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0 Download: 0

간호사의 정서적 소진 예방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Title
간호사의 정서적 소진 예방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Emotional Exhaustion Prevention of Nurses
Authors
길가예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Nurses in the health care system are suffering from emotional exhaustion caused by several situations such as excessive work, uncooperativ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conflict with co-workers in hospital. These circumstances make them depressed in negative perception and decrease their self-awareness and self-expr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is problem at a personal and organizational level. This research study examined one nurse's experience to an art therapy to deal with emotional burnout. The participant for this case study was a 30-year old female nurse working in shifts at Surgery division in 'A' general hospital.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and May of 2019,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ten times for 60 minutes a week. The sessions consist of self-awareness, expressing oneself, understanding the stressful feeling and articulate oneself, and discovering oneself and encouragement. Qualitative data were obtained from typed transcripts of audio-recorded works of art therapy and research's observational data in a weekly art therapy session. Following data analysis through the qualitative case study theory,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art therapy to prevent emotional exhaustion of nurse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into seven higher topics and 13 lower topics. The categories are , , , , , , . This was a qualitative case study, which allowed the researcher to observe the following. At first, The nurse participant can perceive work stress and self-awareness as a nurse and express oneself freely. Secondly, the participant can recognize the emotional situation and develop a way to deal with it and also express her's sentiment and relieve stress. Lastly, Exploring a positive aspect and self-care and encouragement, The attendee was inspired by future life as a nurse. The study is a healing method for the nurse participants with the emotional problem to understand her situation and express herself. Furthermore, To discover and encourage herself can give a positive impression of nursing to the patient.;보건의료관리체계 안에서 간호사는 과도한 간호 업무량, 환자 및 보호자들의 비협조적인 태도, 병원 종사자들과의 갈등과 같은 여러 요인들에 의해 정서적 소진을 경험할 만한 상황에 노출된다. 이는 간호사의 정서적 소진 경험으로 고착되어 간호사의 자기 인식 및 자기표현 저하, 감정 표현 저하, 간호사로서의 삶에 부정적인 인식 형성 등으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간호사가 정서적 소진 경험에 대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한 개인적·조직적 차원의 간호사의 정서적 소진 예방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사례 연구를 통해 간호사의 정서적 소진 예방을 위한 미술치료에서 간호사는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살펴봄으로써, 간호사의 정서적 소진 예방을 위한 미술치료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A 상급종합병원 외과병동에서 8년째 교대근무를 하고 있는 30세 여자 간호사이며, 사례로는 2019년 1월 31일부터 5월 3일까지 사전·사후면담과 주 1회, 60분간의 총 10회기 미술치료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미술치료 사례 회기는 연구 목적 및 목표를 바탕으로 자기 인식 및 자기표현 증진, 정서적 소진과 관련된 상황 인식 및 감정 표현, 긍정적 자원 탐색, 자기 돌봄 및 격려로 구성하였다. 연구 자료 수집은 참여자와 진행한 사전·사후면담, 미술치료 회기 녹음 파일과 한글문서로 재정리한 축어록, 작품 사진과 글, 연구자의 관찰 일지를 참고하였다.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 자료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간호사의 정서적 소진 예방을 위한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미술치료 사례 회기 자료들은 총 7개의 상위주제와 13개의 하위주제로 범주화하여 분류하였다. 분류된 미술치료 사례 회기 경험의 범주는 <두려우면서도 설레는 마음으로 미술치료 시작>, <미술 활동을 통해 내 삶에 ‘간호사’가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음을 보게 됨>, <미술 작업을 통해 정서적 소진과 관련된 상황을 마주함>, <간호 업무와 관련된 억눌러진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미술에 흥미를 느낌>, <미술 작업에 자유롭고 주체적으로 참여하는‘나’를 발견>, <미술치료는 병원 밖에서 내가 온전히 의지할 수 있는 시간>, <견고해진‘나’자신을 발견하고 간호사로서의 삶에 대한 희망 확인>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가 정서적 소진 예방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는‘간호사’와 관련된 주제의 미술 작업을 통해 간호 업무 스트레스 인식 및 간호사로서의 자기 인식과 자기표현을 자유롭게 할 수 있었다. 둘째, 참여자는 자기 주도적인 미술 작업 과정을 통해 정서적 소진과 관련된 상황에 대해 인식하고, 대처 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미술 매체를 사용하여 감정을 표현 및 해소시킬 수 있었다. 셋째, 참여자는 미술 작업을 통해 간호사로서의 삶을 위한 긍정적 자원 탐색과 자기 돌봄 및 격려를 경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간호사로서의 삶에 용기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정서적 소진 예방을 위한 미술치료는 간호사들에게 간호사로서의 자기 인식 및 자기표현을 증진시키고, 정서적 소진과 관련된 상황 인식 및 대처능력을 갖게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미술치료에서의 간호사로서의 삶을 위한 자원 탐색 과정은 자기 돌봄 및 격려를 할 수 있는 힘을 기르도록 도와 긍정적인 간호사상을 그릴 수 있도록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