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3 Download: 0

신기술에 대한 기술영향평가 모형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Title
신기술에 대한 기술영향평가 모형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chnology Assessment Model for New Technologies
Authors
황보원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영일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chnology assessment model for new technologies. The model is verified by experimentally applying it to human-centered interaction coexistence technology and next-generation biomass technology. The technology assessment model to be developed is designed to evaluate the uncertainty and impact of new technology effectively, and the differences of new technologies from target technologies and their ripple effects. Accordingly, the concept, purpose, functions, assessment areas, and development process of technology assessment, and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ripple effects of technology, were examin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echnology assessment. In this context, a theoret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on society was condu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ciety, technology acceptance, impact assessment, and future prediction methodology were explored.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echnology assessment that has changed in steps and by era revealed tha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tepby-step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assessment model.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theoretical examination and the rapid development trends in recent technologies, the need for an additional consideration of some important aspects of the existing technology assessment model and for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technology assessment methods were found. A study on this is essential,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technology assessment model for new technologies through exploratory research is what differentiates this work from previous studies. Three research problems are derived in this study. The first research problem is as follows: Can the existing technology assessment model sufficiently perform technology assessment for innovative new technologies that have not yet been completed, but widespread ripple effects are expected? Alternatively, is it necessary to consider an alternative model? Are the impact assessment steps of the existing technology assessment model appropriate for application to current new technologies? Are the impact assessment factors examined in the existing technology assessment model sufficient for applying it to current new technologies? What are the impact assessment factors that should be additionally considered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innovative new technologies? The second research problem is as follows: Is there an appropriate method for strategic technology assessment that is inevitably required to improve the utilization ability of technology assessment for innovative new technologies? The third research problem is as follows: If a technology assessment model for new technologies is newly established because of the study on research problems 1 and 2, can useful results be obtained through a trial application of the new model to new technologies under development? A focus group interview (FGI) about the literature review results and the assessment factors was performed to derive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changing the model design and performing technology assessment for new technologies. Furthermore, the method and the process of assessing the effects of technology on society were examined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technology assessment cases. Next, to analyze the research problems, an appropriate performance method and a survey method were established through an expert panel review.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prepar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Related technology assessments were referenced and previous study results and new model design results were reflected in the questionnaire. A pilot survey was performed with this questionnaire, and the technology assessment model design for new technologies was determined through an expert panel review. The model was designed by deriving and adding new technology assessment items for new technologies. Consequently, differentiations in the new technology assessment model are the addition of factors related to technology recognition, expertise, and gendered dimension in new technology distinction, and the addition of priorities and organizations/institu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area of impact, positive/negative impact, and policies. Furthermore, technology prediction and society prediction have been deleted because these areas have been subdivided. The new technology assessment model was validated and finally determined by applying it to human-centered interaction coexistence technology and next-generation biotechnolog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newly established assessment factors of the new technology assessment model were modeled, and the hypotheses required for this model were established. After analyzing the empirical verification results of the new technologi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in addition to the assessment factors of the traditional technology assessment model, technology awarness, expertise, and gendered dimension should be reflected as important assessment factors for technology assessment of new technologies. Second, the assessment factor “expertise” was found to caus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pecific dependent variable, meaning the negative effect of technology. This indicates the importance of expertise (the role of experts) in the acceptance of a new technology. Third, research on gendered dimension ha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erms of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however, this area is still in an early stage in Korea and requires mor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utur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findings, the present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e technology assessment model was first developed in the early 1970s. The same method has been used for nearly 50 years, and has been applied to various technologies every year.