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09 Download: 0

조직문화, ‘눈치보기’, 그리고 공무원의 창의성

Title
조직문화, ‘눈치보기’, 그리고 공무원의 창의성
Other Titles
Organizational Culture, the ‘Nunchi-bogi’, and the Creativity of Government Officials : Studies on Korean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Authors
김기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통희
Abstract
In every period of transitions, mankind has overcome the crisis through a new response. Creativity is the key capacity of the human to cope with challenges that are difficult to solve with conventional method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creative ideas that were impossible in the past are becoming possible. Notably, along with the stream of times where the wicked problems increase, government organizations are urged to pay attention to creativity. So far, the researches on creativity have been considered the sole possession of the private sector, whereas the public sector has been focusing on the reform of the organizational unit. However, without the creativity of government officials who form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the success of the government innovation cannot be guaranteed. Nevertheless, the concept of government official’s creativity is still not clear, nor there are any researches on the influence factor that may impede or promote their creativity. The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How is the creativity of the government officials different from the one that has been discussed so far in the administrative realm?’, and ‘How does the culture of government organizations affect each government official’s creativity by urging them to be ‘Nunchi-bogi’? The organizational culture is the organizational value that governs the mindset and behavior of the members and is highly likely to affect their creativity. Also, the ‘Nunchi-bogi’ is an individual behavior formed in the sense of Korea’s own cultural context, which is likely to influence government official’s creativity under the influence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the study sought to establish the concept of government officials’ creativity and the concept of ‘Nunchi-bogi’ at Korea’s traditional psychological context. Also,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striv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creativity of government offici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creativity of government officials mediated by the ‘Nunchi-bogi’. Finally, discussing the theoretical and political conclusion through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have derived for the purposes stated above.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this study set the organizational culture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Nunchi-bogi’ as a mediation variable, and the creativity of government officials as a dependent variable. More specifically, the creativity of the government officials was regarded as their ability displayed in the process of task execution and classified it as sensitivit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making decisions, executing decisions, evaluating decisions, and feedback. The organizational culture was classified into Collaborative Culture, Control Culture, Create Culture, and Compete Culture based on a Competing Values Model. The ‘Nunchi-bogi’ was newly classified as perception and behavior, narrowing it down to the concept of Nunchi in the sense of ‘considering my interes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government officials of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The survey data of 742 officials from 17 ministr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explorational and conformational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as well as the reliability test. To examine the aspect of the ‘Nunchi-bogi’ and government officials’ creativity, the average difference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Fi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o test the hypothe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review of the impact of the Korean government’s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creativity of government officials showed that the Create Culture and Compete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reativity of government officials.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officials who recognize organizational culture with an innovative atmosphere that values challenges and new ideas,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emphasizes competition and considers tasks and performance important were shown high creativity.