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3 Download: 0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음악교과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조사

Title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음악교과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조사
Other Titles
ABSTRACT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Music Classe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 High School in Seoul
Authors
이신의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음악교과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특성화고등학교 4개교를 선정하여 1학년 학생 2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설문자의 일반적 특성, 음악 교과에 대한 인식, 수업 내용, 교사 지도 방법, 수업 운영 환경, 평가 방식에 대한 만족도로 구성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로 실시되었다. 또한 설문조사에 대한 내용을 구체화하고자 설문조사에 참여한 학생 4명을선정하여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본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음악교과에 대한 인식은 필요도에 있어서 67%의 학생이 ‘음악수업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이유로는 ‘음악수업을 통해 여가, 여흥을 즐길 수 있어서’를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흥미도에 있어서는 42.1%의 학생이 ‘음악교과에 대한 흥미도가 보통이다’라고 응답하였으며, 가장 흥미를 느끼는 음악수업 영역으로는 감상수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이 가장 흥미를 느끼는 음악장르로는 대중가요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흥미를 느끼지 않는 음악장르는 세계민요인 것으로 나타났다. 난이도 및 이해도에 있어서는 62.6%의 학생이‘음악수업의 난이도가 보통이다’라고 응답하였으며, 46.8%의 학생이 ‘음악수업을 어느 정도 이해한다’라고 응답하였다. 음악시수에 있어서는 40.4%의 학생이 ‘음악수업의 시수가 보통이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음악교과를 통해 성취하고자 하는 음악적 능력에 있어서는 37%의 학생이 독보력(악보를 읽는 능력)을 기르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음악교과에 대한 만족도는‘교사의 학습활동 조직’에 대한 만족도가 M = 3.02로 가장 높았으며,‘교과서 내용 및 구성’에 대한 만족도가 M = 2.68로 가장 낮았다. 개별항목별로 분석한 결과로는 ‘음악선생님이 다른 교과와 융합된 수업을 한다’,‘음악 교실에 방음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에 대한 만족도가 M = 3.13으로 가장 높았으며, ‘학교 음악수업이 명확하고 확실한 학습목표를 가지고 진행 된다’,‘음악교과서의 내용이 주제와 난이도별로 잘구성되어 있다’,‘음악교과서가 가창, 기악, 창작, 감상의 음악적 지식을 적절하게 제시 한다’에 대한 만족도가 M = 2.65로 가장 낮았다. 학습 영역과 음악 교과서 내용 및 구성, 음악교과 평가 내용 및 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편이었으며, 음악교사의 학습 활동 조직과 교육 방법 및 매체활용, 음악교과 운영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보다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음악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음악교육 실태를 파악하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음악교육이 개선되도록 하는데 있어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에 부합하는 다양한 형태의 음악수업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music subject of stud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 To that end, four schools of Seoul's specialized high schools were selected and surveyed 297 students in the first grad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surveyor's general characteristics, awareness of music subjects, class content, teacher guidance methods, classroom operating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 evaluation method. Analysis of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with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cros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test. In addition, fou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were selected for a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to clarify the details of the survey. The conclusions resulting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67% of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said that music classes were necessary in terms of their needs, and the reason for that was because they could enjoy leisure and entertainment through music classes was chosen the most. In terms of interest, 42.1 percent of the students said, 'The level of interest in music subjects is average,' and the most interesting area of music classes was listening classes.Also, pop music is the most interesting genre, and music is the world's folk song. In terms of difficulty and understanding, 62.6 percent of the students said the difficulty of music classes was normal, while 46.8 percent said they understood music classes to some extent. When it comes to music poetry, 40.4 percent of the students said, 'The hour of music class is average,' and 37 percent of the students said they wanted to develop their own self-reporting (the ability to read music) when it comes to musical ability they wanted to achieve through music subjects.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with music subjects was the highest with M = 3.02, and the satisfaction level with M = 2.68.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by individual items, the satisfaction level of 'Music teachers have integrated classes with other subjects' and 'Music Classes are well equipped with sound insulation facilities' was highest at M = 3.13, 'School music classes are conducted with clear and solid learning goals,' 'The contents of music textbooks are well organized by subject, difficulty level,' and music textbook is presented appropriately with music creation, instrumental knowledg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areas of learning, content and composition of music textbooks, content and methods of music textbook assessment was less than satisfactory,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organization of music teachers' learning activities, teaching methods and media usage, and the music subject operating environment was more positive.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in improving the music education of stud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by investigating the stud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music subject of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identifying the music education status of stud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hat various types of music classes will be developed to meet the interests and interests of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