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27 Download: 0

한국어 조사 · 어미 결합형 명사에 대한 연구

Title
한국어 조사 · 어미 결합형 명사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Authors
WANG SIYU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형용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주요 관심사가 되지 못했던 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에 대해 상세하게 다루었다. 명사 형성 체계에 대한 기존의 논의에서는 합성 명사와 파생 명사를 위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한국어의 명사에는 합성 명사나 파생 명사로 분류하기 어려운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수가 상당히 많기 때문에 이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조사와 어미는 교착어로서의 한국어의 특징을 보여 주는 문법 요소로, 일반적으로 다른 단어와 결합하여 구를 구성한다. 그런데 이들이 단어 형성에도 참여한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본고는 이러한 조사, 어미의 특징에 주목하여 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1장과 2장에서는 먼저 한국어의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개념, 범위, 종류 및 명사 형성 체계 내의 위치 등을 설명했다. 다음으로는 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구체적인 양상과 형성을 조사 결합형 명사와 어미 결합형 명사로 나눠서 논의했다. 3장의 조사 결합형 명사는 관형격 조사 ‘의’ 결합형 명사, 처소격 조사 ‘에’ 결합형 명사와 보조사 ‘도’ 결합형 명사의 세 가지로 나뉜다. 관형격 조사 ‘의’ 결합형 명사는 기존 연구에서 고유 명칭, 전문용어, 관용 표현 등으로 간주한 것과 전형적인 단어를 모두 포함해서 이들의 양상과 단어 형성 방법을 논의했다. 처소격 조사 ‘에’ 결합형 명사의 양상은 주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ㅅ’이 개입되지 않는 ‘에’ 결합형 명사이고 하나는 ‘ㅅ’이 개입된 ‘엣’ 결합형 명사이다. 처소격 조사 결합형 명사의 경우는 중세 한국어에서부터 그 용례를 확인할 수 있으나 현재는 그 수가 줄었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통시적 관점에서 ‘에(ㅅ)’ 결합형 명사의 변천을 다루고 그의 형성을 연구했다. 한편, 보조사 ‘도’ 결합형 명사는 ‘나도’류, ‘너도’류, ‘예도’류의 세 가지로 나눠서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어미 결합형 명사를 명사형 어미 ‘-(으)ㅁ/기’ 결합형 명사, 관형사형 어미 ‘-(으)ㄴ/ㄹ’ 결합형 명사, 연결어미 ‘-아/어’ 결합형 명사, 종결어미 ‘-다, -해, -해요, -구려, -자, -료(-리오), -더라, -지마, -라’ 결합형 명사 등의 네 가지로 나누어 구체적인 논의를 전개하였다. 명사형 어미 결합형 명사 부분에서는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으)ㅁ’, ‘-기’가 접사가 아닌 어미임을 논증한 다음에 명사형 어미 결합형 명사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 단어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논의했다. 관형사형 어미 결합형 명사 부분 역시 명사형 어미 결합형 명사처럼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으)ㄴ/ㄹ’의 지위를 명시한 다음에 그의 양상 및 단어 형성을 연구했다. 연결어미 결합형 명사는 그 수가 가장 적은데, 다른 어미 결합형 명사들과는 달리 기존 연구에서 ‘비통사적 합성어’로 다루어 온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연결어미 결합형 명사를 다루는 부분에서는 그의 양상을 제시한 다음에 이들 단어 내부에 왜 연결어미를 결합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위주로 논의했다. 종결어미가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경우도 ‘비통사적 합성어’로 다루어 온 것이지만 그 양상이 연결어미 결합형과는 다르다. 종결어미는 한 구나 문장을 끝내는 것인데 단어의 오른쪽에 있지 않은 예가 대부분이라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5장에서는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특성을 단어 형성법적 측면과 의미적 측면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먼저 단어 형성법적 특성에서는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는 합성 명사 및 파생 명사와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요소가 다르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통사적 요소인 조사와 어미가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것은 합성법이나 파생법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조어법의 측면에서 단어 형성 방식의 또 다른 유형으로 설정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 핵의 위치에 따른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핵이 명사에 있는 경우는 합성 명사와 비교하고,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핵이 명사에 있지 않은 경우는 파생 명사와 비교하여 이들의 차이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이러한 특성은 한국어 명사 형성의 유형론적 특성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는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의미적 특성을 의미적으로 투명한 경우, 반투명한 경우, 불투명한 경우의 세 가지로 나누어 구체적인 예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와 합성 명사, 파생 명사의 의미적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본고의 논의를 요약·정리하고 본고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한국어 명사 체계 내의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에 주목하여 그 양상과 형성을 살피고 이러한 단어의 형성법적, 의미적 특성에 대해서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In this paper, the phenomenon that Korean josa or ending take part in the noun formation was studied, which has not been a major issue in previous researches. In the case of noun formation system, compound nouns and derived nouns were mainly dealt with.