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7 Download: 0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암 병동 현장실습 체험연구

Title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암 병동 현장실습 체험연구
Other Titles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Fieldwork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in Art Therapy Master’s Program at Cancer Treatment Center
Authors
이기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암 병동에서 집단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들의 체험을 탐색하고 그 의미와 본질을 이해함으로써 암 병동에서 이루어지는 미술치료 현장실습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실습생들의 주관적 경험을 생생하고 심층적으로 기술하고자 했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위해 2019년 3월부터 5월까지 암 병동에서 성인 암 환자를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미술치료 석사전공생 5명을 심층 면담하였고 van Manen이 제시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절차에 따라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7개의 본질적 주제와 16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환자들의 입장에서 미술치료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됨>, <환자들이 미술치료에서만큼은 편안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의 짐>, <질병을 잊게 해주는 미술의 치유적 힘을 실감함>, <미술치료는 환자들이 서로 교감하고 위로하는 소통의 장>, <어쩔 수 없이 나의 삶과 가족에 대해 생각하게 됨>, <환자들에게 더 좋은 미술치료를 제공하고 싶은 마음>, <환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경험의 폭을 넓히며 치료사로서 성장함>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석사전공생의 암 병동 현장실습 체험 경험에 대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생들은 암 병동에서의 현장실습을 통해 기존에 알고 있던 미술치료의 이론과 개념들, 접근방식들을 재고하며 치료사로의 역량을 키우게 된다. 암 병동에서 입원환자와 내원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집단미술치료는 초기와 중기, 후기로 이어지는 일반적인 치료의 흐름을 따르지 않으며 집단원들의 상태나 상황에 따라 회기의 구조나 성격도 변화할 수 있다. 실습생들은 가변적인 치료 상황에 적응하며 환자들에게 의미 있는 미술치료를 제공하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치료사로서의 유연성과 개방성, 창조성을 키운다. 둘째, 실습생들은 미술치료를 통해 자연스럽게 교감하고 도움을 나누며, 질병의 고통을 잊고 창조적 작업에 몰두하는 환자들의 모습을 보면서 개념적으로 이해하고 있던 미술치료의 치유적 힘을 체험적으로 이해하게 된다. 실습생들은 환자들이 서로 위로하고 격려하며 의료진이나 가족과는 나눌 수 없었던 속 얘기들을 털어놓고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기도 하는 모습을 목격하면서 치유적 소통의 장으로서 미술치료의 가치를 실감하게 되며 그러한 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울타리로서 치료사의 역할에 대해 자각하게 된다. 또한 환자들이 미술작업에 몰두하여 능동적으로 작품을 만들면서 활기를 되찾고 성취감을 표현하는 모습을 보며 미술의 치유적 힘을 체감하게 된다. 셋째, 실습생들은 미술치료를 통해 다양한 환자들과 만나면서 경험의 폭을 확장하고 자신의 삶과 삶의 태도를 새로운 관점에서 성찰하게 된다. 실습생들은 종종 같은 나이 또래의 젊은 환자들을 만나 강한 전이의 감정을 경험하기도 하며, 윗세대 환자들의 속 깊은 얘기들을 들으면서 이전에는 알지 못했던 부모님의 입장과 마음, 인생에 대해 헤아려보는 시간을 갖기도 한다. 실습생들은 암 환자들과 함께 하면서 당연하게 여겼던 일상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변화된 삶에 적응하며 의미를 찾으려고 노력하는 환자들의 모습을 통해 인생의 어려움에 대처하는 자세와 지혜를 배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field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in art therapy master’s program at cancer treatment center,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ir experienc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art therapy student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art therapy practice at cancer treatment center, and get prepared for their own field practic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How do graduate students in art therapy master’s program experience field practice at cancer treatment center? and what i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ir experience? In order to collect research data, the researcher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from March 2019 to May 2019 with 5 graduate students in art therapy master’s program, who had conducted group art therapy sessions with adult patients at cancer treatment cente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ased on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the analysis results in 7 essential topics and 16 sub-topics. 7 essential topics are as follows: , , , , , , Thes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research participants came to re-think, and re-examine their notions of art therapy at cancer treatment center in an effort to adapt themselves to the changing circumstances of therapeutic environment, and provide patients with an art therapy that is approachable and meaningful from patients’ perspective. Secondly, research participants came to truly understand the healing power of art at cancer treatment center. Through art therapy, the participants saw patients getting completely absorbed in creative work, forgetting the pains and discomforts from the disease, and regaining confidence and energy. Also the participants came to appreciate the value of group art therapy, witnessing healing social interactions among patients. Lastly,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at cancer treatment center. In the process of adapting themselves to the changing environments, the participants learned how to cope with flexibility, openness, and creativity as art therapist. Also the participants expanded their purview of life working with diverse groups of patients, which led them to reflect on their own life and appreciate its value from a new perspec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