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2 Download: 0

병렬말뭉치 기반 한·중 역접 표현의 대조 연구

Title
병렬말뭉치 기반 한·중 역접 표현의 대조 연구
Other Titles
A Contrastive Study on Korean·Chinese Adversative Expressions Based on Parallel Corpus : Focus on conjunction suffixes ‘–지만’, ‘-는데’ and ‘Dan(shi), Que, Suiran’
Authors
HAN, XUE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훈
Abstract
한국어와 중국어 모두 문법적으로 역접의 표현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문법 체계가 따르기 때문에 역접 표현의 표지도 다르다. 한국어에서는 연결어미, 부정어와 접속사 등 역접을 표현하고 중국어에서는 연사(連詞)와 부사 등 관련사어(關聯詞語)로 역접을 표현한다. 한국어든 중국어든 역접 표현의 유형이 다양하고, 의미가 복잡하기 때문에 역접 복문의 연구와 언어 습득에서 어려운 점이 있다. 그리고 한국어 역접 표현에 대한 연구와 중국어 역접 표현에 대한 연구는 각각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양쪽 간의 대조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조 언어학적 관점에서 병렬말뭉치에 나타난 실제적 언어 자료를 통해 한·중 역접 표현을 대상으로, 교착어인 한국어와 고립어인 중국어의 역접 표현을 대조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목적을 둔다. 구체적인 논의의 과정을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설명하고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준 한국어와 중국어 역접 표현에 대해 연구와 한·중 대조 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본고의 예비적 고찰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언어학적 ‘역접 표현’의 개념을 살펴보고 한국어와 중국어의 역접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식을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수집된 소설을 이루어진 한·중 병렬말뭉치에 따라 나타낸 한·중 역접 표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한국어 방면에서 먼저 연결어미 ‘-지만’과 ‘-는데’의 의미 기능을 살펴보았다. 다음에 역접을 가지고 있는 의미 항목에 따라 대응되는 중국어 역접 표지의 계량적 분포가 살펴보았다. 중국어 방면에서도 먼저 접속사 ‘但(是)’, ‘卻’과 ‘雖(然)’의 의미 기능을 탐구하였다. 이어서 ‘但(是)’, ‘卻’과 ‘雖(然)’ 각각 의미 항목에 따라 한국어 연결어미 ‘-지만’과 ‘-는데’의 계량적 분포를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한국어 연결어미 ‘-지만’과 ‘-는데’에 대응되는 중국어 역접 표현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앞에 Ⅲ 장에서 정리된 결과에 따라 연결어미 ‘-지만’은 고빈도 출현된 돌접 표지 ‘但(是)’과 ‘卻’, 그리고 양보 표지 ‘雖(然)’의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결어미 ‘-는데’는 고빈도로 출현하는 돌접 표지 ‘可(是)’와 ‘卻’, 그리고 양보 표지 ‘雖(然)’의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지만’과 ‘-는데’에 대응된 중국어 문장에서 무표지로 절과 절에 결합하는 문장도 나타내기 때문에 그의 나타내는 조건도 분석하였다. 이에 연결어미 ‘-지만’과 ‘-는데’가 중국어의 역접 표지로 번역된 조건을 각각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중국어 ‘但(是)’문, ‘卻’문, ‘雖(然)’문에 각각 대응되는 한국어 ‘-지만, -는데’문과 분석하였다. 아울러 중국어 역접 표지의 의미 기능에 따라 한국어 ‘-지만’이나 ‘-는데’로 번역된 조건을 살펴보았다. 마지막 Ⅵ장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이 연구의 필요성과 한계도 밝혔다. ;Both Korean and Chinese have a grammatical meaning of adversative. However, due to the grammatical system, the way in which the expression is different. In Korean, it expresses adversative such as conjunction suffixes, negative word and conjunctions. In the Chinese side is the use of conjunctions, adverbs and other related words to express the adversative. However, because the types of adversative expressions in Korean and Chinese are varied, their meanings are complex, so it becomes a major difficulty in the study of complex sentences and language acquisition. Studies on the expression of Korean adversative and the expression of Chinese adversative have shown an active state, but comparative studies between the two sides are still lacking.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mparative linguistics, the actual linguistic data collected through the parallel corpus, with the adversative expressions as the research object, and the common and different between the agglutinative language of Korean and the isolated language of Chinese. The specific process is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explain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 and clearly shows the research objects and research methods. Moreover, the advance research on the adversative expressions of Korean and Chinese, also the preceding Korean-Chinese comparative studies were reviewed The second chapter is the preliminary study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concept of ‘adversative expressions’ of language was determined, and various language ways of expressing Korean and Chinese adversative were briefly described. Chapter third analyzed the Korean-Chinese reverse sign based on the parallel corpus formed by the collected novels. In Korean, the grammatical meaning of ‘-지만’ and ‘-는데’ at the conjunction suffixes is discussed. Then, the first section also analyzed the quantitative distribution of the Chinese adversative markers according to the semantic item of ‘-지만, -는데’ having the inverse. And the second section explore the meaning functions of the Chinese conjunctions ‘Dan(shi), Que, Suiran’. Then, according to the meaning functions of ‘Dan(shi), Que, Suiran’, the distribution of Korean ‘-지만’ and ‘-는데’ was examined. Chapter forth analyzed Chinese adversative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Korean conjunction suffixes ‘-지만’ and ‘-는데’. According to the results summarized in Chapter III, in the frist section analyzed the aspect of confrontations of the conjunction suffixes ‘-지만’ and the high frequency frequently encountered sudden turn markers ‘Dan(shi)’and ‘Que’, and the concession marker ‘Sui(ran)’. In the second section analyzed the correspondence pattern of the conjunction suffixes ‘-는데’ and the high frequency frequently encountered sudden turn markers ‘Ke(shi)’, and ‘Que’, also the concession marker ‘Sui(ran)’. Conjunction suffixes ‘-지만, -는데’ also analyzed the correspondence condition of Chinese unmarked adversative sentences. According to the meaning function of Korean adversative sentences, the chapter forth examined the condition translated into Chinese adversative sentences. Chapter fifth analyze Korean conjunction suffixes ‘-지만’ and ‘-는데’ which correspond to Chinese adversative markers ‘Dan(shi), Que and Sui(ran)’ statement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meaning function of Chinese adversative markers, the chapter fifth examined the condition translated into Korean adversative markers ‘-지만’ and ‘-는데’. The final chapter summarizes and concludes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And the necessity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