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소연-
dc.contributor.author이지민-
dc.creator이지민-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22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22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4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46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679-
dc.description.abstractEmotional pains and wounds caused by individual worries and problems are hard to be healed on their own. Therefore, humans aspire to heal themselves through the process of building relationships, talking,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It is also called healing through ‘solidarity’ among people. For teenagers, such healing through solidarity is likely to be most effective when the healing is obtained from peers. Because friends in their age are most emotionally dependent on each other, the solidarity among them tends to be stronger.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olidarity between teenagers has a great therapeutic influence, this study discussed the literary therapeutic methods using <Gangdo Mongyurok> and <Dalcheon Mongyurok>, the Mongyurok novels that reveal the significance of solidarity. In Chapter Ⅱ, preliminary studies on literary therapy, solidarity, and Mongyurok were reviewed. In terms of the reason why literary therapy is needed in literary education, application of literary therapy in literary education leads to positive impacts such as healthy self-formation, emotional healing, and enhancement of empathic ability of learners. Next, literary therapeutic values of solidarity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conceptualization by the American philosopher Richard Rorty, solidarity is formed in dependence on the specific similarities of one’s life and others’ lives. Solidarity formed by the similarities is reinforced by painful and sad stories of others while increasing one’s sensitivity,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others as 'one of us' by including others in the frame of 'we'. It has therapeutic effects of similarities, catharsis, empathy, and identification. Similarities enable us to feel relieved based on the awareness that others have similar experiences and feelings. Catharsis encourages us to express our oppressed pains and release the emotions of depression and sorrow. Empathy allows us to emotionally engage in each other. Finally, identification has therapeutic effects that make human beings truly understand each other and connect people. In this regards, solidarity with the therapeutic effects has been studied in literary therapy with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Gangdo Mongyurok> and <Dalcheon Mongyurok> were selected as novels suitable for literary therapy using solidarity, because they were characterized to clearly reveal the solidarity in Mongyurok. Mongyurok deals with narratives in 'dreams'; In a fantasy space called 'dream', people can express the suppressed agonies, feelings, and complaints. Since the solidarity are reinforced through painful and sad stories, 'dreams' in Mongyurok are interpreted as spaces that reinforce the solidarity. In particular, the 17th century wartime Mongyurok, which covers the sufferings from war, shows strong solidarity. Thus, this study selected the two novels of the 17th century wartime Mongyurok, <Gangdo Mongyurok> and <Dalcheon Mongyurok>,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literary therapy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both works revealed solidarity and that the identification between the works and their readers could also be achieved. In Chapter III, the solidarity process in <Gangdo Mongyurok> and <Dalcheon Mongyurok> was analyzed with respect to how the awareness of similarities in circumstances and gender formed the solidarity, and how the sharing of sufferings strengthened the solidarity. Moreover, the study examined how this process developed into identification to expand the idea of ‘we’. In Chapter Ⅳ,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relation to the educational methodology of <Gangdo Mongyurok> and <Dalcheon Mongyurok> using solidarity were organized, which opened the possibility of Mongyurok's literary therapeutic use. Given that there have been very few literature studies on Mongyurok so far, this study emphasized the values of Mongyurok for literacy education, thereby contributing to the diversity of literacy therapy materials. Furthermore, this educational plan has significance to cultivate the commuity consciousness of learners and help the learner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healing, and thus to acquire the literary therapeutic effects. ;본고는 청소년들이 고민을 상담할 때 친구에게 가장 많이 의지한다는 통계를 바탕으로 청소년들 간에 ‘연대’를 통한 치유에 주목하였다. 