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5 Download: 0

이압요법이 혈액투석 환자의 수면과 소양증에 미치는 효과

Title
이압요법이 혈액투석 환자의 수면과 소양증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 of Auricular Acupressure on Sleep and Pruritus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Authors
방윤이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효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auricular acupressure on sleep quality and pruritus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and to propose an effective and evidence-based nursing intervention. This is a single-blind, nonequivalent, group comparison study composed of 42 participants who are undergoing hemodialysi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18 to April 2019. In this study, five different acupressure sites were applied to each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n=21) received acupressure on shenmen, heart, anterior lobe, occiput, and endocrine, whereas the control group (n=21) received acupressure on tooth, jaw, chest, knee, and anus. The experimental period was total 8 weeks, with alternating five days of affixing phase and two days of resting phase. Related dependent variables include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PSQI), total sleep time(TST), Sleep efficiency(SE), Sleep-onset Latency(SOL), Number of Awakening(NWAK), REM sleep, Light sleep, Deep sleep, serum melatonin level, subjective pruritus(Visual Analogue Scale: VAS), skin hydration, and skin pH.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before intervention, at the 4th week of intervention, and at the 8th week of intervention,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24.0 program.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χ2-test, Fisher's exact test, Shapiro-Wilk normality test, repeated measures ANOVA, Friedman test,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SQI(F=47.61, p<.001), TST(F=18.162, p<.001), SE(F=4.080, p=.034), SOL(F=21.825, p<.001), Light sleep(F=17.384, p<.001), and Deep sleep(F=8.142, p=.001)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groups and the intervention period. In experimental group,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ention period and the NWAK(χ2=46.00, p<.001)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Each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melatonin levels(t=-3.627, p=.001) between pre- and post- intervention. Therefore, auricular acupressure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leep quality.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QI, TST, SOL, NWAK, and Light sleep at the 4th week and 8th week of intervention. On the other hand, SE and Deep slee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at the 8th week of intervention. 3.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subjective pruritus(χ2=32.983, p<.001) and skin hydration of back(χ2=29.268, p<.001), abdomen(χ2=31.818, p<.001), leg(χ2=30.769, p<.001) between different intervention periods, an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t the 8th week of intervention. Thus, auricular acupressure is effective in reducing pruritus. Auricular acupressure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sleep quality and to reduce pruritus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혈액투석 환자가 경험하는 가장 흔한 증상 중의 하나인 수면장애와 소양증은 삶의 전반적인 영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수면장애는 신체적, 정신적 부담을 야기 시키기 때문에 혈액투석 환자에게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소양증은 주간보다 야간에 강도가 심해지기 때문에 적절한 수면을 유지하는데 더욱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임상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수면장애와 소양증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요법들은 신체적 정신적인 문제 발생의 가능성이 있어 부작용이 적은 비약물적 요법의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이압요법을 혈액투석 환자에게 적용하여 수면과 소양증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에게 총 8주간 이압요법을 적용하고 수면의 주관적 지표(PSQI), 수면의 객관적 지표(총 수면시간, 수면효율, 수면잠복기, 수면 중 각성 횟수, REM 수면, 얕은 수면, 깊은 수면), 혈중 melatonin 농도, 주관적 소양증(VAS), 객관적 소양증(피부 수분율, 피부 pH)을 측정한 단일 눈가림, 비동등성 대조군 비교설계이다. 연구기간은 2018년 11월부터 2019년 4월까지이며,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만19세 이상의 환자로, PSQI 5점 이상, 주관적 소양증(VAS) 3점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처치군 21명, 대조군 21명으로 처치군에게는 신문, 심, 수전, 뒷머리, 내분비 총 5곳의 반응점에 첩압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수면, 소양증과 관련 없는 반응점인 치아, 턱, 흉부, 무릎, 항문에 첩압하였다. 관련 종속변수는 중재 전, 중재 4주 후, 중재 8주 후에 측정하였다. 수면의 주관적 지표는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로 조사하였고, 수면의 객관적 지표는 fitbit alta TM을 사용하여 총 수면시간, 수면효율, 수면잠복기, 수면 중 각성 횟수, REM 수면, 얕은 수면, 깊은 수면을 측정하였으며, 혈액검사를 통해 melatonin 농도를 측정하였다. 소양증은 VAS를 통해 주관적 소양증을 측정하였고, howskin(IC-HSP001Ⓡ)을 사용하여 객관적 소양증(피부 수분율, 피부 pH)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sio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처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χ2-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고, 종속변수에 대한 정규성 검정은 Shapiro-Wilk normality test로 확인하였다. 연구가설 검정을 위해 두 집단 간의 수면의 주관적 지표, 수면의 객관적 지표, 주관적 소양증, 객관적 소양증(피부 수분율, 피부 pH)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는 repeated measures ANOVA와 Friedman test로 분석하였고, 혈중 melatonin 농도의 집단 간 차이는 independent t-test, 집단 내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각 시점에서 결과 변수의 집단 간 차이는 independent t-test와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처치군과 대조군의 PSQI는 집단과 시점 간 상호작용(F=47.61, p <.001)과 중재 4주 후, 중재 8주 후 PSQI 변화량에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이압요법을 적용받은 처치군과 대조군의 수면의 주관적 지표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은 지지되었다. 둘째, 처치군과 대조군의 총 수면시간(F=18.162, p <.001), 수면효율(F=4.080, p=.034), 수면 잠복기(F=21.825, p <.001), 얕은 수면(F=17.384, p <.001), 깊은 수면(F=8.142, p=.001)의 집단과 시점 간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수면 중 각성 횟수(χ2=46.00, p <.001)는 처치군에서 시점 간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총 수면시간, 수면 잠복기, 수면 중 각성 횟수, 얕은 수면의 중재 4주 후, 중재 8주 후 변화량 차이와 수면효율, 깊은 수면의 중재 8주 후 변화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혈중 melatonin 농도의 집단 간 차이(t=-3.627, p=.001), 처치군의 집단 내 차이(t=-6.131, p <.001) 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이압요법을 적용받은 처치군과 대조군의 수면의 객관적 지표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은 지지되었다. 셋째, 처치군에서 주관적 소양증의 시점 간 변화(χ2=32.983, p <.001)와 중재 8주 후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이압요법을 적용받은 처치군과 대조군의 주관적 소양증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은 지지되었다. 넷째, 처치군에서 등(χ2=29.268, p <.001), 배(χ2=31.818, p <.001), 다리(χ2 =30.769, p <.001) 객관적 소양증(피부 수분율)의 시점 간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등, 배, 다리 객관적 소양증(피부 수분율)의 중재 8주 후의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이압요법을 적용받은 처치군은 대조군보다 객관적 소양증(피부 수분율)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은 지지되었다. 다섯째, 이압요법을 적용받은 처치군과 대조군의 등, 배, 다리 피부 pH 변화는 집단과 시점 간 상호작용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중재 4주 후, 중재 8주 후 등, 배, 다리 피부 pH 변화량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아‘이압요법을 적용받은 처치군은 대조군보다 객관적 소양증(피부 pH)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 결과 이압요법은 혈액투석 환자의 수면과 소양증 개선에 효과가 있는 비약물적 간호중재임을 확인하였고, 객관적 지표의 검정을 통해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비침습적이고 효과적인 이압요법이 독자적인 간호영역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