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4 Download: 0

음악교과 협동학습에 대한 중등음악교사의 관심도 및 실행도 분석

Title
음악교과 협동학습에 대한 중등음악교사의 관심도 및 실행도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Secondary Music Teachers’ Concerns and Uses of Cooperative Learning : Focusing on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
Authors
정인홍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영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관심중심수용모형(Concerns-Based Adoption Model : CBAM)에 기초하여 중등음악교사들의 협동학습 활용에 대한 관심도와 실행도를 살펴봄으로써 현 상태를 진단하고자 한다. 위의 연구 목적을 위하여 관심중심수용모형에서 각 영역별로 제시한 자료 수집 방법을 활용하여 온라인 기반 설문지를 제작하였으며, 전국의 현직중등음악교사 110명의 연구 자료를 최종적으로 수집하였다. 우선 음악교과에서 협동학습의 활용에 대한 중등음악교사들의 관심 단계는 전반적 관심 단계와 개별적 관심 단계로 살펴보았으며, 교사들의 개인 배경 변인(교직 기간, 근무 기관, 연수 경험)에 따른 관심 단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그 다음으로 음악교과에서 협동학습 활용에 대한 중등음악교사들의 실행 수준을 전반적으로 파악하였으며, 교사 개인 배경 변인(경력 기간, 근무 기관, 연수 경험)에 따른 실행 수준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중등음악교사들의 협동학습 활용에 대한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음악교사들의 협동학습 활용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 단계는 1단계‘정보적 관심’으로 드러났다. 이는 현재 중등음악교사들이 협동학습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대체적인 정보는 알고 있지만 좀 더 협동학습을 활용하는데 있어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정보를 원하는 상태라고 해석되어진다. 이 때 중등음악교사들이 구체적으로 원하는 정보의 종류는 관심 단계 6‘재초점 관심’이 두 번째로 높은 관심 단계로 나타남에 따라 교사 자신과 협동학습이 관련된 정보와 학생들에게 협동학습이 미치는 효과가 향상할 수 있도록 수정 및 보완하는데 필요한 정보라고 예상할 수 있다. 둘째, 중등음악교사들의 개인 배경 변인에 따른 관심 단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사들의 ‘교직 경력’에 따라 교직 경력이 낮은 중등음악교사 집단이 경력이 높은 중등음악교사 집단에 비해 협동학습 활용에 대한 관심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등음악교사들의 전반적인 협동학습 활용의 실행 수준은 6‘갱신’단계로 확인되었다. 이는 중등음악교사들이 협동학습 활용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협동학습을 수정 및 보완하거나 더 나은 교수법을 모색하는 상태라고 해석되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중등음악교사들은 협동학습을 능동적으로 활용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중등음악교사들의 협동학습 활용에 대한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은 유의한 관계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이를 통해 협동학습 활용에 대한 중등음악교사들의 실행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관심 단계를 높이는 방안을 강구해야함을 알 수 있다. 위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현재 대부분의 중등음악교사들은 협동학습에 대한 관심이 있으며 학생들을 고려하여 능동적으로 협동학습을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협동학습에 대해 관심이 있고 협동학습을 활용하는 교사들에게는 중등음악교사들의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을 고려하여 그들이 필요로 하는 적절한 정보 및 지원을 제공하여 협동학습 활용을 더욱 이상적인 단계로 변화시키며, 그렇게 함으로써 음악교과에서 중등음악교사들의 협동학습 활용이 더욱 이상적이며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tages of concerns and levels of use of secondary music teachers’ use of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 and to describe the current stat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web-bas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llowing the data collecting methods of two areas of the CBAM, and data of 110 in-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participants’ general stages of concerns and specific stages of concerns were analyzed. Then,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background variables (the in-service period, the school one’s working at, and relevant training experience).The data on levels of use were analyzed to find general levels of use of the participating teachers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reas of the CBAM was explored. All this led to the following four results. Firstly, regarding stages of concern, the respondents were mostly at Informational Stage (Stage 1). This indicates that they are aware of cooperative learning but in need of specific and practical information. As to specific types of information the participants wanted to get, Personal Stage (Stage 2) ranked second, followed by Refocusing Stage (Stage 6), suggesting that they demand information that they can relate to or that they can use to improve their teaching and increase the impa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students. Secondly, a difference was found on stages of concern between the respondents with different in-service periods. Those with shorter teaching experience showed a higher stage of concern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ith longer careers. Thirdly, most of the participating teachers were at Renewal (Level 6) when it comes to levels of use of cooperative learning. This means that they are working to find better teaching methods or programs to improve the impa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students, proving that they are actively accepting and harnessing cooperative learning. Lastly, the participants’ levels of us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stages of concer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proper ways to promote concerns in order to raise the level of use of secondary music teachers. The findings indicate that most secondary music teachers are aware of cooperative learning and willing to utilize it when teaching their students. So,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ir stages of concerns and levels of use so as to improve their use of cooperative learning in class by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and adequate resources. It is hoped that this will promote and improve utiliz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by secondary music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