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Collaborative Culture with more familial and communicative nature and Control Culture that values stability, rules and disciplin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is attributed to the multifaceted nature of Collaborative Culture and Control Culture. Second, the ‘Nunchi-bogi’ was found to have a strong impact on government officials’ creativity. After an empirical investigation, the ‘Nunchi-bogi’ was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categories: the ‘Rational Nunchi-bogi’, which is being conscious of one’s intention and inclination, and the ‘Emotional Nunchi-bogi’, which is being conscious one’s emotion and the atmosphere of the situation. The government official with the former act was shown with seriously low creativity, whereas the ones with the latter act had a positive impact on building creativity. The ‘Nunchi-bogi’ is not only a significant factor that influences government officials’ creativity, but it also shows that a new conceptual structure that has not been discussed exists. It, therefore, suggests the need for organizational attention of ‘Rational and Emotional Nunchi-bogi’ Third, this study looked at how the Korean government’s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government officials’ creativity by using ‘Rational and Emotional Nunchi-bogi’ as a medium. As a result, the Collaborative Culture and Control Culture was shown as indirect effects, instead of direct effects. The indirect effect on the Create Culture and Compete Cultu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investigate the details, the official who recognized Collaborative Culture, Control Culture, Compete Culture showed an increase in ‘Rational Nunchi-bogi,’ which led to a decrease in creativity. Those who recognized Create Culture showed a decrease in ‘Rational Nunchi-bogi’ and an increase in creativity. On the opposite, the officials who recognized Collaborative Culture, Control Culture and Compete Culture showed an increase in ‘Emotional Nunchi-bogi’ which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officials’ creativity. The ones who recognized Create Culture showed a decrease in ‘Emotional Nunchi-bogi’ which had a negative effect on creativity. In other words,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government officials’ creativity has a indirect impact and also direct impact,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Nunchi-bogi’ especially the ‘Emotional Nunchi-bogi’.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e theore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o increase the creativity of Korean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the ‘Emotional Nunchi-bogi’ needs the be enhanced. Considering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the ‘Emotional Nunchi-bogi’ on government officials’ creativity, the importance of ‘Emotional Nunchi-bogi’ which has an understanding of others’ feelings and intention has been confirmed. Second, in the case of organizational culture, the importance of Create Culture and Compete Culture was proven. It is necessary for the managers of the organization to step up and encourage new challenges to the members and positively examine creative ideas. It is equally important to present clear goals and a positive sense of competition and a sense of purpose for the members to achieve the task.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organizational atmosphere and to ensure that members can recognize it. Third, the attention to government officials’ ‘Rational Nunchi-bogi’ is needed. The ‘Rational Nunchi-bogi’ puts other people’s intention before one’s own, which decreases the creativity not only of each individual but also of the whole. If a ‘Rational Nunchi-bogi’ is formed in a Collaborative Culture collaborative and Control Culture, the harmful effects of collectivism and authoritarianism will be revealed, which will lead to a negative impact on government officials’ creativity. The effort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atmosphere that forms ‘Rational Nunchi-bogi’ is crucial. Fourth, it was previously mentioned that the study conceptualized the Nunchi-bogi’ at Korea’s traditional psychological context and empirically classified the act as ‘Rational Nunchi-bogi’ and ‘Emotional Nunchi-bogi’. Not only is this discovery meaningful academically, but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can explain the aspects of the ‘Nunchi-bogi’ that are emerging in the real society of government officials. To conclude, it is essential to stress the need and impediment of creativity on an organizational level and conduct an education and training on the development of government officials’ creativity. In the future, the need for government officials’ creativity will increase more in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above all, it is essential for the officials themselves to recognize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creativity. In this sense, it is meaningful to conduct studies on Korean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and their creativity,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research of creativity on an administrative level and the innovation of government. ;인류는 변화의 시기가 올 때마다 새로운 대응을 통해 위기를 극복해왔다. 창의성(Creativity)은 기존의 사고와 방식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난관에 대응할 수 있는 인류의 핵심역량이다. 21세기의 과학기술 발전과 더불어,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실현이 가능해지고 있다. 특히 세계적인 난제(wicked problem)가 증가하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창의성에 대한 정부조직의 관심이 촉구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창의성 연구는 사적영역의 전유물로 여겨졌고, 공공부문에서는 조직단위의 개혁에 주로 관심을 가져왔다. 