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나영-
dc.contributor.author유진영-
dc.creator유진영-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00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0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0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04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833-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글로벌 문화 콘텐츠로 부각되고 있는 창극의 현대화 과정에 나타난 무대의상의 확장성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창극은 한국의 전통을 대표하는 문화 콘텐츠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으며, 국립창극단을 중심으로 세계화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창극 무대의상에서도 전통의상과 창작의상에서 여러 가지 변형된 다양한 실험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대부분은 전통에 대한 고정관념 및 초창기에 만들어진 원형적 이미지를 답습하면서 정형화된 틀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디지털 시대에서 급격히 빠른 변화의 속도를 경험하며 확장된 감각을 지닌 관객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고, 문화콘텐츠산업에서 글로벌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창극에서 나타나는 무대의상의 확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서양 무대의상에 관한 이론을 살핀 후, 창극 무대의상의 형성과 변천과정을 고찰하였다. 2000년 이후 국립창극단에서 제작된 창극 38편의 무대의상을 살펴본 후, 창극 의상의 조형적 특성과 여러 방식으로 구현된 확장성의 유형과 특징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면서, 창극 무대의상의 현대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고하였다. 서양의 무대의상은 원시제의의 주술성 부여, 정교한 묘사에 의한 종교전파의 수단, 그리고 사실주의 정보전달을 위한 고증의상을 거쳐 20세기 초반의 다양한 실험을 통해 기호와 상징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개념이 발전되었다. 또한 연극인류학에서 동양의 무대의상은 공간적인 의상이며, 조형적인 확장성을 내재하였다고 평가하였다. 21세기의 디지털 매체 시대를 맞이하여 공연예술의 탈경계와 소통의 확장 흐름에 맞추어, 무대의상은 조형과 상징적 표현을 확장하고, 시공간의 개념을 확대하여, 관객의 지각을 확장시키는 역할로 발전하고 있다. 국립창극단은 1962년에 창설된 이후, ‘창극정립위원회’의 설립과 함께 본격적인 창극의 정립을 추진하였으며, 전통극으로서 정체성을 갖추었다. 1980년대 창극의 양식을 실험하던 시기에는 무대미술이 상징주의 양식으로 발전하였지만, 무대의상은 여전히 사실주의에 머물렀다. 1990년대에는 창극의 현대화를 모색하면서 창극의 다양한 양식과의 결합을 시도하고 무대의상에서도 상징주의 양식을 실험하였다. 2000년대에 이르러 창극의 현대화를 위해서 전통창극을 적극적으로 현대화하는 동시에 창작창극의 개발로 레퍼토리를 확대하였다. 무대의상은 전통적인 스타일을 좀 더 풍성하고 세련되게 발전시켰다. 2010년 이후 창극의 세계화가 본격적으로 전개되면서 다양한 공연 양식의 수용과 실험적인 무대의상이 나타났다. 2000년 이후의 창극의 무대의상 분석을 위해서 무대의상, 전통복식, 패션디자인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분석기준을 설정한 후, 무대의상의 유형을 파악하고 조형적 특징을 형태・색채・질감・문양・장신구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조형성 분석 결과, 시대의상에서는 고증과 고증의 변형에 의한 미적가치가 주로 나타났다. 상징의상에서는 외형적 형태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던 경향에서 의상과 공간의 치환, 의미부여를 통한 극의 내러티브를 전달하는 경향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성격의상의 경우, 무대의상이 전통적 방식을 벗어나 디지털 환경을 이용하여 인물의 성격을 구축하고 갈등구조를 견인하면서 관객에게 극의 주제를 각인시키는 지각의 확장을 사용하고 있었다. 조형성 분석에서 도출된 확장성은 다음과 같다. 지각의 확장성은 극중에서 의상과 다른 공연 매체들이 동시에 혹은 다양하게 상호작용하여, 관객에게 통감각의 과정을 거치게 하여 지각의 확장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의미한다. 의상을 주요 매개체로 사용하여 영상, 무대장치 등의 다른 매체와의 결합을 통해 지각의 확장성을 구현하고 있다. 공간의 확장성은 의상이 물리적으로 공간화 되는 경우와 의상의 조형적 확대를 통해 신체의 비율을 변형하여 공간성을 변화시키는 의상을 의미한다. 의상과 공간의 치환, 의상에 의한 신체의 확장으로 공간적 지각을 변화시켜, 관객의 몰입을 유도하여 의상의 공간적 확장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징의 확장성은 상징적인 의상이면서 공연의 제반요소와 결합되어 적합성을 갖게 되어 작품의 내러티브를 전달하거나 인물의 갈등구조를 증폭하기도 하고 미학적인 상징성을 극대화하는 의상이다. 정치⋅문화⋅사회적 상징이나, 한국의 전통 색채적 상징, 전통복식의 해체 및 재구성, 그리고 동화적 상징에 의한 주제의 전달 등으로 무대의상의 상징적 확장성을 구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무대의상의 확장성은 전통의 현대화를 위한 콘텐츠 개발에 적용 가능할 것이며, 디지털 시대 관객들의 변화된 수요에 맞는 무대의상에 대한 새로운 관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창극에 나타난 모든 공연의 무대의상을 연구 대상으로, 조형적 특징에 나타난 무대의상의 확장성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여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패션콘텐츠 개발 및 현대화를 위한 이론적인 체계를 정리하여 통합적 관점을 시사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향후 전통극의 의미와 가치를 살리면서 다양한 시도를 담은 무대의상 설계와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mark the extensibility of stage costume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Changgeuk which is rising as a global cultural content. Changgeuk, arising as one of the cultural contents representing Korean traditions, is currently expanding globally carried by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This trend led into various changes in Changgeuk costume in which traditional costumes and creative costumes are experimentally applied. Nevertheless, majority of the costumes is still framed by standard pattern, following stereotypes of traditional costumes and repeating the prototype images of early beginning. This study was designed to aim the extensibility of Changgeuk Costume to improve it’s competitiveness in global market of culture contents industry and meet the various demands from modern audience which experienced rapid changes in this digital era and has expanded senses. To be able to achieve this, the theory of western stage costume and expands to formation of Changgeuk stage costume and its development was studied. Stage costumes of 38 Changgeuk produced by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were reviewed and modeling characteristics of Changgeuk costume and types and features of its extensibility comprehensively were analyzed to show the way of modernization of Changgeuk costume. Western stage costume developed from giving a shamanistic theme to primitive ceremony, medium of spreading religions by its sophisticated description. After