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because they take a large portion of Korean nouns. In Korean, which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Josa and ending are distinctive as grammatical element participating in the formation of phrases. Furthermore, the case that they join into the word formation is also very common and very interesting. The nouns combined with josa or ending were studied in this paper, by focusing on this feature. In Section 1 and Section 2, firstly the concept, scope and types of Korean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were explicated. And then the specific aspects and formation of Korean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were mainly discussed. In Section 3, josa combined nouns were divided into types including 'genitive marker combined noun', 'locative marker combined noun' and 'auxiliary particle combined noun', and discussions of them were conducted correspondingly. For the genitive marker ‘ui’ combined noun, including the constitutions which were seen as unique names, jargon, idiomatic expressions in previous researches and the typical words, their aspects and method of word formation were studied. There are two main types of locative marker 'e' combined nouns. One is 'e' combined noun without 's' and the other is 'es' combined noun involving 's'. In the case of locative marker combined nouns, examples can be confirmed from Middle Korean. But it is reduced a lot until now. So its formation was discussed diachronically in this paper. 'Auxiliary particle combined nouns' were presented as three types of 'na-do ', 'neo-do', 'ye-do' and then their formations were discussed. In section 4, the ending combined nouns were divided into nominalizing ending ‘-(eu)m/gi’ combined nouns, adnominal ending ‘-(eu)n/l’ combined nouns, connective ending ‘-a/eo’ combined nouns, final ending ‘-da, -hae, -hae-yo, -gu-lyeo, -ja, -lyo(-li-o), -deo-la, -ji-ma, -la’ combined nouns, and detailed discussions were made in the paper. In the nominalizing ending ‘-(eu)m/gi’ combined nouns’ part, the author argued that ‘-(eu)m’ and ‘-gi’ participating in word formation were not suffixes but as endings, and then their appearance and the method of word formation were discussed. In the case of adnominal ending combined nouns, the author also argued that the ending ‘-(eu)n/l’ participating in the word formation was not suffix but ending, and then their appearance and word formation method were discussed. The connective ending nouns occupied the smallest quantity in this section, but unlike the above cases, they were treated as ‘non-syntactic compound words’ in previous researches. After presenting these words’ aspects, the reason why the connective endings were combined within these words was explained and discussed. Final ending participating in word formation can also be treated as ‘non-syntactic compound words’, but they are different from the situation of connective endings. The final ending is used to end a phrase or sentence, which is typical in most cases not located at the right side of the word. In this part, detailed discussions about the word formation were also conducted after confirming their aspects. After reviewing the above discussions, in Section 5, characteristics of the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were concluded as two aspects including word formational characteristics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Firstly the difference of elements which participating in the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compound nouns and derivative nouns were discussed. Josa and ending as syntactic elements but participating in word formation is not the typical word formation method like compounding or derivation, so the necessity of setting it as another type in the word formation system was emphasized. And then the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by location of head. The situation that the head of the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is noun was compared with compound nouns, and the situation that the head is not noun was compared with derivative nouns, and the differences of them were discussed. And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recognized as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For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it was divided into ‘semantically transparency’, ‘semantically semi-transparency’ and ‘semantically opaque’, and the instances of them were taken to discuss the situations. Also the semantical differences of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compound nouns, derivative nouns were studied. In the last section, the contents of this paper were summarized and the limitations were pointed out. This paper has its own significance as it examines the aspects,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