하지만 정부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공무원의 창의성 없이는 정부혁신의 성공을 담보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공무원의 창의성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지 않으며, 공무원의 창의성을 저해하거나 촉진할 수 있는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 연구는 ‘행정영역에서 공무원의 창의성은 지금까지 논의되어 온 창의성과 어떻게 다른가?’ 그리고 ‘공무원의 창의성에 정부조직의 문화가 ‘눈치보기’를 통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조직문화는 조직구성원의 사고방식과 행동을 지배하는 조직 고유의 가치관으로서, 공무원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칠 개연성이 크다. 또한 ‘눈치보기’는 한국 고유의 문화적 맥락에서 형성된 개인의 태도로서, 조직문화의 영향을 받아 공무원의 창의성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공무원의 창의성의 개념과 한국 토속심리학적인 차원에서 ‘눈치보기’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증분석을 통해 조직문화와 공무원의 창의성 간의 관계, ‘눈치보기’와 공무원의 창의성 간의 관계, 그리고 ‘눈치보기’를 매개로 한 조직문화와 공무원의 창의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논의하고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위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였다.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조직문화를 독립변수로, ‘눈치보기’를 매개변수로, 공무원의 창의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무원의 창의성은 업무수행의 과정적 차원에서 나타나는 공무원의 역량으로 보고, 의사형성 및 결정, 의사집행, 의사평가 및 환류 과정에서 나타나는 민감성·유연성·독자성으로 분류하였다. 조직문화는 경쟁가치모형을 토대로 협업문화, 통제문화, 혁신문화, 경쟁문화로 분류하였다. ‘눈치보기’는 ‘이득과 손해를 고려한’ 눈치 개념으로 좁혀서 인식과 행동으로 새롭게 구분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한국 중앙정부의 공무원으로서, 17개 부(部)의 공무원 742명의 설문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공무원이 가지고 있는 ‘눈치보기’와 공무원의 창의성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차이 검정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정부의 조직문화가 공무원의 창의성에 직접적으로 미친 영향을 살펴본 결과, 혁신문화와 경쟁문화가 공무원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도전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중시하는 혁신적인 분위기가 조성된 조직문화를 인식한 공무원과, 과업과 실적을 중요시하고 경쟁을 강조하는 조직문화를 인식한 공무원의 창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가족적이며 소통이 잘 되는 협업문화와, 안정적이고 규칙과 규율을 중요시하는 통제문화에 대한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협업문화와 통제문화가 가지고 있는 다면적인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공무원의 창의성에 대한 ‘눈치보기’의 영향은 매우 강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눈치보기’는 실증조사 결과 상대방의 의도나 의향을 눈치보는 ‘이성적 눈치보기’와 상대방의 기분이나 상황의 분위기를 눈치보는 ‘감성적 눈치보기’로 분류되었다. ‘이성적 눈치보기’가 강한 공무원은 공무원의 창의성이 심각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성적 눈치보기’가 두드러지는 공무원은 공무원의 창의성에 강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눈치보기’가 공무원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단히 중요한 요인인 동시에, 지금까지 논의되지 않았던 새로운 개념적 구조가 실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성적 눈치보기’와 ‘감성적 눈치보기’에 대한 조직의 관심이 필요하다. 셋째, 한국정부의 조직문화가 ‘이성적 눈치보기’와 ‘감성적 눈치보기’를 매개로 공무원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직접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던 협업문화와 통제문화의 간접효과가 나타났으며, 혁신문화와 경쟁문화의 간접효과 역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협업문화, 통제문화, 경쟁문화가 강하게 나타날수록 ‘이성적 눈치보기’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공무원의 창의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혁신문화가 강하게 나타날수록 ‘이성적 눈치보기’는 감소하여 공무원의 창의성이 증가하였다. 반면 협업문화, 통제문화, 경쟁문화가 강하게 나타날수록 ‘감성적 눈치보기’는 증가하며, ‘감성적 눈치보기’는 공무원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편, 혁신문화가 강하게 나타날수록 공무원의 ‘감성적 눈치보기’는 감소하여 공무원의 창의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공무원의 창의성에 대한 조직문화의 영향력은 직접 효과는 물론 ‘눈치보기’를 통한 간접효과가 증명되었으며, 특히 매개변수인 ‘감성적 눈치보기’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가 갖는 이론적·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중앙정부 공무원의 창의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감성적 눈치보기'를 제고해야 한다. 공무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감성적 눈치보기'의 직간접적 영향을 고려해볼 때, 타인의 기분과 의도를 이해하고 분위기를 맞추는 '감성적 눈치보기'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조직문화의 경우 혁신문화와 경쟁문화의 중요성이 나타났다. 조직구성원의 새로운 도전을 장려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직구성원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한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고, 과업을 달성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경쟁의식과 과업에 대한 목표의식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조직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구성원이 인식할 수 있도록 꾸준한 조직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공무원의 ‘이성적 눈치보기’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자신의 생각보다 타인의 의도와 의향을 우선시하는 ‘이성적 눈치보기’는 직접적으로 공무원의 창의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조직문화를 통해서도 공무원의 창의성을 저하시킨다. 특히 협업문화와 통제문화 속에서 ‘이성적 눈치보기’가 형성될 경우, 집단주의의 폐해와 권위주의의 폐해가 드러나 공무원의 창의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성적 눈치보기'를 형성하는 조직분위기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눈치보기’를 한국 토속심리학적 측면에서 개념화하였고, 실증적으로 '이성적 눈치보기'와 '감성적 눈치보기'로 구분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러한 발견적 가치는 학문적으로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공무원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눈치보기’의 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 끝으로 조직적 차원에서 창의성의 필요성과 창의성의 저해요인에 대해 역설하고, 공무원의 창의성 개발방안에 대한 교육과 훈련이 이루어져야 한다. 앞으로 정부조직에서 공무원의 창의성에 대한 필요성은 점점 더 증가할 것이며, 무엇보다 공무원 스스로가 공무원의 창의성 개념과 필요성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의 중앙정부 공무원을 대상으로 공무원의 창의성 연구를 시도한 것은 매우 의미가 있으며, 이 연구의 결과가 행정영역의 창의성에 대한 연구와 정부의 혁신을 위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