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3 Download: 0

난임 여성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Title
난임 여성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Psychosocial Adjustment of Infertile Women
Authors
이유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난임 여성이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풍부하고 상세한 자료를 수집하여 참여자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연구자는 난임 진단을 받은 여성을 대상으로 서울에 위치한 개인 미술작업실에서 2018년 11월 27일부터 2019년 4월 23일까지 주 1회, 회기 당 120분씩 총 20회기의 개인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참여자의 동의를 받아 사전 인터뷰 및 치료과정을 녹음한 파일과 이를 전사한 텍스트, 관찰일지, 작품사진 을 통해 이뤄졌다.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난임 여성의 미술치료 경험과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하는 과정에서 전사된 연구 텍스트를 여러 차례 정독하여 오류를 최소화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참여자의 미술작품과 고유한 언어표현을 정리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5개의 상위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고 그 내용은 <결국 나 혼자 감당해야 되는 난임>, <아이가 없는 나는 불완전한 존재>, <남편이 다르게 보이기 시작함>, <임신에 대해 새롭게 생각하게 됨>, <망가졌던 마음이 멋진 미술 작품이 됨>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난임 여성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미술치료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난임 여성은 미술작업을 통해 그동안 말하지 못했던 난임 경험에 대한 어려움을 그림이라는 은유적 상징을 통해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이미지를 통해 난임과 관련된 비합리적 신념에 대해 인식할 수 있었으며 이를 수정하여 비합리적 신념으로 인해 발생됐던 부정적 감정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셋째, 미술작품으로 대상화된 남편의 이미지를 통해 남편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수용할 수 있었고 이는 남편과의 관계를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됐다. 넷째, 괴로웠던 난임 경험이 미술 작품으로 구현됨에 따라 부정적으로만 인식했던 난임 경험을 새로운 관점으로 전환하여 볼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였을 때, 난임 여성은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억눌러왔던 난임 경험에 대한 어려움을 표현할 수 있었고, 난임과 관련된 비합리적 신념을 인식하고 수정할 수 있었으며, 남편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었다. 또한 난임 경험이 미술 작품으로서의 의미와 가치를 갖게 되며 자신의 난임 경험을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는 난임 여성이 난임 경험 중에 겪는 심리사회적 어려움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 내면의 힘을 얻은 결과라고 볼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that infertile women go through in the art therapy for psychosocial adjustment and to examine meaning of such experiences. For the research, this study applie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o collect affluent and detailed data and to enhance understanding on the participants. The data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Total of 5 topics and 11 sub-topics were derived and the contents were about Infertility is a matter that I need to handle alone, I am an imperfect being without a child, I started looking at my husband in a different way, I have a new perception toward pregnancy, and My broken heart became a wonderful artwork. The results on art therapy for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infertile women were as follow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irst, in the artworks, infertile women safely expressed the difficulties of infertility experiences that they couldn’t talk about through the metaphorical symbol of drawing. Secondly, infertile women became aware of irrational belief related to infertility through images. Then, the infertile women revised the image to get away from the negative emotions caused by the irrational belief. Third, infertile women could look at their husband objectively through the image of the husband objectified as an artwork. Such objective view helped the infertile women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their husband. Fourth, as the infertile women expressed the painful experiences of infertility through artworks, they could have a new perspective toward the infertility experiences that were perceived negatively before. In conclusion, the art therapy for psychosocial adjustment helped the infertile women to express the difficulties of infertility experiences that they had to hide, perceive and revise the irrational belief related to infertility, and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the husband positively. Also, as the infertility experiences had meaning and value as an artwork, the infertile women could have more positive view on their own infertility experience. Such changes took place as the infertile women gained the inner power to respond to the psychosocial difficulties during the infertility experi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