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소현-
dc.contributor.author김예진-
dc.creator김예진-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09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09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3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38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623-
dc.description.abstract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가 통합교육현장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는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계획된 유치원 일과와 활동에 참여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참여는 장애 유아의 질 높은 통합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로서 강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유아들에게 있어서 다양한 기술을 습득하고 독립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하므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가 통합된 교육환경에서 의미 있는 발달적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 이들의 참여를 지원해야한다. 그러나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대집단활동은 교사가 개별 유아에게 직접적으로 과제를 제시하거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리이탈 행동으로 인해 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대집단으로 진행되는 활동 중에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와 착석행동을 지원하기 위한 효과적인 지원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자폐 범주성 장애의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관심을 특별한 관심 영역(SIA: special interest areas)이라는 용어로 지칭하며, 이를 교수 상황에 적용하였을 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는 연구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특별한 관심 영역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가 일과 중 이루어지는 활동이나 제시되는 과제에 대해 동기를 가질 수 있도록 촉진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상황에서 개별적인 발달을 지원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한 대집단 활동이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 및 자리이탈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유치원 특수학급에 재원하고 있는 3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중재를 실행하고 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관찰과 부모 면담을 통해 특별한 관심 영역을 판별하고, 지원이 필요한 대집단 활동 유형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활동 유형에 대해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협의하여 개별 유아의 관심 영역을 삽입하여 활동을 계획하고 준비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계획된 대집단 활동을 일반교사가 실행하였으며, 이후 두 교사가 함께 실행한 교수활동에 대해 점검하고 다음 중재 회기에 반영할 사항을 결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각 학급별 일과 중 진행되는 두 차례의 대집단활동 시간 중에 이루어졌다. 매일 오후에 이루어지는 대집단 활동 시간에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한 대집단 활동을 실행하여 중재 효과를 관찰하였고, 다음 날 진행되는 오전 대집단 활동 시간에 기초선과 동일한 상태에서 관찰하여 중재 효과의 일반화를 검증하였다. 중재 종료 3주 후에 중재 효과에 대한 유지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통합된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 모두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한 대집단 활동을 통해 활동 참여 행동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행동 변화는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하지 않은 일반적인 대집단 활동에서 일반화되어 나타났으며, 중재 종료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통합된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 모두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한 대집단 활동을 통해 자리이탈 행동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행동 변화는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하지 않은 일반적인 대집단 활동에서 일반화되어 나타났으며, 중재 종료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한 대집단 활동이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 행동 및 자리이탈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 영향은 중재가 제공되지 않은 상황에서 일반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중재 이후에도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첫째, 모든 유아에게 있어서 매우 강조되고 있는 활동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이라는 점, 둘째, 일반교육과정이 운영되는 가운데 기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며 참여를 유도했다는 점, 셋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과정을 거쳐 일반교사가 실행하였다는 점, 넷째,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교육활동에 적용하기 용이하다는 점, 다섯째, 유아가 활동에 참여하는 것의 즐거움을 느끼며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bedding special interest areas in large group activities on activity engagement behaviors and out-of-seat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included in general classroom. In this study, a multiple baseline design were used across three young children with ASD under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Each participants special interest area was determined in advance by special education teacher, general education teacher, and the parents. The teachers embedded the individualized special interest areas in large group activity plans through the process of discussion. Based on the modified activity plans, each general education teacher delivered the instruction in inclusive classroom setting. Generalization of the behavior was observed after each interventions section. Another discussion took plac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vention to exchange feedbacks on the activities and to reflect on the following intervention phases. The maintenance effects were assessed three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tervention increased each participant’s activity engagement behaviors and decreased the out-of-seat behaviors. These effects were generalized during the other large group activity time and were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Implications of embedding special interest areas in large group activities to enhance activity engagement behavior and out-of-seat behaviors are discus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 정의 6 1.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한 대집단 활동 6 2. 활동 참여 행동 7 3. 자리이탈 행동 7 Ⅱ. 이론적 배경 8 A. 유치원 통합교육과 활동 참여 8 1. 유치원 통합교육의 운영 실태 8 2. 유치원 활동 참여의 중요성 10 B.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행동 특성 12 1.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 행동 12 2.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자리이탈 행동 14 C.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특별한 관심 영역 15 1. 특별한 관심 영역의 개념 15 2. 특별한 관심 영역을 활용한 중재 16 Ⅲ. 연구방법 20 A. 연구 참여자 20 1. 선정기준 20 2. 기본 정보 및 특성 21 B. 실험 기간 23 C. 실험 환경 24 D. 실험 설계 및 조건 25 1. 실험 설계 25 2. 실험 조건 및 절차 26 E. 관찰 및 측정 32 1. 관찰행동의 조작적 정의 32 2. 자료의 수집 및 측정 34 F. 관찰자간 신뢰도 35 G. 중재 충실도 36 H. 사회적 타당도 37 Ⅳ. 연구 결과 39 A.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한 대집단 활동이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39 B.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한 대집단 활동이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자리이탈 행동에 미치는 영향 43 Ⅴ. 논의 및 제언 47 A. 논의 48 B. 제한점 53 C. 제언 54 참고문헌 55 부록 71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54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한 대집단 활동이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 행동 및 자리이탈 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Embedding Special Interest Areas in Large Group Activities on Activity Engagement Behaviors and Out-of-seat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cluded in General Classroom-
dc.creator.othernameKim, Yejin-
dc.format.pagev,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