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소정-
dc.contributor.author고아영-
dc.creator고아영-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29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29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2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26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70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만 3세 이전에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유아를 위한 모-자 미술치료에서 유아와 어머니는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유아는 장애의 병리적인 특징 때문에 처음부터 부모나 타인과의 관계 맺기에 어려움을 보인다(정미란, 2017). 모-자 관계는 관계 형성에 있어 가장 기초적이고 영구적인 관계이기 때문에 병리적인 특징이 있는 장애 유아를 위해 어머니와의 신뢰관계인 애착은 필수 요소라고 할 수 있다(김붕년 외, 2017). 따라서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유아와 어머니의 원활한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돕는 조기 중재 및 개입이 실행되어야 하며,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유아를 위해 어머니가 기능적인 중재자 역할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이혜림, 2016). 본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유아를 위한 모-자 미술치료 사례를 선정하여 그 과정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유아와 어머니가 경험한 것은 무엇이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모-자는 만 3세 이전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47개월 남아와 남아의 주 양육자인 41세 어머니이다. 사례는 2019년 01월 07일부터 2019년 04월 24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주 1~2회씩 60분간 총 18회기의 모-자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유아의 정서적인 안정감과 긍정적인 모-자 상호작용을 통한 관계 형성 구축을 목표로 모-자 미술치료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어머니와의 사전, 사후면담 및 모-자 미술치료 전 회기 과정을 비디오 촬영한 녹화본, 녹화본을 전사한 축어록, 회기별 미술작품 이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질적 사례 연구의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모-자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전사한 축어록과 메모를 여러 번 반복해서 읽으며 유아와 어머니의 유의미한 표현들을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확인을 거쳐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유아와 어머니의 관계 변화’, ‘유아의 표현확장 및 병리적인 행동 완화’,‘유아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 및 인식 변화’ 총 3개의 상위주제와 14개의 하위주제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유아를 위한 모-자 미술치료에서 유아와 어머니가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인 유아와 어머니는 안전한 모-자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자유롭게 자신을 개방하고 표현하며 서로의 이해와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며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였고 이에 따라 모-자가 정서적으로 안정되었다. 둘째, 연구참여자인 유아는 다양한 모-자 미술치료 활동을 통해 자율성을 경험함으로 자기 표현력이 증진될 수 있었고 미술치료 내 어머니와 연구자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으로 관계를 형성하고 자발적인 관심과 표현을 보임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진되었다. 셋째, 연구참여자인 어머니는 유아와 함께하는 모-자 미술치료 회기를 통해 함께 한다는 경험에 만족함과 동시에 결과가 아닌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만 3세 이전에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유아를 위한 모-자 미술치료를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유아와 어머니는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여 정서적으로 안정될 수 있었고, 모-자 상호작용을 통해 모-자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앞으로의 삶에 적응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또한,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유아는 자율성의 경험과 긍정적인 관계 형성으로 자기 표현력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진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that child and mother go through in the mother-child art therapy for a child diagnosed of autism spectrum disorder before the age of 3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 A child diagnosed of autism spectrum disorder shows difficulty in making relationship with parents or others due to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order (Miran Jeong, 2017). As mother-child relationship is the most basic and permanent relationship in the relationship formation, ‘attachment’ as a trust relationship with mother is an essential element for a child with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Bungnyeon Kim et al., 2017). Thu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early intervention and mediation to help smooth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diagnosed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lso, there should be active supports to help the mother act as a functional mediator for the child diagnosed of autism spectrum disorder (Hyerim Lee, 2016). This study selected the case of mother-child art therapy for a child diagnosed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ried to have an in-depth exploration on mother and child’s experience during the art therapy process and meaning of such experience. For the research, this study appli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he mother and child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ere 41-year-old mother as a primary caregiver and 3-year-old boy (47 months old) diagnosed of autism spectrum disorder before age of 3. In this case, 60 minutes of mother-child art therapy was conducted once or twice a week with total of 18 times from January 07, 2019 to April 24, 2019. In addition, the art therapy was composed of sessions with the goal of forming a relationship through positive mother-child interaction and emotional stability of child diagnosed of autism spectrum disorder.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referred to the interview with mother before and after the art therapy, recording on whole mother-child art therapy sessions, verbatim record on the video recording, observation on prior mother-child system diagnosis process, and artworks for each session. Then, this study applied the method of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of qualitative case study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meaning in the mother-child art therapy. Furthermore, this study repeatedly read the verbatim record and memo transcrib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o analyze the significant expressions of child and mother based on the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confirmation. After analyzing the collected materials, this study divided the materials into 3topics including ‘Change in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 ‘Expanded expression and relaxation of pathological behavior of children’, and ‘Change in mother’s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child’ and 14 sub-topics. The analysis results on the experience of mother and child in the mother-child art therapy for a child diagnosed of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safe mother-child art therapy process, the research participants opened up and expressed themselves. They also formed a sense of emotional bond throug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each other. As a result, the research participants became emotionally stable. Second, the child experienced autonomy through various mother-child art therapy activities and improved his self-expression ability. Also, the child showed higher social interaction by forming a relationship with mother and researcher continuously and showing voluntary interest and expression. Third, the mother was satisfied toward the experience of spending a time together with the child in mother-child art therapy. At the same time, the mother found out that the process is more important than the result.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mother-child art therapy for the child diagnosed of autism spectrum disorder before the age of 3 helped the child and mother to be emotionally stable by forming a sense of emotional bond. Also, the art therap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and contributed in enhancing the adaptation ability for the future lives.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autonomy and formation of positive relation increased the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ety interaction of the child diagnosed of autism spectrum disord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 문제 6 Ⅱ. 문헌고찰 7 A. 자폐스펙트럼장애 7 1. 자폐스펙트럼장애 정의 및 특징 7 2.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유아 10 3.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유아와 어머니 11 B. 미술치료 14 1.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유아를 위한 미술치료 14 2. 모-자 미술치료 18 3.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유아를 위한 모-자 미술치료 20 Ⅲ. 연구방법 24 A. 질적사례연구 24 B. 연구참여자 25 C. 자료 수집 29 D. 모-자 미술치료 사례구성 30 E. 자료 분석 34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35 G.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36 Ⅳ. 연구결과 37 Ⅴ. 결론 및 제언 58 참고문헌 62 부록1. 연구 참여 동의서 70 부록2. 모-자 체계진단 관찰사항 72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606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유아를 위한 모-자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Qualitative Case Study on Mother-Child Art Therapy for Child Diagnosed of Autism Spectrum Disorder-
dc.creator.othernameKO, Ah Young-
dc.format.pagevi,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