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6 Download: 0

북한의 식품 공급량 및 영양소 주요 급원식품에 대한 연구

Title
북한의 식품 공급량 및 영양소 주요 급원식품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ood Supply Quantity and Main Food Sources of Nutrient in North Korea
Authors
박혜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양하
Abstract
식품 수급표(Food Balance Sheets, FBS)는 국가 수준의 식품 수급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식량 상황을 평가하고 측정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북한은 1990년대 중반 식량난 이후 상황은 점차 개선되어 안정적인 추세에 접어들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자연 재해 등의 이유로 다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한 영양문제의 심각성은 대두되고 있다. 북한은 현재 전체 인구의 43.4%인 1,100만 명이 영양부족 상태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임기 여성의 빈혈 발생률 또한 2016년 기준 32.5%로 2012년 대비 2.5% 증가하였다. 적절한 영양의 공급과 섭취는 인간의 삶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영양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병 위험율은 증가하게 되고 빈혈을 포함한 각종 결핍 증세를 나타내는 등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금까지 북한의 식품 및 영양 실태에 관한 연구는 탈북이주민 설문조사와 2012년 북한의 국가영양조사 결과보고서를 이용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북한의 전반적인 식품 공급과 영양소 주요 급원식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엔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공개 자료인 북한의 식품 수급표(Food Balance Sheets, FBS)를 이용하여 1993~2013년 북한의 식품 및 다량영양소 공급량을 살펴보았다. 또한 2013년 식품 수급표 중 1인 연간 식품 공급량(kg/capita/yr) 자료 중 39개 식품을 이용하여 북한의 영양소 주요 급원식품에 대해 알아보고 북한 성인을 위한 대북지원으로 적절한 식품 지원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1993~2013년 북한의 식품 공급량과 에너지, 단백질, 지질 공급량은 1990년대 중반부터 증감을 반복하며 불안정한 상황을 보였으나 2010년대 초반부터는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북한의 영양소 공급량을 분석하고 영양소별 주요 급원식품을 분석한 결과 22개 영양소의 주요 공통된 급원식품은 기타채소류, 쌀, 옥수수, 대두를 포함한 콩류, 밀, 감자였다. 대북지원에 있어서는 유엔세계식량계획(World Food Programme, WFP)과 유엔아동기금(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UNICEF), 비정부기구(Non-Governmental Organization, NGO)를 통해 식량 및 영양보충 지원 등이 이루어지 고 있었다. 현재에는 5세미만 영유아 및 임산․수유부 여성 지원이 우선시 되고 있으나 국민의 노동력과 국가 경제 발전을 고려한다면 성인을 포함한 지원 또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영양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북한의 현 상황을 고려하였을 때 북한 주민의 영양개선을 위해서는 영양소들의 주요 급원이 되고 있는 기타채소류, 쌀, 옥수수, 대두를 포함한 콩류, 밀, 감자의 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나아가 북한의 생산량이 비교적 많은 쌀과 옥수수를 이용한 영양강화 형태의 국수, 누룽지, 전분 등 식품 산업이 발전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ood supply quantity in North Korea and what the main food sources of nutrient using the Food Balance Sheets(FBS) released by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FAO) and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The data of food supply quantity(kg/capita/yr) from Food Balance Sheets were utilized and 39 food items were used for analyzing nutrient supply quantity of North Korea in 2013. In order to examine the level of nutrient supply quantity in North Korea, the nutrient supply quantity in South korea for the same 39 food items were used as a standard. Can pro(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4.0 professional version South Korean one was used for analyzing the nutrients. Food and energy, protein and fat supply quantity in North Korea has begun to be stable from 2010. Based on 2013, Most of energy was being supplied by Carbohydrates. Almost nutrient supply quantity were lower, especially, retinol and fat were under 50% of nutrient supply quantity of South Korea. Main food sources of nutrient in North Korea were vegetables, rice, maize, beans including soyabeans, wheat and potatoes. Recently, It is suffering food shortage again in North Korea. Undernourished population has increased to 43.4%. Also the prevalence of anaemia in 15-49 years women has also increased 2.5% than 2012. It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ies to reduce them. Now these are being offered by the United Nations and man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o mainly children under 5 and pregnant and lactating women(PLW). However, Nutrition support for adults is also important for labor force and productivity fo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in North Korean residents including adults, the main food sources of nutrient need to be provided first. And then support for development of industry in the part of the nutritional fortified foods like the type of noodles, Nurungii and starch based on rice and corn will be suitable, considering their main foods and home and foreign supply in North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