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2 Download: 0

인터뷰 담화표지 사용양상의 비교분석

Title
인터뷰 담화표지 사용양상의 비교분석
Other Title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usage of discourse markers in interview :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advanced Korea learners
Authors
ZHU, YU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혜영
Abstract
본고는 한국과 중국의 언어 집단 화자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해 한국어를 화용론적인 측면에서 논의해 왔던 ‘담화표지(discourse marker)’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담화표지는 글말이 아닌 입말 담화에서만 실현되어, 화자의 의도와 심리적인 태도를 나타내거나 담화의 결속성을 높이는 데 화용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표현이다. 본고는 한국인 모어 화자와 한국어 실력이 상대적으로 뛰어난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담화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인터뷰에서 나타난 담화표지의 사용 양상을 제시하면서 비교 분석을 통해 두 언어 집단의 화자들이 담화표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제Ⅰ장은 본 논문의 서론으로서 먼저 논문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혔다. 선행연구를 국어학과 교육학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담화표지에 대한 연구들과 담화표지의 비교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의 문제점을 고찰하면서 본고에서는 선행연구와 변별되는 지점을 밝히고자 했다. 제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들에서 나타난 담화표지의 정의 및 분류와 특징을 정리하여 담화표지에 대한 본고의 정의를 추출하였다. 담화표지(discourse marker)는 입말에서만 실현되고 화자의 발화 의도를 상대방에게 잘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되며, 위치 이동이 자유롭고 본래의 어휘적인 의미가 탈색되거나 사라진 요소를 뜻한다. 제Ⅲ장에서는 인터뷰 담화표지의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한국에서 대학이나 대학원을 다니고 있으며 한국어에서 고급 수준에 도달한 중국인 유학생과 표준어를 사용하는 한국인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현장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많은 선행연구들에 근거한 것으로서 본고에서 분석의 틀로 삼은 담화표지는 ‘발화 내용 강조, 발화 내용 약화, 시간 벌기, 주제 전환, 발화 마무리’라는 5가지의 기능으로 분류하였다. 제Ⅳ장에서는 한·중 화자들의 인터뷰에서 나타난 담화표지를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한·중 화자들의 담화표지 사용 빈도와 비율을 살피고 두 언어 집단 화자들의 담화표지 사용 양상을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담화표지들을 기능별로 분석하고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담화표지 사용의 특징을 밝혔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두 언어 집단의 화자들이 모두 시간 벌기 기능의 담화표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인터뷰 담화가 비계획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화자들이 시간 벌기 기능의 담화표지를 사용하면서 자신의 발언권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또한 대체로 모어 화자들이 대화에서 많이 사용하는 ‘이제’, ‘막’, ‘약간’ 등의 담화표지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들의 담화 자료에서 적게 나타났다. 이는 담화표지들이 본래 지닌 부사의미가 소실되고 새로운 담화적 기능이 생겼으나 학습자들이 이를 잘 파악하지 못해 담화에서 적게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주제 전환 기능에서 중국인 고급 학습자들은 ‘그런데(근데)’를 과하게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발화 마무리에서 ‘네(예)’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런데’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은 ‘但是[dan shi]’이며, 이는 중국어에서도 주제 전환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중국인 학습자에게 익숙한 표현인데 한국어로 구사할 때도 마찬가지로 빈번히 사용되었다. 담화표지 ’네’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은 ‘嗯[en],是[shi]’로서 이는 자신의 이전 발화를 긍정하고 발화를 마무리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감탄사적인 담화표지 ‘어, 아, 뭐’ 등은 중국인 학습자의 담화 자료에서 높은 빈도로 드러났다. 이는 학습자들이 비계획적인 담화에서 더듬거리는 상황이 많이 나타나기 때문이기도 하고, 중국어와 비슷한 소리로 된 ‘啊[a]’, ‘呃[e]’로 발음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나아가 본고의 분석 틀에 적용할 수 없는 담화표지 ‘막’의 기능도 간단히 설명하였다. 마지막 소결론에서는 이 장의 분석 결과들을 총괄적으로 정리하였다. 제Ⅴ장은 본고의 결론 부분이다. 결론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비교할 때 나타난 담화표지의 사용 특징들을 정리한 뒤 본고의 한계점을 지적하면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This research examines the use of 'discourse markers', which have been discussed in terms of Korean pragmatics, based on interviews with language group speakers in Korea and China. Discourse markers are realized only in spoken discourse, not in written-word discourse, to express the intention and psychological attitude of the speaker or perform the pragmatic function of enhancing the cohesiveness of the discourse. In this research,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advanced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ith a relatively high level of proficiency were interviewed to collect discourse data.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ea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via comparative analysis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using the discourse markers by the speakers of the two language groups. This research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I present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such research in its introduction. The previous research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Korean language into two parts of education and pedagogy, and then examining the comparative studies and research on discourse markers. Based on this examination, this research attempts to identify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from the existing studies while examining problems of the existing studies.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research is presented. The definition of discourse markers in this research was deriv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markers in the previous studies. The discourse marker refers to an element that is realized only in spoken discourse, helps to communicate the intention of the speaker to the listener effectively, freely moves, and the original lexical meaning is distorted or missing entirely. In Chapter Ⅲ, the research method of interview discourse marker is presented. Chinese students who are attending college or graduate school in Korea and who have reached a high level of Korean proficiency and Korean students who use standard Korean have been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collection of data was conducted in the field interview format. In addition, the discourse marker, which is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used as the frame of analysis, is classified into five functions including ‘emphasizing the contents of the speech, weakening the contents of the speech, making time, changing the subject, and concluding speech’. In Chapter Ⅳ, the discourse markers in interviews between Chinese and Korean speakers are compared and analyzed. First, the frequency and proportion of discourse markers used by Korean and Chinese speakers are examined to compare the use patterns of discourse markers of two language group speakers. Next, the discourse markers are analyzed by function, and specific features of the discourse markers are identified with concrete examples. As a result, overall, all of the speakers of the two language groups turned out to be using the time earning discourse marker the most often. This is because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spontaneously and caused the speakers to retain their right to speak while using the time-earning discourse markers. In addition, discourse markers such as 'now', 'just', 'little' and so on, which are often used in conversation by native speakers, appear less in the discourse of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This is because the discourse markers have los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adverb and have gained a new discourse function, while the learners have failed to grasp such changes and use the discourse markers less in their discourse. In addition, Chinese advanced learners in the topic switching function tend to overuse the 'but(yet)' and often use 'yes' at the conclusion of their speech. The Chinese expression corresponding to 'however(그런데)' is '但是', which is a familiar expression for Chinese learners because it also functions as a change of subject in Chinese. Thus, it was often used in Korean expressions. The Chinese expression corresponding to the discourse marker 'yes(네)' is '嗯, 是', which functions as an affirmation of the speaker’s previous speech and ends the speech. Moreover, the interjecting discourse marker 'uh, ah, well'(어, 아, 뭐) has appeared frequently in the speech data of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This is because learners often stutter in unplanned discourse and the discourse markets can be pronounced in similar Chinese sounds such as '啊 [a]' or '呃 [e]'. Furthermore, the function of the discourse marker that cannot be applied to the analysis framework of this research is also briefly explained. In the sub-conclusion chapter,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Chapter V i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n the end, the research was resolved by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usage of discourse markers that appeared in the comparison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