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주-
dc.contributor.author김은지-
dc.creator김은지-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09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09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9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97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866-
dc.description.abstractAs research has increasingly focused on the use of linguistic corpora in the field of language learning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the use of native English corpora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draw much attention as well. In addition, especially in Korea context, where students lear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EFL), second language learners’academic writing skills becomes important. According to precious studies, formulaic sequences play an essential role in improving L2 learners’productive skills and academic writing proficiency. L2 learners in Korea have difficulty in learning formulaic sequences because they have limited opportunities to encounter formulaic sequences in authentic context. However, corpus data has been regarded effective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f learning English in EFL context. In spite of their vital role in proficient language production, the effect of learning formulaic sequences using corpus on L2 learners’proficient writing skills has not yet been empirically examin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orpus-based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in augmenting high school students’writing skills and attitude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ree-week period with 54 students enrolled in first year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Korea. According to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employed, students were divided into one experimental group and one control group. One experimental group learned formulaic sequences with corpus based method, and the other control group learned formulaic sequences through traditional method, or definition-centered learning. The experimental groups used COCA(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Word and Phrase Info to search target formulaic sequences and their example sentences following directions’of worksheet. The control group received explicit instruction including definitions of formulaic sequences and performed paper based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riting ability was found between corpus-based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and traditional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Second, traditional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was shown to have a greater effect on acquisition of productive knowledge of formulaic sequences. Third, corpus-based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showed a greater effect on improving grammatical accuracy of writing. Lastly, after the experiment, most of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corpus-based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and hoped to use the corpus when learning English in the future. The following pedagog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various corpus-based activities for EFL writing class need to be developed. Second, student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corpus-based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and regarded this method a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method vocabulary learning. Therefore, corpus-based learning can play a role in raising students’ motivation.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교 영어 교육을 통해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갖춘 글로벌 시민 양성을 강조하고 있고, 원어민과 같이 유창하게 말하고 쓸 수 있기 위한 필수 요소로서 정형어구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형어구 학습법이 큰 주목을 받게 되었다. 정형어구를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능숙한 언어 산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특히 정형어구는 학술적 글쓰기에서 글의 질을 좌우하는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렇기 때문에 주로 학술적 목적으로 영어를 학습하고 있는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들이 정형어구를 적절히 습득한다면, 쓰기 능력이 향상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일상에서 영어를 사용할 일이 극히 드문 EFL 상황에서, 원어민이 자주 사용하는 정형어구를 접하기 어렵고 쓰기에서 부자연스럽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보완해줄 수 있는 것이 코퍼스이다. 