이 전문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 Efficacy and Secondary Trauma Care Inventory on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f School Counselors.
Authors
정유선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지은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학교상담자의 전문가 삶의 질이 어떠한지 파악하고, 전문가 삶의 질에 직무환경과 효능감, 간접 트라우마 관리 수준이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초, 중, 고등학교 및 위센터 등에 근무하고 있는 20~60대의 전문상담교사, 전문상담사 30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직무환경 척도’, ‘전문상담교사 효능감 척도’, ‘간접 트라우마 관리 척도’, ‘전문가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였다. 주요 변인들의 빈도,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직무환경과 효능감, 간접 트라우마 관리 수준이 전문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환경과 효능감, 간접 트라우마 관리 수준의 하위 요인들이 전문가 삶의 질의 하위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상담자의 삶의 질의 하위 요인 중 소진과 간접외상스트레스가 하나라도 높은 수준에 해당하는 응답자가 163명(53.1%)으로 나타나, 학교상담자의 절반 이상은 개인과 직무환경이 위험한 수준에 해당되었다. 또한 상담자들이 평소 높은 수준의 소진과 간접외상스트레스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있고, 소진과 간접외상스트레스가 누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효능감과 직무환경, 간접 트라우마 관리 수준이 모두 전문가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전문가 삶의 질을 높이는 데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은 효능감이었고, 직무환경 역시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간접 트라우마 관리 수준도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직무환경의 하위 요인 중에서 명확한 직무 역할과 편안하게 근무할 수 있는 환경, 이직의도와 역할갈등을 줄일 수 있는 환경이 특히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효능감의 하위 요인 세 가지가 모두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정서를 잘 다루는 정서조절효능감과 상담을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는 상담효능감, 여러 가지 일을 잘 다루는 적극대처효능감의 순으로 중요성이 나타났다. 다섯째, 간접 트라우마 관리 수준의 하위 요인 중에 일의 의미를 갖고 근무하는 것과 상담자 개인이 주변의 관계자원을 주도적으로 활용하는 것, 상담을 잘 할 수 있도록 상담자 자신의 신체를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교상담자의 전문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상담자의 직무환경의 개선과 함께 효능감과 간접 트라우마 관리 수준을 높이는 것이 모두 중요함을 의미한다. 직무환경을 개선하고 효능감과 간접 트라우마 관리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개인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며, 학교 전반의 공조 기반이 마련되어야 하며, 국가적으로도 정책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전문가 삶의 질을 높이게 되면 학교상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This research estimates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f the school counselors and examines how occupational characteristic, efficacy, and secondary trauma care inventory respectively affect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f school counselors. This study analyzed the online survey data from 307 counselors in their 20s to 60s, who were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high schools, and Wee Centers in South Korea. The survey used four measures, Occupational Characteristic, School Counselor Efficacy Scale, Secondary Trauma Care Inventory(STCI), Korea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K-proQOL 5).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school counselors was performed. Also, in order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our measures,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Furthermore,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stimate correlations between each of the four measures and its explanatory variables. The data analysis reveals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show a high level in burnout or secondary traumatic stress, which are sub-elements of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was 163, 53.1 percent of the whole respondents. This result implies that more than half of the school counselors have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 at a risky level. Most of the survey respondents appear to suffer severe burnout continuously and are under much stress from secondary trauma. As a result, the adverse effect of such psychological stress seems accumulated. Secondly,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 efficacy, and secondary trauma care inventory statistically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f the school counselors. Based on the data analysis, the efficacy most correlates with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f the school counselors.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 has the second most correlation, and the secondary trauma care inventory also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f the school counselors. Thirdly, job description, office environment, turnover intention, and role conflict, which are the sub-elements of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 present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f the school counselors. Fourthly, all sub-elements of the efficacy are statically significant to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f the school counselors. The sub-elements are, in order of significance, emotion regulation efficacy, counseling efficacy, and coping efficacy. Lastly, among sub-elements of secondary trauma care inventory, the meaning of work, accessibility to interpersonal resources, and health condition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f the school counselors. The research results are interpreted that improving occupational characteristic, efficacy, and secondary trauma care inventory together is essential in order to enhance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f school counselors. Attention and efforts of individual school counselors are necessary for an improvement in occupational characteristic, efficacy, and secondary trauma care inventory Besides, the support of educational and social policies is required.  If we make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f school counselors better through such supports, the quality of school counseling will become bett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