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0 Download: 0

유아기 마음이론 측정을 위한 사회적 이해 척도의 타당화 연구

Title
유아기 마음이론 측정을 위한 사회적 이해 척도의 타당화 연구
Other Titles
Validation of the Children's Social Understanding Scale for assessing Korean preschoolers' theory of mind
Authors
윤선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나나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기 마음이론을 평가하기 위해 제작된 아동의 사회적 이해 척도 (Children's Social Understanding Scale [CSU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척도의 심리측정적 특성을 확인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국외에서 만 3~6세를 대상으로 개발된 CSUS를 국내 유아를 대상으로 타당화하여 주로 과제수행을 통한 마음이론의 측정에 부모보고용 척도를 추가하여 국내 유아에게 CSUS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마음이론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기 다른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세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CSUS의 내용타당도와 함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내적일관성과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통해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마음이론과제와의 상관을 통해 수렴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언어능력과의 상관을 살펴봄으로써 준거관련 타당도 중 하나인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3에서는 연구 1에서 확인된 모형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반복 검증하여 교차타당도를 확보하였으며, 마음이론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 실행기능 및 양육행동과의 상관을 살펴봄으로써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세 가지 연구를 통해 얻은 CSUS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번역-역번역 및 국문학자의 감수 과정을 거친 CSUS를 4명의 전문가 집단에게 문항의 명확성 및 적절성에 대해 평가받았다. 둘째,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원척도를 개발한 연구에서처럼 단일요인 모형이 6요인 모형에 비해 적합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CSUS의 전체 문항에 대한 내적일관성 및 3주 간격으로 시행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부 하위요인의 경우 신뢰도가 적절한 수준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전체 문항의 신뢰도는 양호하여 척도를 사용하기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구인타당도 중 수렴타당도의 검증을 위해 CSUS와 과제를 통한 마음이론 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둘 간의 유의한 상관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준거관련 타당도 중 하나인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기존에 마음이론과의 관련성이 확립된 언어능력, 실행기능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의 상관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언어능력의 경우 CSUS와 상관이 유의하지 않았으나, 실행기능과 양육행동의 경우 CSUS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 1에서 검증된 모형을 새로운 대상에게 적용하여 반복 검증함으로써 교차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유아의 마음이론을 평가하는 CSU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어머니보고를 통해 입증함으로써 주로 실험과제를 통해 측정되었던 마음이론에 추가적인 도구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타당화된 CSUS는 마음이론의 개인 차 및 마음이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나 마음이론의 발달적 결과를 밝히는 연구 등에 활용되어 마음이론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Children’s Social Understanding Scale(CSUS), which was developed and validated by Tahiroglu and her colleagues(2014). The study included Korean mothers and their children who ranged in age from 3 to 6 years ol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CSUS were assessed in 3 studies. Study 1 examined the content validity, the construct validity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expert evaluation. After conduc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a one-factor structure, as suggested by Tahiroglu and her colleagues, was an acceptable fit in the CSUS. Therefore, the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with this result. Moreover, Study 1 not only demonstrated good reliability on the measure, it also showed a high test-retest correlation between results over a period of 3 weeks. Study 2 described the convergent validity for the construct validity and the concurrent validity for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It presented further validation data for the scale in relation to the children’s performance on laboratory ToM tasks and their verbal ability. Results demonstrat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CSUS and behavioural ToM tasks while correlations between the CSUS and verbal ability were not found. Therefore, the convergent validity for the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with this result. Study 3 presen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cross-validation using different samples of preschoolers from the ones in Study 1 and Study 2. We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concurrent validity to verify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related to other variables, executive functions and parenting behavior. After conduc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acceptable model of Study 1 turned out to be invariant in each of the samples of Study 3. It confirmed the concurrent validity through correlations between ToM and executive function and between ToM and parenting behavior. Therefore, the cross validation and the concurrent validity were confirmed with this result. In sum, the results showed some evidence for the validity of the CSUS, suggesting that mothers may be able to accurately report on children's theory of mind in general. The CSUS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Korean preschoolers’ ToM that may be of great value as a complement to standard ToM tasks in many different research contexts. We believe the CSUS will be an invaluable tool for correlational and longitudinal research examin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preschoolers’ ToM and its relations to other aspects of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