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technology assessment model.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echnology recognition, expertise, and gendered dimension as consideration factors for technology assessment of new technologies on the perceptions of technology impact, and positive/negative effects were examined by applying the new model to two new technologies. However, additional research, application cases, and analyses through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to generalize the model.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ecause it is the first exploratory study that has presented possibilities for a new technology assessment model. Second, considering the present situation, where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assessment is increasing, technology assessment should comprehensively consider its effects on technology acceptance in addition to research innovation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emphasized gendered innovations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experts on technology acceptance in light of this trend. Third, policy factors have been reflected in the new model, considering the increased application of technology assessment to policies. The new model will be useful in the future because it can also consider policies on new technologies. More in-depth studies on the technology assessment of new technologies are requir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an environment for systematic research on the technology assessment factors and indices for new technologies will be prepared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sustainable and efficient technology assessments.;본 연구의 목적은 신기술에 대한 기술영향평가를 하기 위한 평가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둔다. 그리고 그 모형을 시험적으로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 기술과 차세대바이오매스기술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특히 개발하는 기술영향평가를 위한 모형은 신기술에 대한 불확실성 및 영향력을 평가하고, 대상기술에 대한 기술의 차이와 미치는 파급효과를 실질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술영향평가의 이론적 배경으로 개념, 목적과 기능에 대해 고찰하고, 기술영향평가의 평가영역과 발전과정, 기술의 긍정적·부정적 파급효과에 관한 고찰을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과학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과학기술과 사회와의 관계 및 기술의 수용성,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혁신, 영향평가, 미래예측방법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단계별, 시대별로 변화하고 있는 기술영향평가의 진화되는 과정들을 종합적 시각에서 고찰함으로써 그동안의 기술영향평가 모델 연구의 단계별 특징에 대해 수많은 연구들이 이뤄져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앞서 살펴본 이론적 고찰의 결과와 최근의 신기술의 급속한 발전 추세를 고려할 때, 기존 기술영향평가 모형에서 추가적으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거나 기존의 기술영향평가 방법을 수정해야 할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었으며, 탐색적 연구로 신기술에 대한 기술영향평가 모형 개발에 관해 가능성을 보였다는 것이 본 연구가 가지는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라 할 수 있다. 도출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아직 완성되지 않았으나 광범위한 파급효과가 기대되는 혁신적인 신기술에 대한 기술영향평가 모형이 기존 모형으로 충분히 수행 가능한가? 아니면 대안 모형을 검토해야 하는가? 기존 기술영향평가 모형의 영향평가 수행 단계는 오늘날 적용하기에 적절한가? 기존 기술영향평가모델에서 고찰하고 있는 영향평가 요소들은 오늘날 신기술 기술영향평가에 적용하기에 충분한가? 혁신적인 신기술 특징을 고려할 때 추가로 고려해야 할 영향평가 요소는 무엇인가 두 번째로 혁신적인 신기술에 대해 기술영향평가의 활용력을 제고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전략적 기술영향평가가 되기 위해 필요한 적절한 방법이 있는가였으며, 세 번째로는 연구문제 1 과 연구문제 2 의 연구결과, 신기술 기술영향평가 모형이 새로 정립된다면 이를 최근 개발 중인 신기술에 시범 적용할 경우 유용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지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문헌 고찰의 결과와 평가요소 등에 대한 자문 패널 의견 조사 및 인터뷰(FGI)를 실시하여 모형을 수정 설계, 신기술에 대한 기술영향평가 시 고려요소를 연구하여 도출해 냈다. 또한 국내외 기술영향평가 사례를 통하여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과 과정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 전문가 의견조사를 거쳐 적정 수행 방법과 조사방법을 설정하였으며, 그 시행을 위한 설문을 문헌조사를 통해 설정하고, 연관 기술영향평가를 참조하고 선행연구 결과 및 새로운 모형 설계 결과를 반영하여 설문을 작성하였다. 이를 pilot survey 를 실시하고, 전문가 패널 의견을 거쳐 신기술 기술영향평가 모델 설계 확정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신기술에 대한 기술영향평가 평가항목을 도출하여 새로 추가하고 모형을 설계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기술영향평가 모형에 대한 차별성은 신기술구분에 있어서 기술 인식도, 전문성, 젠더특성에 대한 요소를 추가한 것과 영향의 영역별, 긍·부정영향, 정책을 고려하여 우선순위와 기관/제도를 추가하였다. 그리고 기술예측과 사회예측 부분은 분야가 분화되었기 때문에 삭제하였다. 신기술 기술영향평가 모형안을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기술과 차세대바이오기술에 새로운 기술영향평가 모형을 적용해 봄으로써 조사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거치고 모형을 확정하였다. 신기술 기술영향평가 모형에서 새로 정립된 평가요소의 관계를 모형화하고 그에 필요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신기술에 대한 실증적 검증 결과를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통적 기술영향평가 모형의 평가요소 외에 신기술 기술영향평가 시에는 기술이해도, 전문성, 젠더특성 등이 중요 평가요소로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그러나 전문성이라는 평가요소는 특정한 종속변수, 즉 기술이 미치는 부정적 영향 효과에 대해서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바, 이는 신기술의 수용에 있어 전문성, 즉 전문가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나타내 보인다고하겠다. 셋째, 젠더특성에 대한 연구는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의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으나,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미진한 실정으로 앞으로 많은 연구발전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기술영향평가 모델이 70 년대 초에 개발되어 같은 방법으로 50 년 가까이 사용되고, 여러 기술에 적용은 매년 해 왔는데 평가 모형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신기술에 대한 기술영향평가 시 고려 요소로써 기술인지도, 전문성, 젠더특성이 기술영향력 정도, 긍·부정효과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신기술 두 가지에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하지만 앞으로 후속 연구를 통해 모형을 일반화하기 위한 추가적 연구와 모형의 더 많은 사례 적용과 분석이 필요하겠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첫 탐색적 시도 연구로써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기술영향평가의 중요성이 증대되어 가는 현 상황을 고려할 때 기술영향평가가 기술의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뿐 아니라 연구혁신에 미치는 영향성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기술영향평가가 필요하다 하겠다. 이러한 추세를 고려하여 젠더혁신, 전문가들의 기술수용성에 대한 사회적 책무 등을 본 연구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의의가 있다. 셋째, 정책에 관한 부분이 기술영향평가의 정책 활용도 증가에 따라 새로운 모델에 반영하였다. 이에 신기술에 대한 정책에 관해서도 고려할 수 있도록 모형을 개발하였기에 앞으로 유용할 것이다. 이로써 향후 이러한 신기술 기술영향평가에 관한 좀 더 심도 있는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그럼으로써 신기술 기술영향평가 요소와 평가지표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지속가능하고 효율적인 기술영향평가 시행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