원어민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언어 자료의 집합체인 코퍼스를 활용하면 해당 정형어구 표현이 사용되는 자연스러운 맥락을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코퍼스를 활용한 정형어구 학습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형어구를 학습할 때 코퍼스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효과와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먼저, 쓰기 점수를 구성하는 두 요소, 정형어구 산출 점수와 언어사용 점수 중 정형어구 점수와 관련하여, 코퍼스 활용 정형어구 학습이 정형어구의 생산적 지식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는데, 이를 위해 사후 평가 점수를 토대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점수 차이를 통계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그리고 언어사용 점수와 쓰기 전체 점수를 살펴보고,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각 집단 내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를 비교하여 어떤 방식이 정형어구 지식, 언어 사용, 그리고 두 요소를 합한 쓰기 능력에 더 효과적인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코퍼스 활용 정형어구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소재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54명이며, 동질성이 검증된 두 집단이 각각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선정되었다. 실험 집단은 코퍼스를 활용한 정형어구 학습 집단으로, 활동지의 지시에 따라 COCA(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의 Word and Phrase Info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목표 정형어구를 검색하고 예문을 살펴보며 직접 써보는 활동을 하였다. 통제 집단은 교사의 명시적 설명을 들은 후 익숙한 방식의 활동들로 구성된 활동지를 개별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 집단은 사전 코퍼스 활용 교육 1차시를 포함한 총 7차시, 통제 집단은 총 6차시에 걸쳐 실험이 진행되었다. 사전 정형어구 지식 평가 및 사전 쓰기 평가 후 3차시의 동안의 실험 수업이 진행되었고, 실험 수업이 모두 종료된 후 사후 평가 및 사후 설문지를 실시하여 코퍼스 활용 정형어구 학습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해보았다. 실험 수업 후 사전 평가, 사후 평가 및 사후 설문 조사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형어구의 생산적 지식 습득 면에선 전통적 방식의 정형어구 학습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 사용 면에선 코퍼스 활용 정형어구 학습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정형어구 점수와 언어 사용점수를 합한 쓰기 점수를 비교했을 때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집단 내 사전 평가 점수와 사후 평가 점수를 비교해보았다. 먼저, 코퍼스 활용 정형어구 학습 집단의 경우, 쓰기 점수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고, 쓰기 점수를 구성하는 정형어구, 언어 사용 점수 각각 역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다음으로, 전통적 방식의 정형어구 학습 집단의 경우, 정형어구 점수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언어 사용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지만 소폭 하락하였으며, 두 점수를 합산한 쓰기 점수는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코퍼스를 활용한 정형어구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를 조사한 서술형 설문 결과, 코퍼스 활용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고 거의 대부분의 학생이 향후 학습시 코퍼스를 활용하길 희망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하고자 하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퍼스를 활용한 교수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다. 쓰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형어구를 코퍼스를 활용하여 하였을 때 쓰기 능력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확인되었지만,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한 실험적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하므로 실제로 활용할 수 있고 지속 가능한 교수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 수행된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정형어구를 학습을 위한 것이었지만, 그 과정을 확장시켜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법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도표를 묘사하는 통제 작문의 형태로 쓰기를 진행하였는데, 다른 장르의 글을 자유 작문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수업 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셋째, 어휘 학습이라고 해서 단순히 어휘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어휘가 사용되는 문장과 맥락을 폭 넓게 확인할 수 있게 지도해야 할 것이다. 코퍼스를 활용한 정형어구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가 긍정적이었고, 향후 코퍼스를 활용하길 희망한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많았다. 이를 통해 암기식 어휘 학습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실제 원어민이 사용하는 표현들을 접할 수 있는 코퍼스가 매력적으로 다가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한적인 표현과 예문만을 다루는 현재의 교과서 및 EBS 교재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어휘가 사용되는 예문을 다양하게 접하면서 쓰기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기에 앞으로 관련 연구가 계속되는 것은 교육 현장에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7 A. 정형어구 7 1. 정형어구의 정의 7 2. 정형어구 학습의 필요성 9 B. 쓰기 12 1. 쓰기의 정의 12 2. 통제 작문 13 3. 정형어구와 쓰기 14 C. 코퍼스 16 1. 코퍼스의 정의 16 2. 코퍼스와 어휘 학습 17 D. 선행 연구 19 1. 코퍼스 활용 정형어구 학습 19 2. 정형어구 학습과 쓰기 능력 21 3. 코퍼스와 쓰기 23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26 A. 연구 질문 26 B. 연구 대상 27 C. 연구 도구 28 1. 목표 정형어구 28 2. 사전 정형어구 평가지 29 3. 사전, 사후 쓰기 평가지 31 4. 쓰기 평가지 채점 기준 33 5. 수업 중 정형어구 학습 활동지 35 6. 실험 후 학습자 정의적 태도 조사를 위한 설문지 38 D. 연구 절차 및 분석 방법 38 1. 실험 이전 절차 39 가. 실험 집단 선정 및 사전 정형어구, 쓰기 평가 40 2. 실험 수업 절차 42 가. 코퍼스 활용 정형어구 학습 집단 42 나. 전통적 정형어구 학습 집단 42 3. 실험 이후 절차 44 가. 사후 평가 및 설문 44 4. 자료 분석 방법 44 E. 연구의 제한점 45 Ⅳ.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 47 A. 집단 간 비교 47 1. 집단 간 정형어구 생산적 지식 향상 비교 47 2. 집단 간 쓰기 능력 향상 비교 49 B. 집단 내 쓰기 능력 향상 비교 51 1. 코퍼스 활용 정형어구 학습 집단 내 쓰기 능력 향상 비교 51 2. 전통적 정형어구 학습 집단 내 쓰기 능력 향상 비교 53 C. 코퍼스 활용 정형어구 학습과 쓰기에 대한 설문 결과 54 Ⅴ. 결론 및 제언 60 참고문헌 64 부록 74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31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코퍼스를 활용한 정형어구 학습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도표 해석에 사용되는 정형어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Corpus-based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o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and Attitudes : Focus on Vocabulary Used in Graph Interpretation-
dc.creator.othernameKim, Eunji-
dc.format.pagevii,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