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지-
dc.contributor.author김지현-
dc.creator김지현-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03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03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4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45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60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각 단계별로 국내 노인 대상 음악중재 연구 전반적 특성, 중재내용의 특징, 치료 논거 기술 특징 및 적절성을 세부분석하여 노인음악치료 연구 분야가 근거를 기반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앞으로 진행될 연구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분석기준에 부합하는 국내 KCI 등재(후보)학술지 게재논문 33편을 1차 선정하여 전반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본 연구의 연구자가 설정한 필수적인 중재 내용을 포함한 연구 23편을 2차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노인 대상 음악중재 연구의 치료 논거 기술 적절성과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 연구자가 설정한 평가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평가 상위 연구 범위에 해당하는 연구 5편을 선별하여 치료 논거 기술 특징을 세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 대상 음악중재 연구에서는 두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음악활동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연구 대상자의 진단적 특성을 고려하여 논거 기술된 연구의 수가 저조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영역별 논거 기술 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지만 모든 영역에 적절한 논거를 기술한 연구가 나타나지 않아 비교에 제한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국내 노인음악 대상 연구 진행 시 음악 장르 선택 기준이 목표활동에 대한 음악 요소적 특성보다는 선호도와 친숙성을 강조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앞으로 진행될 노인음악 중재 연구 시, 각 목표 영역에 따른 중재 제공자의 전문성과 학문적 전문성이 필수적이며 노인의 선호도와 친숙성에 따라 제한된 음악장르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각 목표영역에 이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인 대상 음악요소 반응에 대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여 다양한 음악을 활용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중재연구 시, 중재의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도록 음악프로그램적 개입이 아닌 구체적인 활동과 이에 따른 치료 논거의 적절성 보완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국내 노인 대상 음악 중재의 치료적 논거의 적절성을 분석하여 자료를 제공하였음에 의의가 있으며 연구에 제시된 결과를 통해 더욱 질 높은 노인 대상 음악중재 연구가 활성화되어 고령화 시대에서 음악이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되길 기대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if the field of elderly music therapy is being conducted on the basis of relevant evidence by analysing at each stag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interventions studies, the contents of music intervention and an appropriateness of therapeutic rationale for older adults in Korea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the future research. To this end, 33 publications of domestic KCI registered(nominee) journals that comply with the analysis criteria were selected first to analyz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and 23 studies, including the essential intervention set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or analysis on the second stage.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rapeutic rationale in domestic elderly music therapy, evaluation criteria were established by the researcher and the studies on top 5 were selected by this criteria for detailed analysis on the features of the therapeutic rationale. The analysis shows that music interventions for the elderly were conducted with two or more composite music activities and the number of studies described in the argument were low considering the diagnost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addition,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rgument description in each field, there were limitations in comparison as all field did not show studies describing appropriate arguments.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genre of music in Korea put emphasis on the preference and familiarity rather tha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element in the target activity. Accordingly, in future research on music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basic research on music element response for the elderly should be conducted to provide benefits to each target field, rather than to use limted music genre based on the preference and familiarity of the elderly and professionalism and academic expertism of the therapists in eacg target field are essential. Finally, on future music intervention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specific activities other than music programmatic intervention and the appropriateness of treatment arguments accordingly so a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arbitrat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ides the new data, analyz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therapeutic argument for music intervention for the aged in Korea, and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promote the more qualitative music interventions for the elderly so that music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in an aging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문제 3 C. 용어 정리 4 Ⅱ. 이론적 배경 5 A. 노인 5 1. 노인의 정의 및 개념 5 B. 노인 대상 음악중재 7 1. 노인 대상 음악중재 적용 7 2. 노인성 질병에 따른 음악중재 논거 11 Ⅲ. 연구방법 16 A. 분석 대상 및 범위 16 B. 분석 절차 17 C. 분석 항목 19 D. 자료 처리 28 Ⅳ. 결과 및 논의 29 A. 결과 29 1. 연구의 전반적 특성 31 2. 중재 내용 분석 40 3. 음악중재 내 논거의 적절성 50 B. 논의 65 Ⅴ. 결론 및 제언 68 A. 결론 68 B. 제언 70 C. 연구의 제한점 70 참고문헌 72 부록 78 ABSTRACT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94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국내 노인 대상 음악중재 연구 내 치료 논거 세부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Detailed Analysis of Therapeutic Rationale in Music Intervention Studies for Domestic Older Adults-
dc.creator.othernameKim, Ji Hyun-
dc.format.pagevii, 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치료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