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상근-
dc.contributor.author이민경-
dc.creator이민경-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09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09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4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43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86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사전 글쓰기의 유형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과 쓰기 학습에 관련한 정의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전 글쓰기의 유형으로 브레인스토밍, 그래픽 조직자, 그리고 모델글 분석 세 가지 활동을 선정하여, 이야기체 글을 작문할 때 각 활동을 실시하는 것이 학습자의 쓰기의 구성, 내용, 정확성, 어휘의 네 가지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영어 쓰기에 대한 흥미, 자신감, 학습 동기, 그리고 사전 글쓰기 활동의 효과에 대한 인식 등 네 가지 정의적 영역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은 경기도의 D 중학교 1학년 학습자 58명을 대상으로 6차시에 걸쳐 실시되었다. 브레인스토밍 집단, 그래픽 조직자 집단, 모델글 분석 집단으로 나누어진 학생들은 본 실험이 시작되기 전에 사전 쓰기 평가와 사전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작문 과제는 6개의 연속된 그림을 보고 하나의 완성된 이야기를 쓰는 활동이었으며, 학습자들은 각 작문의 시작 전에 10분 간 집단별로 상이한 사전 글쓰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사전 글쓰기 활동은 3-4명으로 이루어진 모둠으로, 글쓰기 활동은 개별로 진행되었다. 본 실험이 끝난 뒤에 사후 쓰기 능력 평가와 심화 설문 문항을 포함한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심화 설문에서는 사전 글쓰기 활동, 조별활동, 영어 쓰기 수업 전반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을 살펴보았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글쓰기 활동의 유형이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 결과, 브레인스토밍, 그래픽 조직자, 모델글 분석 집단의 사후 쓰기 능력을 비교했을 때 구성, 내용, 어휘, 정확성 네 가지 영역과 총점에서 세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세 집단 모두 사전 대비 사후 평가에서 영어 쓰기 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브레인스토밍 집단과 그래픽 조직자 집단은 구성, 내용, 어휘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모델글 분석 집단은 내용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쓰기 총점은 세 집단 모두 사전 대비 사후 평가 결과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브레인스토밍, 그래픽 조직자, 모델글 분석 활동 모두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전 글쓰기 활동이지만 세 유형 간의 효과 차이는 크지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전 글쓰기 활동의 유형이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및 사전 글쓰기 활동에 대한 태도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 결과, 세 집단의 사후 정의적 영역을 비교했을 때 모델글 분석 집단의 자신감이 다른 두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자들이 사전 글쓰기 활동에서 모델글 분석을 수행할 때 브레인스토밍이나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할 때보다 자신감에 긍정적 영향을 받았다. 한편 모델글 분석 집단과 브레인스토밍 집단은 정의적 태도의 네 가지 영역 모두에서 사전 대비 사후 정의적 태도의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다. 다만 그래픽 조직자 집단에서는 쓰기 학습 동기 영역에서 사후 평균이 사전 대비 하락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후 심화 설문에 대한 학습자들의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학습자들은 6차시 동안 실시된 실험 활동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별로 두 명 내외의 소수가 본 활동의 부정적인 측면으로 사전 글쓰기 활동의 어려움을 언급하였지만, 많은 학습자들은 실험기간 동안 수행했던 사전 글쓰기 활동을 통해 작문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었고 사전 글쓰기 활동의 필요성을 알게 되었으며 영어 쓰기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고 응답했다. 그리고 학습자들은 사전 글쓰기 활동을 조별로 수행한 것에 대해서도 대체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학습자들은 사전 글쓰기 활동을 조별로 수행하면서 모둠원끼리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었고 다양한 의견을 들을 수 있었으며 협동심이 길러졌고 재미있었다고 응답했다. 다만 집단별로 서너 명 내외의 일부 학습자들은 활동에 소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습자들이 소수 있었던 점을 부정적 측면으로 꼽았다. 이상의 결과는 학교 쓰기 수업 현장에서 사전 글쓰기 활동을 실시하면 영어 쓰기 학습이 활성화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쓰기 학습의 초기 단계에 있는 학습자들이 문단 단위의 글쓰기를 본격적으로 학습하기 시작하는 중학교 수준에서부터 사전 글쓰기 활동을 지도하면 학습자들이 이를 실제 글쓰기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사전 글쓰기 활동을 조별로 수행하는 것은 비계(scaffolding) 학습,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와 인식, 협동성 신장, 흥미 유발 등에 긍정적이다. 다만 교사는 조별활동으로 사전 글쓰기 활동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학습자가 소수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pre-writing activities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and affective domains. To explore the influences on the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three pre-writing activities were chosen: brainstorming, graphic organizer, and model text analysis. A total of 58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six sessions of this experiment.