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2 Download: 0

자립을 준비하는 쉼터 거주 청소년의 낙관성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자립을 준비하는 쉼터 거주 청소년의 낙관성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Optimism with a Resident Adolescent at a Shelter in Preparation of Self-Reliance
Authors
정은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는 자립을 준비하는 쉼터 거주 청소년의 낙관성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탐색하는 질적 사례 연구를 적용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018년 아버지의 신체적·정서적 학대로 인해 가정 밖으로 나와 자발적으로 쉼터에 입소한 만 19세의 여자 청소년이다. 사례는 2019년 3월 14일부터 2019년 5월 16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주 2회에서 3회씩 60분간 총 20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자립을 준비하는 쉼터 거주 청소년의 낙관성을 위한 미술치료의 목표는 자기 이해, 자기 이미지 및 경험의 재구조화를 통한 사고방식의 변화, 자신감과 능동적인 자기 통제의 경험, 사회적 지지 인식이며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참여자의 미술치료 전체 회기 과정 및 기관 담당자와의 사전 면담에 대한 녹음 파일과 이를 전사한 텍스트, 작품 사진, 연구자의 관찰일지, 미술치료 종결 후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 녹음 파일 및 이를 전사한 텍스트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에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쉼터 거주 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사한 텍스트를 반복해서 읽고 참여자의 언어적 표현, 미술 표현에서 유의미한 것을 정리하여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총 6개의 상위 주제와 14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었다. 본 미술치료 사례의 경험의 범주는 <균형 잡히지 않은 삶 속에서 지쳐감>, <때때로 내가 쉼터에 있다는 것이 현실로 다가오지 않음>, <평가받지 않는 미술치료 안에서 회복을 경험함>, <이리저리 움직이는 내 마음속에서 진짜를 찾고자 애씀>, <처음과 달라진 나의 마음속 변화를 알아차리고 실천함>, <나와 대화하며 삶을 꾸려가는 자원을 찾음>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립을 준비하는 쉼터 거주 청소년의 낙관성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경험한 것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과거의 경험과 상황을 안전하게 표현하고 재구조화하는 미술 활동을 통해 부정적인 감정들을 정화하고 자기 이해를 경험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 작품 속에서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긍정적인 자기인식을 하여 스스로 삶을 계획하고 이끄는 자기 통제를 습득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 활동과 작품을 통해 대인관계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이해하고 탐색해봄으로써 사회적 지지를 경험하였다. 넷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 본연의 즐거움을 통해 깊이 있게 활동에 몰입함으로써 자신과 대화하는 법을 알게 됨에 따라 자기 믿음이 고취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자립을 준비하는 쉼터 거주 청소년은 낙관성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의 재구조화에 따른 감정의 정화를 경험하여 자기 이해를 할 수 있었고, 자기 통제를 가지고 긍정적으로 미래를 바라보며 준비할 수 있었다. 이로써 청소년은 자기 삶의 긍정적 가치를 탐색하고 자율성을 가짐에 따라 구체적인 미래 계획을 세워볼 수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와 함께 긍정적으로 미래를 인식할 수 있었다. 나아가 미술을 통해 자신과 대화해봄으로써 불확실한 미래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갖게 되었다.;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what experiences resident adolescents at a shelter would have in an art therapy process for optimism in preparation of their self-reliance and also what meanings would be found in their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applied the methodology of qualitative case study designed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experiences among case subjects. The participant of the study includes a 19-year-old adolescent girl that left her home due to her father's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and got admitted to a shelter voluntarily in 2018. Her case lasted from March 14 to May 16, 2019. Total 20 sessions of art therapy were given with a 60-minute session twice or thrice per week. The goals of art therapy for the optimism of resident adolescents at a shelter in preparation of their self-reliance were changes to their ways of thinking through self-understanding, self-image, and restructuration of experiences, experiences with self-confidence and active self-control, and awareness of social supports. Based on these, sessions of art therapy were organized. Data was collected from the entire sessions of the participant in art therapy, recorded files of her interview with a shelter staff prior to the present study and their transcription texts, her photographs, the investigator's observation logs, and recorded files of her in-depth interview after the completion of art therapy and their transcription text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the repetitive comparison and analysis method to examine the art therapy experiences of a resident adolescent at a shelter and their meanings. For data analysis, the investigator read the texts transcribed repeatedly, sorted out significant verbal and artistic expressions of the participant, and conducted analysis in the process of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check. Based on the analysis, 6 subjects and 14 sub-topics were identified. In this case of art therapy, there were several categories of experiences including , , , , and .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regarding what a resident adolescent at a shelter in preparation of self-reliance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for optimism: First, the participant purified her negative emotions and experienced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artistic activities of expressing and restructuring her past experiences and situations in a safe manner. Second, she discovered her strengths, had a positive self-perception, and acquired self-control to plan and lead her life with her own will in her artistic works. Third, she understood and explored her viewpoints of interpersonal relations through her artistic activities and works, thus experiencing social supports. Finally, she grew immersed in the activities profoundly through the natural pleasure of art and learned to converse with herself, thus increasing in self-belief. In short, art therapy for optimism helped a resident adolescent at a shelter in preparation of self-reliance understand herself by experiencing emotional pur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tructuration of experiences and look at her future positively through self-control. As a result, she was able to explore positive values in her life and develop autonomy, making a specific plan for her future and being positive about her future based on social supports. Furthermore, she developed the capabilities of dealing with her uncertain future by conversing with herself through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