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8 Download: 0

인터넷을 이용하는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 및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인터넷을 이용하는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 및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e-Health Literac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n Health-seeking Behaviors of Elderly Using the Internet in the Community
Authors
송지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수진
Abstract
인터넷의 발달로 기존에 접하기 어려웠던 전문적인 건강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지만, 원하는 건강정보를 검색하여 선택하고 이해한 뒤 활용하는 것은 온라인상에서 건강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인 e-헬스 리터러시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노인 세대의 e-헬스 리터러시 수준과 주관적인 건강상태 및 건강추구행동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인터넷 활용도가 높은 현시대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을 추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가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추구행동의 정도를 확인하고, e-헬스 리터러시와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경로당과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중 최근 1개월 이내 1회 이상 인터넷을 이용하는 102명을 편의표집하여 수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70.01±4.84세로 여자 노인이 59명(57.8%)이었다. 대상자 중 51.9%가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교육 수준이었으며 대상자 중 진단받은 질병이 있는 노인은 74명(72.5%)이었다. 일주일 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은 ‘3시간 미만’이 56명(54.9%)으로 가장 많았으며 인터넷 사용 목적으로는‘정보검색 및 수집’이 60명(58.8%)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건강 관련 지식과 정보를 얻는 수단은 텔레비전, 라디오 39명(38.3%), 인터넷 31명(30.4%)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e-헬스 리터러시 점수의 평균은 28.35±5.01점(범위:8-40점)이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평균 9.36±2.29점(범위:3-15점)으로 나타났다. 건강추구행동의 정도는 평균 2.63±0.40점(범위:1-4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는 저연령층의 집단이 고연령층 집단보다(F=2.79, p=.047), 교육 수준이 높은 집단이 교육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F=4.42, p=.002), 흡연을 하는 집단이 흡연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t=-2.13, p=.035) e-헬스 리터러시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질병이 없는 집단이 질병이 있는 집단에 비해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았다(t=2.72, p=.008). 대상자의 특성 중 성별, 흡연 여부, 질병유형에 따라 건강추구행동의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는데 남자보다 여자 노인이(t=-2.33, p=.022), 흡연을 하지 않는 집단보다 흡연을 하는 집단에서(t=-2.27, p=.025), 심뇌혈관질환을 가진 집단보다 만성질환이 포함된 질병이 있는 집단에서(F=4.56, p=.014) 건강추구행동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4. 대상자의 e-헬스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r=.452, p<.001)와 건강추구행동(r=.349, p<.001)이 높았으며,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건강추구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466, p<.001). 5.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β=.38, p<.001)가 건강추구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병유형 중 심뇌혈관질환자 노인보다 만성질환을 보유한 노인의 건강추구행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β=.23, p=.013), 여자 노인이 남자 노인보다 건강추구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β=.22, p=.012). 본 연구에서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와 주관적 건강상태는 건강추구행동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건강추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 및 주관적 건강 수준을 높이고 건강추구행동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basic data for the health of the elderly having high utilization of the internet in this era by identifying relationships among level of e-Health literacy,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seeking behavior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finding of e-Health literacy,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seeking behaviors for the elderly. It examined the effects of e-Health literac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n health-seeking behaviors. For data collection, convenience sampling was done for 102 senior citizens who used the internet at least once in the last month and visited elderly community centers and welfare center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data collected using SPSS version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70.01±4.84, 57.8% of subjects were female. 51.9% of subjects had a high school diploma or higher and the number of elderly diagnosed with a disease was 72.5%. As for the average weekly internet usage hours, the most common was ‘less than 3 hours’ for 54.9%, and as for the purpose of internet utilization, the most common reason given was ‘information retrieval and collection’ for 58.8%. Furthermore, the primary means of acquiring health-rela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was TV or radio for 38.3%, followed by the internet for 30.4%. 2. It showed that subjects' e-Health literacy mean score was 28.35±5.01 (range: 8-40 points) and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averaged 9.36±2.29 (range: 3-15 points). Scores of health-seeking behaviors were 2.63±0.40 (range: 1-4 points) on average, and as for sub-factors, the highest scores were 2.76±0.53 for interpersonal relations. 3. The difference in e-Health literacy between the general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younger age group than in the older age group (F=2.79, p=.047), in groups with higher education levels than in those with lower education levels (F=4.42, p=.002), and in those who smoke more than those who do not smoke (t=-2.13, p=.03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health status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diseases, and senior citizens without any diseases had a higher level of subjective health status (t=2.72, p=.008).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seeking behaviors according to gender, smoking status and type of disease. Health-seeking behavior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than men (t=-2.33, p=.022), smokers than non-smokers (t=-2.27, p=.025), with chronic diseases than those with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F=4.56, p=.014). 4. Subjects' e-Health literac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ubjective health status (r=.452, p<.001) and health-seeking behaviors (r=.349, p<.001),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seeking behaviors (r=.466, p<.001). 5. Subjects' gender (β=.22, p=.012), type of disease (β=.23, p=.013)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β=.38, p<.001) had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seeking behaviors, explaining 33.2% of health-seeking behavior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elderly's e-Health literac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health-seeking behavior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is a factor influencing health-seeking behaviors. It is required to form a positive attitude of health and raise interest in health by establishing educational strategies for improving senior citizens' e-Health literacy, leading to the practice of health-seeking behavior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to increase the level of e-Health literac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for senior citizens who use the internet much in this era and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their health-seeking behavi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