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separate experimental groups, and each group was assigned a different type of pre-writing activity. Before the experimental treatment, all subjects were asked to take a pre-test and fill out a pre-questionnaire to examine their writing ability and attitude toward English writing and pre-writing activities. During the treatment, the participants of each group were asked to do brainstorming, graphic organizer, or model text analysis for 10 minutes and then write a narrative for 15 minutes. The writing task used in the treatment was a picture-based story writing task, which asked the students to compose a complete story based on the given picture series. The pre-writing phases were cooperatively done in a team of 3 or 4, and the writing phase individually. After 6 lessons of the treatment, all students took post-test and filled out a post-survey. For more in-depth affective reactions, further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paired-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The experimental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erms of the writing ability, the t-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scores and post-test scores in all of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Specifically, the brainstorming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spects of organization, content, and vocabulary. The graphic organizer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writing ability in the same aspects of writing to the brainstorming group. The model text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writing in the content aspect only. The third group, however, had shown higher average score enhancement for accuracy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The results of ANOV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ost-test scores of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which implied that the different types of pre-writing activities were not associat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writing ability. Regarding the affective aspects, the t-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model text group's post-questionnaire scores for self-confidence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e-questionnaire scores. On the other hand, the graphic organizer group's post-questionnaire scores for academic motivation significantly reduced in comparison to the pre-questionnaire scores. The brainstorming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the affective aspec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OVA,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in the academic motivation scores of the post-questionnaire. The post-hoc analysis result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between the model text group's scores for motivation and the brainstorming group's scores and between the model text group's scores and the graphic organizer group's scores. In the in-depth questionnaire analysis, most of the participants of the three groups ha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ir pre-writing activity and writing classes. In regard to the cooperative learning in the pre-writing phase, several benefits were commonly reported from the three groups in aspects of scaffolding, diverse opinions, cooperative attitude, or interest, while some negative responses reported that a few students showed low engagement in the group activity. The findings above suggested a few pedagogical implications on the pre-writing activities. First, school teacher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more chances of pre-writing activities. As the pre-writing activities are helpful for students to generate ideas for writing, beginners in writing need to start practicing pre-writing activities in middle schools. Also, cooperative pre-writing needs to be encouraged in the school context with the class design that can facilitate every student's particip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A. 쓰기 지도 5 1. 쓰기 및 쓰기 지도의 중요성 5 2. 쓰기 지도 접근법 7 B. 사전 글쓰기 활동 11 1. 사전 글쓰기 활동의 개념 및 중요성 11 2. 사전 글쓰기 활동의 유형 13 C. 선행연구 22 1. 사전 글쓰기 활동 관련 선행연구 22 2. 유형별 사전 글쓰기 활동의 비교 관련 선행연구 29 Ⅲ. 연구 방법 35 A. 연구 질문 35 B. 연구 대상 36 C. 연구 자료 36 1. 사전사후 쓰기 능력 평가지 37 2. 학습용 자료 37 3. 쓰기 평가 채점 기준표 47 4. 사전사후 설문지 49 D. 연구 절차 50 1. 실험 이전 절차 50 2. 실험의 주요 활동 53 3. 실험 이후 절차 54 E. 연구 자료 분석 54 1. 쓰기 평가 채점 및 채점자 간 신뢰도 분석 54 2. 통계 분석 55 F. 연구의 제한점 55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57 A. 사전 글쓰기 유형이 글쓰기에 미치는 영향 57 1. 집단 내 영어 쓰기 능력 변화 비교 57 2. 집단 간 사후 쓰기 능력 결과 비교 63 B. 사전 글쓰기 유형이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65 1. 집단 내 정의적 측면 변화 비교 65 2. 집단 간 정의적 측면 결과 비교 68 C. 사후 심화 설문 결과 분석 71 1. 사전 글쓰기 활동 관련 의견 71 2. 사전 글쓰기 활동의 조별활동 관련 의견 74 3. 영어 쓰기 수업 전반에 대한 의견 77 Ⅴ. 결론 및 제언 81 참고문헌 85 부록1. 사전사후 쓰기 능력 평가지 93 부록2. 글쓰기 활동지 95 부록3. 집단별 학생 글쓰기 활동 예시 101 부록4. 브레인스토밍 활동지 103 부록5. 그래픽 조직자 활동지 104 부록6. 모델 그림 105 부록7. 모델글 분석 활동지 108 부록8. 사전사후 설문지 114 부록9. 사후 심화 설문지 116 Abstract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168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사전 글쓰기 활동 유형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과 쓰기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Pre-writing Activities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and Affective Domain-
dc.creator.othernameRhee, Min Kyung-
dc.format.pageviii, 1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