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4 Download: 0

20-30대 여성의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지속의도의 관계

Title
20-30대 여성의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지속의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Self-Schema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of Women in their 20-30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Autonomy Support
Authors
박정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과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autonomy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self-schema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of ordinary exercise participants with a trainer.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t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private fitness centers located in Seoul. The questionnaire targets included women in their 20-30s who participated in an exercise program for at least a month with a trainer. A total of 487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478 were used in the analysis, except for the responses with lower reliabil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24.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ercise self-schema, perceived autonomy support,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xercise engagement. Second, there was a positiv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autonomy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self-schema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Thir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autonomy support in the cognitive/emotional exercise self-schema among the sub-factors of exercise self-schema. Fourth, the cognitive/emotional exercise self-schema mediated autonomy support of a trainer,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with tendency, and had a full mediating effect with reinforcement. The study confirmed that a trainer’s autonomy suppor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self-schema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can suggest the necessity of autonomy support for trainers in the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지도자와 함께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일반운동참여자들의 운동자기도식과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자율성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울에 소재한 공공 생활체육시설과 사설 휘트니스 센터에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은 지도자와 함께 1개월 이상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20-30대의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총 487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신뢰도를 낮추는 응답을 제외하고 47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일원 변량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참여 특성에 따라 운동 자기도식, 지각된 자율성지지, 운동지속의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 대한 지각된 자율성지지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운동 자기도식의 하위요인 중 인지·감정적 운동 자기도식에서 지각된 자율성지지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인지·감정적 운동 자기도식은 지도자의 자율성지지를 매개하였으며, 경향성과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강화성과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첫째, 운동참여 특성에 따라 운동 자기도식, 지각된 자율성지지, 운동지속의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 대한 지각된 자율성지지의 정적인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운동 자기도식의 하위요인 중 인지·감정적 운동 자기도식에서 지각된 자율성지지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인지·감정적 운동 자기도식은 지도자의 자율성지지를 매개하였으며, 경향성과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강화성과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 지도자에게 자율성지지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