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8 Download: 0

비한자권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한자 접두사 교수가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비한자권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한자 접두사 교수가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Korean-Chinese Prefix Education for Students from Non-Chinese Character Cultures
Authors
윤미소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비한자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수법의 유형에 따라 한국어 한자 접두사의 어휘 습득 차이를 관찰하는 것이다. 한국어의 접두사는 단어의 앞에 붙어 뜻을 한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반면에 접미사는 접두사에 비해 그 수가 많고, 품사가 바뀌는 굴절 현상이 발생하여 교수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근의 앞에 붙어 단어의 뜻을 첨가하고, 굴절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접두사로 교수 요목을 한정하였다. 한자권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한자에 대한 사전 지식이 있기 때문에 의미나 음을 통해 한자어의 의미를 쉽게 유추하고 기억할 수 있다. 반면 비한자권 한국어 학습자는 이러한 사전 지식이 없기 때문에 대상을 비한자권 한국어 학습자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대상의 한국어 수준을 중급 학습자로 한정하였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한국어 한자 접두사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는 비한자권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자 접두사를 교수하였을 때, 교수법의 유형에 따라 습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어 한자어의 특징 및 체계를 기술하고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한국어 접두사를 정리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한국어 한자 접두사를 의미별로 재분류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어휘 교수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연구 방법인 연구 설계 및 절차, 피험자, 연구 도구, 분석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할 도구로는 사전 및 사후 시험지를 구성하였다. 사전 및 사후 시험지는 배운 어휘를 중심으로 평가하는 도구이다. 단, 추론 문항의 경우 학습하지 않은 파생어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피험자는 총 6명의 비한자권 한국어 중급 학습자로 구성되었으며, 각 집단별로 3명씩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사전 시험을 실시하고 집단별로 다른 교수법을 실시하여 4차시의 교수 후 사후 시험을 실시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Ⅳ장에서는 실험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한국어 한자 접두사 교육은 교수법의 유형에 따라 효과 차이가 있었다. 먼저 집단 간의 사전 시험 점수와 사후 시험 점수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비모수 검정 중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을 실시하였다. 통계 결과에서 모든 피험자의 사전 시험의 점수에 비해서 사후 시험의 점수가 향상되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집단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를 자세하게 살펴보기 위해서 집단별로 사전 및 사후 시험 점수의 평균을 내어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설명 중심 교수법으로 교수한 실험 집단 A에서는 평균 27점 이상의 향상을 보였으며 탐구 중심 교수법으로 교수한 실험 집단 B에서는 평균 25점 이상의 향상을 보였다. 설명 중심 교수법으로 교수한 실험 집단 A가 탐구 중심 교수법으로 교수한 실험 집단 B에 비해 더 높은 점수 향상을 보였다. 또한 피험자의 개별 변인을 고려하여 문항별로 분석하였을 때 모든 유형에서 사전 시험에 비해 사후 시험에서 점수가 향상되면서 대부분의 한자 접두사를 습득하고, 습득을 통해서 접두사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파생어를 보고 어휘의 뜻을 추론하는 단계까지 나아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연구의 결론 및 향후 연구에서 더 나아가야할 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의의는 한국어 한자어 접사에 관한 연구 중에서 실험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는 한 가지의 실험 집단을 두고 효과를 관찰한 반면 본 연구는 교수법에 따라 설명 중심 교수법으로 교수한 실험 집단 A와 탐구 중심 교수법으로 교수한 실험 집단 B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여 각 집단별로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설명 중심 교수법이 더 효과적이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반면 본 연구의 한계는 첫 번째로 피험자의 조건을 한정하지 못하였다. 실험 초기에는 비한자권 한국어 학습자의 국적과 한국어 TOPIK 등급을 동일하게 제한하여 진행하고자 하였지만, 국내 한국어 교육기관에 한자권 학습자에 비해 비한자권 학습자가 현저히 적어 피험자의 조건을 크게 제한하지 못하고 진행하게 되었다. 두 번째는 사전 및 사후 시험을 수업 직전과 직후에 실시하였다는 점이다. 사전 및 사후 시험 외에도 기간을 두고 한 차례 더 사후 시험을 진행하였다면 더 확실한 교수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참고하여 피험자의 조건을 좀 더 한정하는 동시에 피험자의 수를 늘려 진행하고, 사후 시험을 추가적으로 실시한다면 더 좋은 연구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한계를 바탕으로 한 후속 연구가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 of Korean-Chinese prefix education for students from non-Chinese character culture. In Korean language, prefix has a function of limiting and defining specific meaning of a word. For students with cultural background where Chinese characters are used in there language, it is easy to deduce a meaning from and remember well the meaning and its sound of Korean-Chinese characters as they have prior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On the other hand, Korean learners from Non-Chinese Character culture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remembering Korean Chinese characters. Regarding Chinese characters used in Korean affixes, generally there are more of suffixes than prefixes. However, the part of speech of a Korean word may change according to the attached Korean-Chinese suffixes, and this may confuse students from learning Korean-Chinese affix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tent of education was limited to prefixes which are the affixes placed before a word and which do not change the part of speech of a word. Also, I have limited the subjects to Korean learners from non-Chinese character culture. Chapter Ⅰ,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are clarified,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is my research were examined. Based on these previous studies, I have developed a research question, that i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Korean-Chinese prefixes when different teaching methods were applied to each student group. In Chapter Ⅱ, I have describ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First, I have reorganized the features and the system of Korean-Chinese affixes that describes in “Standard Korean Dictionary”. Also, I have reclassified the Korean-Chinese prefixes according to its meanings,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Second, I have described the Korean vocabulary teaching method. In Chapter III, I have described the study method.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to collect data consist of pre-tests and post-tests. Pre-test and post-test are tools used for assessing learned vocabulary. Subjects consist of six students from non-Chinese cultures and They are all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I have devided into two groups, each group consisting of three students. Pre-tests and post-tests were proceeded before and after each lessons, and there were four lessons carried out. In Chapter IV, I have described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eaching Korean-Chinese prefixes according to teaching methods.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at all subjects had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Therefore, in order to examine this in detail, the difference of average test scores of each group were compared. Experimental group A, who were taught in Explanation-based Language Teaching method, showed higher score improvements than group B who were taught in Research-based Language Teaching method. Chapter Ⅴ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nd further points to be considered were described in future research. Throughout this research, I have conducted experiments to see the effect of teaching methods for teaching Korean-Chinese prefixes to studen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re-tests and post-tests were taken before and after each lessons, and the tests scores were compared to observe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teaching metho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few limitations in this study, that is specific conditions of the subjects were partially controlled. Also, the pre-tests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class. However, if the post-tests could be carried out once again after a period of time, it would have been possible to confirm the already verified effectiveness of teaching methods. Therefore, in the subsequent study, it would be better to refer to this information. Further research along this line many refer to this limitations and contribute to develop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teaching Korean-Chinese affix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