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김연지-
dc.creator김연지-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21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21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5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55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67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독서 경험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독자들의 활용 양상을 분석하여 독서 교육에 연계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변화하는 독서 생태 속에서 텍스트와 독자 개념뿐 아니라 독서 행위가 새롭게 정의되고 있는 지금, 소셜미디어는 독자들이 자신의 독서 경험을 적극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인스타그램에서 ‘북스타그램’게시물을 통해 새로운 독서 문화를 형성해 가고 있는 독자들의 활동에 주목하였다. 이론적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독서 생태의 변화를 텍스트와 독자 정체성의 측면에서 검토하고, 이러한 변화에 필요한 문식성 교육의 현 주소가 어떠한 양상을 띠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언어와 매체> 교과서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소셜미디어를 교육에 활용하는 타당성을 제시하기 위해 청소년 독자들의 특성과 현실을 살피고,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적용하여 소셜미디어가 학습자들의 교육 환경 확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논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북스타그램’게시물과 계정에 드러나는 독자들의 독서 기록과 소통 양상을 분석하고, 실제 계정을 운영하고 있는 독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소셜미디어를 독서에 활용하는 활동이 지닌 효용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분석의 기준을 북스타그램의 기능적 특성, 상호성, 기록 매체적 특성에 따른 활용 사례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독자들이 인스타그램이라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인터페이스 안에서 각기 개성을 살려 독서 경험을 기록하고 공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독자들의 인식 조사를 위한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바에 따르면, 북스타그래머들이 다른 독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독서 지속 의지를 북돋고 인식의 지평을 넓힐 수 있었다는 긍정적 태도를 보고하고 있었다. 마지막 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정리하여‘독서 기록 생활화를 통한 개인 독서 아카이브의 구축’,‘독서를 통한 소통과 독서 조력자 관계 형성’을 소셜미디어의 독서 교육적 의의로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독서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국어 교과 안팎으로 연계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어 교과 내에서는‘한 학기 한 권 읽기’활동에 연계하는 학습 활동을, 국어 교과 외 독서 활동에서는 교과 연계 학습독서와 진로 독서 동아리 활동에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학습 활동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독서 생태 속에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자발적으로 독서 경험을 확장해 나가는 독자들을 통해 미래 독서의 한 측면을 분석하고, 청소년 독자들의 독서 교육에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앞으로 이어질 미래 독서 교육과 독자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여는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analysing the patterns of readers who record and share their reading experience through social media and seeking to measures applied for reading education. With reading ecosystem constantly changing in contemporary society, it is recognized that not only the notion of text and reader but also reading itself has been redefined. Meanwhile, social media has offered platform on which readers can actively expand their reading. Thus, this study pay special attention to Instagram among social media and activities of its users who have created the reading culture of new era through their posts called 'bookstagram'. For theoretical basis, this study starts to examine the change of contemporary reading ecosystem, centering on the changing aspects of textuality and reader identity. This change has required to teach new literacy which students need to cultivate to function well in social media era. By analysing <Language and Media> text books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seek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new literar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the traits and challenges of adolescent readers is investigated to provide validity of applying social media to reading education. Borrowing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 Theory, it is suggested that social media can expand learner's ecological system in the ways that have positive impacts on reading experience. This study proceed to analyze the pattern of readers' recording and sharing reading experiences revealed in 'bookstagram' posts and accounts. Moreover, readers' perception on the reading effectiveness of using social media is analysed by conducting surveys among 'bookstagramers', who report positive perceptions on using social media for sustainable and meaningful reading. Readers can record their reading experiences in the ways that express their individuality and can be motivated to read steadily by communicating with other readers. Based on analyzed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wo educational significances on applying social media to reading education. First, learners can make reading a way of life by keeping reading records, which also can be a foundation for building personal reading archive. Second, learners can establish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other readers, improving their reading motivations and attitudes. In accordance with these aspects, teaching plans for connecting social media with reading education are proposed in terms of extracurricular reading activities as well as within Korean language subjec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become a stepping stone leading to various studies of future reading education and reader that will be carried out afterwar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B. 선행연구 검토 5 1. 독서 교육과 독자 요인에 관한 연구 5 2. 매체 문식성 교육과 미래 독서에 관한 연구 11 Ⅱ. 소셜미디어 중심의 독서 생태 변화와 교육적 접근의 이론적 기반 18 A. 소셜미디어 기반의 독서 생태 변화 양상 18 1.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발달과 텍스트의 확장 19 2. 독자 개념의 변화와 새로운 독자 정체성 25 B. 새로운 문식성과 국어과의 매체 언어 교육 변화 32 1. 국어과에서 매체 문식성 교육의 필요성 33 2. 2015 개정 <언어와 매체> 교과서에 드러난 매체 문식성 교육의 양상 35 C. 소셜미디어의 상호적 특성과 독서 교육에의 시사점 48 1. 소셜미디어 시대의 청소년 독자 49 2. 소셜미디어를 통한 독서 생태계의 확대와 교육적 접근 53 Ⅲ.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독자들의 독서 경험 확장 사례와 인식 분석 59 A. 독자들의 소셜미디어 활용 사례 분석의 대상과 기준 설정 59 1. 독자들의 소셜미디어 활용 사례 분석의 대상 60 2. 독자들의 소셜미디어 활용 사례 분석의 기준 설정 63 B. 독자들의 소셜미디어 활용 사례의 양상 65 1. 북스타그램의 기능적 특성에 따른 활용 사례 65 2. 북스타그램의 상호성에 따른 활용 사례 71 3. 북스타그램의 기록 매체로서의 활용 사례 74 C. 소셜미디어 활용 독서 경험 확장에 관한 독자 인식 분석 78 1. 독서 경험 확장을 위한 소셜미디어 활용의 동기 78 2. 소셜미디어를 통한 독서 경험 확장의 주요 내용에 대한 인식 81 3. 소셜미디어 활용이 독서 경험에 미치는 효용에 대한 인식 86 Ⅳ. 소셜미디어 활용의 독서 교육적 의의와 연계 방안 90 A. 독자 인식을 바탕으로 한 소셜미디어 활용의 독서 교육적 의의 90 1. 독서 기록의 생활화를 통한 개인 독서 아카이브 구축 90 2. 독서를 통한 소통과 독서 조력자 관계 형성 94 B.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독서 경험 확장의 교육적 연계 방안 98 1.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독서 교육의 목표 99 2.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독서 교육의 연계 방안 예시 106 Ⅴ. 결론 118 참고문헌 123 부록 소셜미디어 활용 독자 인식 조사 질문지 128 ABSTRACT 1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538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독서 경험의 확장 양상 분석 및 독서 교육 연계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nalysing the expansion of reading experience using social media and suggesting plans for connecting reading education-
dc.creator.othernameKim, Yeon Ji-
dc.format.pagevi, 13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