연대를 활용한 문학치료적 가치를 살펴보고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연대에 대한 개념은 오랜 시간 다양하게 변천되어왔는데, 본고는 리처드 로티(Richard Rorty)의 정의를 빌려 정의하였다. 로티는 타인과의 유사성에 주목해서 유사성이 있을수록 연대를 느낀다고 보았다. 그리고 슬프고 고통스러운 이야기의 공유가 연대를 강화해줄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로티의 정의로 연대를 바라보고, 연대의 치료적 요인과 문학치료적 가치에 대해 분석하였다. 유사성을 통해 연대를 형성하고, 슬프고 고통스런 이야기의 공유로 카타르시스와 공감을 느끼고 동일시를 하는 등의 연대 과정이 치유적 효과가 있으며 문학치료적 가치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연대가 잘 드러나는 제재로 17세기 전란 몽유록 소설인 <강도몽유록>과 <달천몽유록>을 선정하였다. 두 작품은 17세기 전란 몽유록으로 전란으로 인한 슬픔, 고통 등을 적나라하게 표현한 작품이다. 몽유록에서의 ‘꿈’이라는 환상계 공간에서 작중인물들이 자신들의 슬픔, 원통한 이야기를 솔직하게 드러내고 있어 연대가 잘 드러난 작품이다. 본고는 <강도몽유록>과 <달천몽유록>에서 작중인물들의 유사성과 전쟁으로 인한 고통과 슬픈 기억들을 공유하고 있는 것을 분석하였고 인물들의 연대가 드러난 장면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연대를 활용한 문학치료적 교육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강도몽유록>과 <달천몽유록>에 대한 이해하기 활동을 통하여 몽유록에 대한 이해와 작품 속 작중인물들의 처지, 정서, 이야기 등을 파악해 연대가 드러난 모습들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작중인물들의 감정에 주목하여 어떠한 치유효과가 있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몽유록의 ‘꿈’이라는 공간과 연대에 대한 연관성을 파악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작품 속 인물들과 같은 모임에 참석하면 어떤 이야기를 할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함으로써 작품 속 인물들과 연대를 느끼고 동일시를 이루도록 하였다. 또한 ‘꿈’의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모임을 주최해보도록 구상하게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모임의 방식을 결정하고, 유사한 고민에 대한 처지, 경험, 감정 등을 나누도록 하여 연대 과정을 경험해보도록 한다. 이 활동을 통해 타인에 대해 이해하고 공감하며 상호 소통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으며, 연대를 통한 치유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연대를 통한 몽유록 소설의 문학치료적 교육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몽유록의 문학치료적 교육 활용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다. 문학치료적 교육에 대한 고전문학 제재로는 설화, 소설, 전, 시가 등에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몽유록을 활용한 문학치료적 교육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는 몽유록 소설이 문학치료적 교육에 활용할 가치에 대해서 논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 연대는 여러 사람들 간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지고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는 문학교육에서 목표로 하는 공동체의식의 함양을 도울 수 있다. 셋째, 학습자들의 정서적·심리적 치유를 도울 수 있다. 연대를 통한 문학치료적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의 정신건강의 회복을 돕는 가치를 지닌다. 이와 같이 연대를 통한 몽유록 소설의 문학치료적 교육은 문학치료적 교육 제재의 확장, 학습자들의 성장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2 C.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14 Ⅱ. 예비적 고찰 16 A. 문학치료적 관점에서의 문학교육과 연대 16 1. 문학치료적 관점에서의 문학교육의 필요성 16 2. 문학치료적 관점에서 본 연대의 가치 19 3. 연대를 활용한 문학치료적 교육의 의의 28 B. 연대를 활용한 문학치료와 몽유록 29 1. 몽유록의 특징과 연대 29 2. <강도몽유록>과 <달천몽유록> 개관 33 3. <강도몽유록>과 <달천몽유록>의 연대를 활용한 문학치료적 교육의 가능성 42 Ⅲ. 연대의 관점에서 본 <강도몽유록>과 <달천몽유록> 분석 48 A. 유사성을 통한 연대 형성 및 강화 48 1. 유사한 처지와 성별 인식을 통한 연대 형성 49 2. 유사한 고통 공유를 통한 연대 강화 52 B. 동일시를 통한 연대 확장 81 1. 정조를 지킨 여인으로서의 우리 81 2. 충의를 지킨 남자로서의 우리 82 Ⅳ. 연대를 활용한 강도몽유록과 달천몽유록의 문학치료적 교육방안과 의의 85 A. 강도몽유록과 달천몽유록의 문학치료적 교육방안 85 1. 연대를 활용한 문학치료적 교수학습 방법 85 2. 연대를 활용한 문학치료적 교수학습의 실제 91 B. 강도몽유록과 달천몽유록의 문학치료적 교육의 의의 98 1. 몽유록의 문학치료적 교육 활용 98 2. 공동체 의식 함양 99 3. 정서적심리적 치유 100 Ⅴ. 결론 103 참고문헌 105 ABSTRACT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84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연대(連帶)’를 중심으로 본 몽유록 소설의 문학치료적 교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강도몽유록>과 <달천몽유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Literary Therapeutic Education of the Mongyurok Novels using the Concept of Solidarity : Focusing on <Gangdo Mongyurok> and <Dalcheon Mongyurok>-
dc.creator.othernameLee, Jimin-
dc.format.pagevi, 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