the stage of costume as a proof of historical research, Western stage costume reached to the level of delivering signs and symbols through various experiments executed in early 20thcentury. Theatre anthropology identified eastern stage costume as a spatial costume which has formative extensibility. The 21th century is a century of digital media when performing arts became borderless and interactive. In this sense, stage costume is performing a role of expanding the space-time on stage and the expression of modeling and meaning of the performance, to maximize perception of audience. After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was founded in 1962, Committee for the Establishment of Changgeuk was followed. This was the first full-out attempt to establish the basic form of Changgeuk and build identity as a traditional theatre. In the 80’s when various forms of Changgeuk were tested, performing arts developed into symbolism but the stage costume still stayed realistic. Changgeuk endeavored to combine with various forms of theatre to modernize and also tried experimental stage costumes such as symbolism in the 1990’s. With the begin of 2000 traditional Changgeuk was modernized more actively and original Changgeuk was developed to expand it’s range. In this process, traditional stage costume became more sophisticated and multifarious. Globalization of Changgeuk was accelerated after the 2010 and this change brought more diverse format of Changgeuk performance and experimental stage costumes. To analyze the Changgeuk costume of the 2000 and later, this study established the base line refer to the previous researches about stage costume, traditional outfits and fashion design. Stage costumes were classified and categorized into figure, colors, texture, pattern and accessories by it’s aesthetic characteristics. Analysis of formativeness shows the result that period costume mainly contains an aesthetic value of historical research and its application. Symbolic costume expanded from tendency expressing plastic figure symbolically to delivering theatre’s narratives of connotation and substitute costumes for background. In case of characteristic costume, stage costume overcomes its conventional frame and adopts digital surroundings to provide expand senses to the audience by building up character and conflict of the play. The following is extensibility resulted out of plastic research. Expanded sense means costumes in the play and other components of performance interact to each other simultaneously or diversely to occur extensibility of perception through sensus communis process. Giving a body to perception extensibility in plays needs mediums such as costume in the main, image and stage set. Extensibility of space means that costume physically turned into space or changes the body proportion by magnify its plastic features to change spatiality. Substitution between costume and space or magnification of body figure manipulates audience’s spatial perception to be immersed in theatre. This tendency shows spatial extensibility of stage costume. Extensibility of symbol indicates symbolic costume which combined with basic components of theatre to deliver its narratives, amplify the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or maximize its aesthetic symbolism. Symbolic extensibility of costume is realized within political・cultural・social symbols, symbolic meanings of Korean traditional colors,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costume and delivery of theme through fairy tale images This can be a different approach to stage costume which can be applied on meeting demands of audiences nowadays and developing modernization of the tradition.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set up a theory structure of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 of fashion contents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by focusing on extensibility of stage costumes which was displayed on every Changgeuk performed since 2000.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to be of a help on various stage costume designs and its development in the future so as preservation of meanings in Changgeuk and its valu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5 Ⅱ. 무대의상의 개념과 역할의 변화 8 A. 20세기 이전의 무대의상 9 B. 20세기 이후의 무대의상 17 1. 예술과 상징의 실험적 무대의상 17 2. 탈경계와 무대의상의 확장성 29 Ⅲ. 창극의 시대적 변천 42 A. 국립창극단 창단 이전 (1900년경~1950년대) 43 B. 국립창극단 창단 이후 (1960년대~현재) 52 1. 창극 정립기 (1962년~1976년) 52 2. 창극 양식의 실험기 (1977년~1989년) 58 3. 창극 양식 현대화의 방향성 모색기 (1990년~1999년) 62 4. 창극 양식 현대화의 방향성 정립기 (2000년~2010년) 66 5. 창극의 세계화를 위한 다양성 추구기 (2011년~현재) 70 Ⅳ. 국립창극단 무대의상의 조형성 80 A. 분석의 범위와 대상 80 B. 분석의 기준 83 C. 분석의 결과 89 1. 형태 93 2. 색채 98 3. 질감 107 4. 문양 115 5. 소품 및 장신구 122 Ⅴ. 국립창극단 무대의상에 나타난 확장성의 유형과 특징 134 A. 지각의 확장성 135 B. 공간의 확장성 141 C. 상징의 확장성 146 Ⅵ. 결론 및 제언 157 참 고 문 헌 160 ABSTRACT 1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1322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창극의 현대화 과정에 나타난 무대의상의 확장성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tensibility of Stage Costume in the Modernization of Changgeuk-
dc.creator.othernameRyu Jinyoung-
dc.format.pagexiii, 17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