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5 Download: 0

대학도서관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대학도서관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library anxiety among international users in Korea
Authors
유지윤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동열
Abstract
Universities are focusing on internationalization, and the number of international users using academic libraries is expected to increa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library anxiety among international users and make suggestions for helping international users reduce their library anxiety levels. While few studies have explored library anxiety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there are not many studies which have investigated library anxiety of international user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library anxiety among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and professors and in Korea and provide suggestions for helping international users coping with their library anxiety. To that end, this study defined library anxiety and antecedents of library anxiet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comparatively analyzed research on library anxiety at academic librari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analyzed the questionnaire responses of international users to provide suggestions to alleviate the effects of library anxie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library anxiety of international users at academic libraries including international professors and researchers. University with most international students was selected for the study based on 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and University Statistics released in 2018. Data through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o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campus and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An online questionnaire was also distributed to international professors. The 369 data gathered through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brary usage, and the average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cultural understanding was calculated. Second, the library anxiety scale was then submitted to a test of internal reliability, and the overall average of library anxiety was calculated. Third, t-tests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brary anxiety for gender and library instructions. Fourth, a un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alysis(ANOVA) was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brary anxiety for status, nationality, reasons for using the library, and frequency of library visits. Fifth,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rength of a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roficiency and library anxiet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rength of a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understanding and library anxiety. Sixth,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multiple answer questions. Seventh, wor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open-ended survey responses. A library anxiet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urvey data, and the results are given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of library anxiety among international users is 2.96. `Knowledge of the library' appears to be the greatest source of library anxiety among international users while `mechanical barriers' showed relatively low library anxiety averages. Second,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the level of library anxiety among international users across all dimensions of library anxiety. Third, library anxiety associated with `Affective Barriers' dimension appeared to decline linearly as a function of the year, with undergraduate students reporting the highest levels of library anxiety, followed by graduate students, and, lastly by professors. Fourth, a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brary anxiety among users from different countries. Findings revealed that users from Oceania reported higher levels of library anxiety than others. Fifth, findings revealed that international users who participated in library instructions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library anxiety associated with `Knowledge of the library' dimension than did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library instructions. Sixth, a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brary anxiety for reasons for using the library. Findings revealed that users who visit the library to relax reported highest levels of library anxiety associated with `Digital library Barriers' dimension. Seventh, although it is expected that frequent library visit would build confidence in library users' ability to discover and use resources, the analysis indicat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requency of library visits and levels of library anxiety. Eighth,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Korean proficiency and library anxiety suggest that international users fluent in Korean experience less library anxiety in terms of `Barriers with staff', `Knowledge of the library', and `Language barrier'. Ninth,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ultural understanding and library anxiety suggest that international users familiar with Korean culture experience less library anxiety in terms of `Affective Barriers', 'Barriers with staff', `Language barrier', and `Digital library Barriers'. An analysis of open-ended survey response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given as follows First, the result reveals that 50% of the users experienced some form of anxiety while 46.2% of the users comfortably use the library. The word frequency analysis result shows that users described their feelings as confused, hard, bad, intimidated, difficult, restrictive, complicated, inconvenient, ridiculous, and troublesome. Second, the result suggested that international users experience library anxiety in terms of knowledge of the library, library website, communication, resources, library policies, and physical space of the library. Third, the result revealed that international users make suggestions on library information, library website, library instructions, human resources, library facilities and environment, library resources, and library policies.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among international users as follows. First, adding English website contents can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because according to results of the survey international users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notice and information only written in Korean. Second, providing detailed guidelines in English can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becau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international users get confused when they can neither find guidelines nor get assistance. Third, offering more library instructions for international users can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international users, especially graduate students, are interested in library instructions. Fourth, developing a Library Buddy Program can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international students want informal services. Recruiting student volunteers and supporting international students can be helpful. Fifth, liaison librarians for international users can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international users have a difficult time communicating with librarians due to the language barrier. Sixth, organizing a library committee for international users and gathering feedbacks can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Since international users face different types of problems,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library from different perspectives. Seventh, providing wayfinding signs for international users can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international users get confused because they are not familiar with library space. Eighth, offering a small group tour for international users can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A small group tour carries with it a certain personal intimacy and provides personalized service. Ninth, expanding library collections in foreign languages can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Alleviate library anxiety to attract more international users to the library will help international students and international professors achieve more.