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5 Download: 0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위한 긍정심리 기반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위한 긍정심리 기반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Group Art Therapy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or Resiliency of Adolescent
Authors
최아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이 회복탄력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S시 A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으로, 중학교 2학년 남학생 두 명, 3학년 남학생 한 명, 3학년 여학생 두 명이다. 사례는 2019년 3월 20일부터 2019년 4월 19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주 2회씩 50분간 총 8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목표는 정서 안정 및 자기표현 향상, 긍정적인 자기인식, 인지 재구조화이며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참여자의 미술치료 전 회기와 참여자 개인 사후면담과 전문상담교사의 사후면담 녹음 파일과 이를 전사한 텍스트, 작품사진, 연구자의 관찰일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였으며 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사한 텍스트를 여러 번 정독하여 참여자의 유의미한 언어적 표현과 미술 표현을 정리하였고,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쳐 자료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총 5개의 상위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로 분류되었다. 본 미술치료 사례의 경험의 범주는 <기대되지 않는 미술치료가 귀찮음>, <친구들과 함께 그림으로 나를 알아감>, <생각보다 괜찮은 내 모습을 발견하고 설렘>, <함께 고민하자 마음이 가벼워지고 안심이 됨>, <바뀐 건 없지만 달라진 건 많은 우리>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위한 긍정심리 기반 집단미술치료에서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활동을 통해 자신의 부정적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감정의 정화와 자기 이해를 경험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활동을 통해 장점을 발견하고, 자기를 긍정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자신감이 고취되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집단원과 미술치료사의 상호작용을 통해 타인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문제의 상황에서 사회적 지지체계를 인식하였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활동을 통해 긍정 정서를 축적하였으며, 이는 참여자들의 인지를 재구조화하여 문제의 상황에서 효과적인 대처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회복탄력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경험한 청소년은 미술을 통해 자기를 표현할 수 있었고,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하며 감정의 정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이로써 청소년은 보다 긍정적으로 자신을 인식할 수 있게 되었고, 회복탄력성이 증진되어,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문제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at adolescent experience through the group art therapy for the resiliency along with the meaning of i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applied the qualitative case method. participants are composed of teenage students attending to A middle school in S city, two of which are 2nd grade boys, one 3rd grade boy and two 3rd grade girls. The case was proceeded from March 20th 2019 to April 19th 2019 and the group art therapy was operated 2 times a week, each one for 50 minutes and 8 times for total. The purpose of group art therapy for resiliency of adolescent is emotional stability, self-expression improvement and positive self-awareness as well as cognitive restruction, and every session is composed based on it.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the whole procedure of participants along with the interviews afterwards and the records of interviews done b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and the text taken down, the photo artworks and the observation log written by the researcher. The repeatable comparative analysis was used for investigating the experience of adolescent group art therapy and the meaning of it. the purpose the taken down text was perused repeatedly to arrange meaningful linguistic expressions and art artistic expression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analyzing was proceeded down to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the category confirm. The collection and analyzing came up with 5 high rank subjects and 12 low rank subjects. The categories of the experience of the art therapy are , , , . The conclusion derived from the group art therapy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or resiliency of adolescen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emotional purification and self-understanding by expressing their own negative emotions through the artistic activity. Second, they found their strengths and got positive self-awareness which inspired their confidence. Third, thr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group members and art therapist, they recovered the faith in others and recognized social supporting system on the problematic situation. Forth, the participants accumulated positive emotions through the artistic activity, and it restricted their cognition which made them able to handle effectively with problematic situations. Synthetically, the adolescent who experienced group art therapy for resiliency became able to express themselves with art, as well as experience emotional purification expressing their negative emotions. this, the adolescent could appreciate themselves more positively, and also became able to build up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and handle effectively with problems through the improvement on their resilien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