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96 Download: 0

범이론적 모형을 이용한 20대 여성의 체중조절 행동 변화단계 영향 요인 분석

Title
범이론적 모형을 이용한 20대 여성의 체중조절 행동 변화단계 영향 요인 분석
Other Titles
The Determinants for the Stages of Change in Weight Control Behaviors among Women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Authors
김지예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경
Abstract
비만은 각종 만성 질환을 유발하는 기저질환이다. 최근 국내에서는 남녀간 비만 유병률의 차이 증가, 성인 여성의 비정상적 체중조절 행동, 20대 비만 유병률의 급격한 증가와 같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현 비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체중조절 행동 중재 프로그램이 요구되며, 이에 적합한 우선순위의 대상자는 20대 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중재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이론적 접근이 필수적이나, 국내 20대 여성의 체중조절 행동을 이론적 모형에 기반하여 체계적으로 다루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하여 20대 여성의 체중조절 행동의 변화단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20대(1991년부터 2000년까지 출생자) 여성 42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총 405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관련 특성, 범이론적 모형 구성요소로 구성하였으며, 범이론적 모형 구성요소는 변화과정,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 변화단계가 해당된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의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량, 교차 분석, 일원분산분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통계기법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중조절 행동의 변화단계는 연구대상자의 직업, BMI, 식생활 수준, 중등도 신체활동, 수면 상태, 우울 수준, 체중조절 경험 및 결과, 체중조절 행동 성공 이후 상황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더불어 BMI에 따라 변화단계 이외의 체중조절 행동에 대한 범이론적 모형 구성요소인 변화과정,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정상 체중군의 체중조절 행동은 주로 행동 단계에 속했으며, 변화과정 경험빈도와 의사결정균형 및 자기효능감 수준이 과체중 및 비만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둘째, 체중조절 행동의 변화단계에 따라 변화과정,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은 차이가 있었다. 특히 체중조절 행동에 대한 12가지의 모든 변화과정은 변화단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대부분 계획전 단계에서 행동 단계까지 증가하다가 유지단계 가면서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계획전, 계획, 행동 단계에서 사회적 해방이 가장 빈번하게 경험되었고, 유지 단계에서는 자아해방이 가장 빈번히 경험되었다. 의사결정균형 중 긍정적인 측면은 계획전 단계에서 가장 낮았고, 부정적인 측면은 계획전 단계와 유지 단계에서 낮은 편이었다. 긍정적 측면에서 부정적 측면을 뺀 값은 계획전 단계에서 가장 작았다. 상대적으로 계획전 단계에게는 부정적 측면이 중요했지만, 계획 이후 단계부터는 긍정적 측면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 및 운동 자기효능감은 유지 단계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식이 효능감은 행동 단계에서 가장 낮았고, 운동 효능감은 계획전 단계에서 가장 낮았다. 상대적으로 계획전 단계에서 식이 효능감이 더 높았지만, 계획 이후 단계부터는 운동 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체중조절 행동에 대해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관련 특성, 범이론적 모형 구성요소의 변화과정,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의 설명력은 60.0% 또는 64.4%이었다. 각 변화단계는 기준 집단에 비해 연령, 결혼 여부, 직업, 월평균 가계 소득, BMI, 식생활 수준,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 스트레스 수준, 체중조절 경험, 행동적 변화과정, 의사결정균형의 부정적 측면, 식이 자기효능감 중에서 유의미한 영향 요인이 파악되었다. 행동적 변화과정을 빈번히 경험할수록 계획전 단계에 비해 계획 및 행동 단계에 속하고, 계획 단계에 비해 행동 단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행동적 변화과정 경험 빈도가 낮을수록 유지 단계에 비해 계획전 및 계획 단계에 속하였다. 식이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행동 단계에 비해 유지 단계에 속하고, 의사결정균형의 부정적 측면이 높을수록 유지 단계에 비해 계획 단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고려하여 본 연구의 적용 및 후속 연구에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연구의 대상자를 서울특별시보다 더 넓은 범위에서 모집하여 한국 인구를 대표할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를 근거로 범이론적 모형의 구조에 따라 종합적인 경로 분석을 수행하여 체중조절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한 중재 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에서는 정상체중 및 저체중인 자가 바람직하게 체중을 관리할 수 있도록 중재하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In Korea, the difference in obesity prevalence between men and women is getting larger, more women are involved in abnormal weight control behaviors, and the obesity prevalence among people in their age of twenties is dramatically increasing. Therefore, in order to deal with this obesity problem, theory based study about weight control behaviors of women in their age of twenties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for the stages of change in weight control behaviors of women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TTM). A total of 420 women in their twenties were recruited and among them 405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one-way ANOVA,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3.0.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ages of change in weight control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job, body mass index(BMI), dietary quality level, practice of moderate physical activity, sleeping state, depression level, and previous weight control experience. In particula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omponents of TTM, including the stages of change, depending on BMI. People in normal weight group were mainly in the action stage and their tendency of processes of change, decisional balance, and self-efficacy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overweight and obesity group.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cesses of change, decisional balance, and self-efficacy depending on the stages of change in weight control behaviors. Especially, the frequencies for all of the twelve processes of chan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ages of change, and most of the trends increased from the precontemplation stage to the action stage but then decreased in the maintenance stage. Among the processes of change, ‘social liber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in the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and action stage. ‘Self liber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in maintenance stage. For decisional balance, ‘pros’ was the lowest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and ‘cons’ was low in the precontemplation and maintenance stage. ‘pros minus cons’ was the smallest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Self-efficacies for diet and physical activity were the highest at the maintenance phase. Self-efficacy for diet was the lowest in the action stage, while self-efficacy for physical activity was the lowest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Thirdly, the explanatory power for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of the weight control behaviors with demographic factors, health related factors, processes of change, decisional balance, and self-efficacy, was 60.0% or 64.4%. One significant determinant of weight control behavior was ‘behavioral processes of change’ in contemplation and action stage (reference group: precontemplation stage), in action stage (reference group: contemplation stage), and in precontemplation and contemplation stage (reference group: maintenance stage). Another significant determinant of weight control behavior was ‘self-efficacy for diet’ in maintenance stage (reference group: action stage). The other significant determinant of weight control behavior was ‘cons’ in contemplation stage (reference group: maintenance stage). Last but not least, this study suggest as follows for the future studies and applications. First, there is a need to conduct research that can represent the Korean population by recruiting people from a wider area as well as those living in Seoul. Secondly, the presentation of a more integrated and systematic model for weight control behavior is required, which can be developed by TTM-based path analysis. Lastly, when planning and developing the intervention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tents helpful for the management of 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 of the women in normal and low weight groups should be inclu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