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국제화 추세에 따라 앞으로 대학도서관을 이용하는 외국인 이용자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외국인 이용자가 경험하는 도서관불안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서관불안에 관한 기존 연구는 대학도서관에서의 도서관불안을 연구하였으나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국인 대학원생 및 외국인 전임교원을 대상으로는 처음으로 도서관불안 수준 및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도서관불안 해소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도서관불안의 이론적 개념 및 주요 도서관불안 요인을 정리하고, 국내외에서 수행된 대학도서관의 도서관불안 연구를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한 후, 설문조사 분석에 기초하여 대학도서관 불안 완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대학도서관을 이용하는 외국인 이용자`로 외국인 학생에 한정하지 않고 외국인 전임교원 및 연구원도 포함하여 다각적으로 도서관불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도서관을 선정하기 위해 교육부에서 발간한 2018년 대학교육통계 및 각 대학에서 2018년에 발표한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외국인 이용자 수가 많은 대학을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대학캠퍼스에서 외국인 학생 및 연구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추출로 수행되었다. 설문조사는 외국인이 많은 평일 저녁 및 주말 낮 시간대에 실시하였다. 또한 외국인 전임교원을 대상으로 동일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369부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설문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도서관 이용 특성에 관한 문항을 빈도분석 하였고, 언어 및 문화적 특성과 관련된 문항의 평균점수를 계산하여 한국어 실력 및 한국문화 이해도를 파악하였다. 둘째, 도서관불안 문항의 신뢰성 검정을 실시하고, 도서관불안 점수를 도출하였다. 셋째, 성별 및 도서관 이용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도서관불안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수행하였다. 넷째, 신분, 국적, 도서관 방문목적, 도서관 방문빈도에 따라 도서관불안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한국어 실력 및 한국문화 이해도와 도서관불안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여섯째, 도서관불안 완화 방안과 관련된 문항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응답 빈도분석 및 다중응답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일곱째, 서술형 문항을 분석하기 위해 단어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대학도서관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의 전체 평균점수는 2.96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인 이용자는 영역별 도서관불안 점수를 비교하면 `도서관에 대한 지식'으로 인한 불안감울 가장 많이 느끼고, `기계적 장벽' 측면에서는 가장 낮은 불안감을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라 도서관불안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였으나 전반적으로 도서관불안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신분에 따라 도서관불안 수준에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정서적 장벽'으로 인한 도서관불안 영역에서 전임교원이 도서관불안을 적게 느끼는 편이고, 그 다음으로 대학원생, 대학생 순으로 도서관불안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적에 따라 도서관불안 수준에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전반적으로 오세아니아 이용자가 높은 도서관불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용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도서관불안 수준에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이용교육에 참여한 이용자가 이용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이용자보다 `도서관에 대한 지식'으로 인한 도서관불안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방문목적 참여 여부에 따라 도서관불안 수준에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디지털도서관으로 인한 장벽' 측면의 도서관불안은 방문목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식을 위해 도서관을 방문한 이용자가 `디지털도서관으로 인한 장벽' 측면의 도서관불안을 가장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방문 빈도가 높을수록 도서관 환경에 익숙해지고 정보 탐색 과정에 대한 지식이 증가하여 도서관불안감이 감소할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방문빈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외국인 이용자의 한국어 실력과 도서관불안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한국어 실력이 좋을수록 도서관불안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도서관에 대한 지식' 영역, `직원으로 인한 장벽' 영역, `언어적 장벽' 측면의 도서관불안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외국인 이용자의 한국문화 이해도와 도서관불안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한국문화에 대해 적응을 잘 할수록 도서관에 대한 불안감을 적게 느끼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정서적 장벽', `직원으로 인한 장벽', `언어적 장벽', `디지털도서관으로 인한 장벽' 측면의 도서관불안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도서관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 관련 서술형 응답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에 대해 느끼는 감정을 파악하기 위해 서술형 문항에 대한 이용자 응답을 분석한 결과 한 가지 이상의 불안감을 표현한 이용자가 50%, 도서관에서 불안함을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46.2%로 나타났다. 단어빈도 분석을 통해 도서관에 대해 느끼는 감정을 분석한 결과 도서관에 대한 부정적 감정표현으로는 혼란스러움, 어려움, 위협적임, 제한적임, 복잡함, 불편함, 황당함, 성가심 등의 감정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술형 문항에 대한 이용자 응답을 분석한 결과 외국인 이용자는 도서관에 대한 지식 측면, 도서관 홈페이지 이용 측면, 의사소통 측면, 외국어 자원 측면, 도서관 규정 측면, 도서관 공간구성 및 규모 측면에서 도서관불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술형 문항에 대한 이용자 응답을 분석한 결과 외국인 이용자는 도서관 안내, 도서관 홈페이지, 도서관 이용교육, 도서관의 인적 요소, 도서관 시설 및 환경, 도서관 자원, 도서관 규정과 관련된 도서관불안 완화 방안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에서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도서관 홈페이지의 영문 콘텐츠를 강화한다면 도서관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도서관 홈페이지의 일부 공지 및 정보가 한국어로만 되어 있어 이해하기 어렵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서관 전반적으로 영문 안내를 강화한다면 도서관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 이용자는 직원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영문 도서관 안내가 없는 경우 혼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국인 이용자를 위한 도서관 이용교육을 확대한다면 도서관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외국인 이용자는 도서관 이용교육에 관심이 있으며 특히 외국인 대학원생은 도서관 이용교육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외국인 학생을 위한 `도서관 버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도서관불안을 경감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외국인 학생들은 보다 친밀한 서비스를 원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생 자원봉사자를 모집하여 외국인 학생이 도서관에 적응하는데 적절한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외국인 이용자를 위한 리에종 사서를 배치한다면 도서관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분석 결과 외국인 이용자는 언어적 장벽으로 인해 사서와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외국인 이용자 도서관 자문위원회를 설립하여 외국인의 의견을 적극 수렴한다면 도서관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외국인 이용자들이 어려움을 호소하는 부분은 한국인 이용자와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외국인 이용자의 시선으로 도서관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일곱째, 외국인 이용자들이 도서관 내부에서 길을 잘 찾을 수 있도록 적절한 안내를 제공한다면 도서관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분석 결과 외국인 이용자는 도서관 공간구성에 익숙하지 않아 혼란을 느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덟째, 외국인 이용자를 위한 소그룹 투어를 제공한다면 도서관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소그룹 투어를 통해 도서관 공간에 대한 친밀감을 강화하고 보다 개인화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아홉째,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외국어로 된 자원을 확대한다면 도서관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을 경감시켜 도서관 이용을 활성화한다면 외국인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외국인 교원의 연구경쟁력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