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4 Download: 0

전문의의 상호문화역량에 관한 질적 연구

Title
전문의의 상호문화역량에 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Qualitative Research on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of Medical Specialists
Authors
정옥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송태현
Abstract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한국은 다양한 외국인이 함께 사는 다문화 사회로 급속하게 변화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의료현장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의료기관 이용 시 만족도와 의료적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전문의와 여성결혼이민자의 의사소통에 대해 파악하는 데 있다. 전문의가 여성결혼이민자를 진료실에서 만날 때 진료행위 내면에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의사소통하는지를 알아보려고 한다. 진료 시 여성결혼이민자의 태도와 진료 지시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그리고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전문의의 타문화 경험 즉 외국어 능력, 외국 거주, 외국인 의사에게 진료 받은 경험 등이 의사소통할 때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고찰할 것이다. 전문의와 여성결혼이민자간 의사소통 경험을 파악하고 분석한 후 문제와 갈등의 요소들을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해석해 볼 것이다. 그리하여 전문의의 여성결혼이민자와 의사소통에 대한 기존의 관점을 재성찰할 기회를 제공하고, 여성결혼이민자가 진료에서 배제되거나 소외되지 않고 소통의 주체자로서 인식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자는 2019년 3월부터 5월까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1차·2차 의료기관의 가정의학과, 내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11명을 대상으로 면담하여 전통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언어 장벽 때문에 전문의와 여성결혼이민자는 진료 시 의사소통의 모호함을 경험한다. 전문의는 자신이 가진 모든 지식을 활용하여 환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여성결혼이민자가 의료기관에서 표현하기 어려운 낯설음과 불만족함을 간과하기 쉽다. 전문의는 의료문턱이 낮아 예의 없이 행동하거나 진료결과에 만족하지 못해 불신하는 태도를 보이는 내국인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데 반해 언어장벽을 인해 표현을 잘 하지 못해서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는 여성결혼이민자 진료는 상대적으로 수월하다고 느낀다. 전문의들이 자신의 문화적 소속과 다른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존중함으로 검사라는 과학적 근거로 의사소통의 모호함을 상쇄하기 전에, 한국인 환자의 진료와 다를 바 없다는 가정과 선입견을 버리는 것이 여성결혼이민자 진료에 선행되어야 할 태도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실제적으로 여성결혼이민자와 외국인 환자들을 진료할 때 효과적이고 적절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술과 상호문화역량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둘째, 전문의는 여성결혼이민자 진료 시 확연히 다른 문화적 차이를 인식하고 갈등하며 타협점을 찾게 된다. 전문의는 여성결혼이민자와 사회적‧문화적 차이로 인한 갈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원인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문화적 배경에 대한 실질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다름으로 인한 갈등은 상호간에 지식이 없어서 오해로 일어날 수 있으며,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다른 진료에서 중복될 가능성이 크고, 결과적으로 의료책임의 문제로 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의에게는 문화적 정서적 갈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성결혼이민자에게 정중하고 예의 있게 의사소통하는 태도와 행동이 요구되고, 의료제도의 다름으로 인한 갈등에 대해 여성결혼이민자의 출신국 의료제도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요구된다. 상이한 의료개념을 가진 여성결혼이민자의 진료를 위해 전문의는 개방적 태도를 가지고 환자의 의료개념 이해와 현실적인 진료 과정을 관련시키며 의사소통하고 행동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전문의의 타문화 경험은 여성결혼이민자 의사소통 시 진료 장벽을 낮추며 진료 전략을 세우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지만 ‘내국인 진료와 외국인 진료는 동일하다.’는 생각에는 큰 영향을 주고 있지 못하다. 전문의는 장기간 환자 치료를 목표로 훈련을 받아왔고, 본인이 가졌던 초기의 진료장벽이 낮아져서 여성결혼이민자 진료가 쉬워졌고, 진료가 반복되는 가운데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적·문화적 장벽은 간과될 수 있다. 전문의의 개인적 타문화 경험 즉 외국어 능력, 외국 여행, 외국에 대한 관심, 외국 거주, 외국 의료기관 이용 등은 여성결혼이민자 진료장벽을 낮추고 진료전략 수립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급속도로 다문화사회로 이행된 한국의 현실에서 외국인 환자와의 원활한 진료를 위해서는 전문의의 ‘개인적 타문화 경험’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전문적 타문화 경험’으로서 연수 프로그램에 외국인 진료 교육과 상호문화역량 교육이 시행되고 지속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넷째, 전문의는 여성결혼이민자 진료 초기 시 언어와 피부색이 다른 낯선 환자에서 이질감을 느끼고, 한국 남성과 결혼하여 자녀를 출산하는 여성결혼이민자를 애국자라고 여기고, 결혼이민자가정 내 여성결혼이민자의 모국어 사용은 가족들의 태도에 달려있음을 발견한다. 여성결혼이민자는 출신국의 위상에 따라서 전문의에게 출신국을 밝히거나 숨긴다. 한국인 배우자는 여성결혼이민자 진료 시 동행하여 적극적으로 의사소통을 돕기도 하지만, 무관심하거나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우도 있어서 전문의가 진료를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기도 한다. 전문의들은 이중 언어 사용에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는데 결혼이민자가정의 자녀가 모어와 한국어를 혼용하면서 언어발달이 늦어지는 경우에 이를 돕기 위한 방법들을 여성결혼이민자에게 제시하고 있다. 결혼이민자가정의 자녀들이 다문화 사회에서 이중 언어화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들이 결혼이민자가정의 구성원들에게 중재자 역할을 해주기를 제언한다. ;In globalization, Korea is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which includes people of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his study explores the rea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female married immigrants and doctors and how it influences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se patients with regards to medical institution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analyzes what kind of awareness doctors have about female married immigrants when they meet in the clinic and how the doctor communicates with female married immigrant patients. Second, it analyzes the attitude of female married immigrants and how they respond to medical staff when they receive medical care. Third, it will identify how doctors’ exposer to other cultures such as foreign language ability, experience of living abroad, and experience with foreign doctors affects their communication with patients from different countries. Fourth, the analysis will provide insights from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on the issues and conflicts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and female married immigrant pati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doctors need to better understand the patients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so that the female