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수진-
dc.contributor.author정성경-
dc.creator정성경-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03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03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2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21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84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종합예술활동의 뮤지컬 예술강사들이 협력종합예술활동과 자신의 교수역량에 대해 어떠한 이해와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협력종합예술활동의 뮤지컬 예술강사로 활동 중인 56명의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참여자 중 5명의 강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설문지와 심층면담 질문지의 내용은 크게 협력종합예술활동의 이해, 학교담당교사와의 협업에 대한 인식, 뮤지컬활동 운영에 대한 인식,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설문의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의 녹음자료는 전사하여 문서화하여 범주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종합예술활동에 대한 뮤지컬 예술강사의 이해는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종합예술활동의 목적 및 목표에 대해 가장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었으며 협력종합예술활동과 학교예술교육과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낮은 이해도를 보였다. 둘째, 뮤지컬 예술강사들은 학교담당교사와의 협업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역할분담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역할분담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로는 협업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며 이를 위한 기준의 정립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뮤지컬 예술강사들은 뮤지컬활동을 위해 주어진 수업시수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주어진 수업시수에 리허설과 공연이 포함되어 있고, 공연이 마지막 수업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공연 및 전반적인 뮤지컬 활동에 대한 피드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뮤지컬 예술강사들은 자신의 교수역량에 대해 대부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활동지도의 역량’에 대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수능력’ 및 ‘전문성 연구’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학교 뮤지컬수업의 지도경험이 있는 예술강사들이 경험이 없는 강사들보다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담당교사와 예술강사 간의 역할분담과 협업을 위한 기준정립, 뮤지컬 예술강사의 전문성과 교육적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선 및 개발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운영활성화기에 있는 협력종합예술활동이 그 구성원인 예술강사들의 인식을 반영하여 질적인 성장을 이루고 안정적으로 정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usical arts instructors’ perceptions and teaching competence of collaborative comprehensive arts activitie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56 teachers working as musical art instructors for collaborative comprehensive arts activitie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5 instructors among the survey participants. The contents of survey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largely included their understandings of collaborative comprehensive arts activities, perceptions of collaboration with school teachers in charge, perceptions of musical activity management, and perceptions of teaching compet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analyzes all the in-depth interviews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usical arts instructors' understandings of collaborative comprehensive arts activities were generally found to be high. They showed a high degree of understandings of the objectives and goals of the collaborative comprehensive arts activities and showed a low degree of understandings of the differences from the school culture arts education. Second, the musical instructors generally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collaboration with school teachers. But they responded that the division of roles is not going well. The reason is criteria for cooperation are not clear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ndard for it. Third, Musical art instructors answered that they lacked the number of classes given for musical activities. The class given includes rehearsals and performances. And the performance is mostly the last class, that's why there's no overall feedback on performance and musical activities. Fourth, Most of the musical art instructors were highly aware of their teaching abilities. The highest awareness of the competence of ‘activity guidance’ was given, and the study of ‘teaching ability’ and ‘professionalism’ was found to be rather low. Also, art instructors with guidance experience in musical classes were more aware of teaching skills than inexperienc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chool suggested the division of roles and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 and art instructor in charge of school. and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programs for the professionalism and educational capacity of musical art instruct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중학교 협력종합예술활동의 이해 5 B. 뮤지컬활동에 대한 이해 13 C. 예술강사에 대한 이해 16 D. 선행연구 고찰 19 Ⅲ. 연구방법 26 A. 연구대상 26 B. 연구절차 30 C. 연구도구 31 D. 분석방법 35 Ⅳ. 연구결과 및 분석 37 A. 협력종합예술활동에 대한 이해 37 B. 협력종합예술활동에 대한 인식 44 C.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 50 D. 경력에 따른 교수역량의 차이 57 Ⅴ. 결론 및 제언 58 참고문헌 61 부록1. 설문지 64 부록2. 심층면담 질문지 71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51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협력종합예술활동과 교수역량에 대한 뮤지컬 예술강사의 이해 및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Musical Art Instructors on Collaborative Comprehensive Art Activities and Teaching Capabilities-
dc.creator.othernameJung, Sungkyung-
dc.format.pagev,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