married immigrant patients receive comprehensive care through effective communication. In this study, 11 medical doctors were interviewed from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Internal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Pediatric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medical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from March to May 2019. The responses were examined by the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ue to the language barrier, doctors and female married immigrants experience ambiguity in communication during the medical care. The doctors focuses on solving patients' health problems using all their knowledge, so they tend to overlook the dissatisfaction of female married immigrant patients who find themselves difficult to express their medical needs. Doctors have difficulties in the treatment of domestic patients who act rudely because of low medical threshold or dissatisfied with medical outcomes. On the other hand, doctors feel that it is relatively straightforward to treat married immigrant women who have ambiguity in communication because of language barriers. The doctors tend to only focus on medical procedures without considering possibility of mistreatment due to the miscommunication with the foreign patients. Instead of ignoring the ambiguity of communication with a purely scientific approach, doctors should first understand their patients with a wholistic approach by understanding their patient’s cultural affiliation. It’s also necessary for doctors to be equipped with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with foreign patients, especially the female married immigrants whose population has been increasing significantly over the years. Second, doctors should be able to recognize and resolve conflicts with foreign patients which can be due to cultural differences. They need to know the causes precisely in order to solve the conflicts that foreign patients experience due to social cultural differences. For this purpose, doctors’ practical knowledge of the patients’ social cultural background is needed. Conflicts due to differences can cause misunderstanding because they do not have mutual knowledge, and these conflicts are likely to be replicated in other treatments rather than being an one-time event, which can result in medical dispute. In order to solve the cultural and emotional conflict, doctors need have a polite and courteous attitude toward female married immigrants patients. They need to hav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n the medical system of the foreign patient’s native country since misunderstanding can happen due to the difference of two medical systems. While treating female married immigrant patients who have different medical concepts, the doctor needs to be open minded to understand the medical concept of the patients and should actively communicate with the patient during each step of the medical procedure. Third, doctors’ exposer to different cultural experiences is helpful in lowering medical barriers and establishing a better medical treatment strategy for female married immigrant patients, but it does not seem to have a big effect on the idea that domestic medical treatment and foreign medical treatment are the same. The doctors are trained for a long-term patient care, and the initial barriers to treatment have been lowered, making it easier to treat foreign patients, so the linguistic and cultural barriers of the female married immigrants can be overlooked during the care. The foreign culture experiences like foreign language ability, foreign travel, interest in foreign countries, foreign residency, and use of foreign medical institu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lowering the barriers to the medical treatment of female married immigrants and establishing a better treatment strategy. However, there is a limit to rely on the 'personal experience of other cult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consultation with foreign patients in Korea which has been rapidly transform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refore, it’s necessary to implement and sustain a system for doctors to obtain ‘professional experience of other cultures’ through foreign patient medical education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education. Fourth, the doctor can feel uncomfortable when treating patients whose language and skin color are different from his or her own at the initial stage of treatment. This happens often during the interaction with a female married immigrant who is married to a Korean man and gave birth to a child. The use of the mother tongue of female married immigrants in their family depends on the attitude of the family. Female marriage immigrants share or hide their country of origin depending on the political or social status of their country of origin. The female married immigrant comes to the doctor’s appointment with her Korean spouse who helps positive communication. However, some Korean spouses are indifferent or uncooperative, making it difficult for a doctor to proceed. Pediatricians are actively in favor of bilingual use. They suggest ways to help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whose language development can be slow because they use both mother’s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This study reveals that pediatricians can act as mediators for the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so that children in those families can grow as bilingual speakers in a multicultural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