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0 Download: 0

북한이탈여성의 건강권과 월경(月經) 경험 연구

Title
북한이탈여성의 건강권과 월경(月經) 경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ight to Health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Menstrual Experience
Authors
안정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석향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construct the North Korean defectors’menstrual experience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 it based on the four essential elements of the right to health: availability, accessibility, acceptability, and quality. Menstruation represents women’s biological maturity and becomes a part of every woman’s life for appropriately 34 years. Menstruation is a universal experience transcending race and social hierarchy, but it is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ime and culture. While menstruation is blessed as a positive experience in some period and culture, it is also interpreted negatively and considered a symbol of disaster in certain time and culture. In particular, the more androcentric a society is, the more they are likely to conceal women’s menstrual experience. The negative perception of menstruation an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entail related diseases which will result in degrading the life quality. Since menstru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women’s health,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the‘right to menstruate safely and freely’. Every woman is entitled to this right and the North Korean women should be able to enjoy this right as well. To guarantee North Korean women’s right to menstruate safely and freely is to guarantee their fundamental rights. According to the interviewees, the most inconvenient issue about their menstrual experience in North Korea was the lack of related products and knowledge. The lack of feminine hygiene products and sanitary facilities made menstruation a target of teasing and led women to feel‘ashamed’. As such, women in North Korea still hide and conceal their menstruation because of such ashamedness. The menstrual experience of North Korean women indicates that the poor economic situation of North Korea deteriorates the negative perception toward menstruation, which is prevalent in androcentric societies.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f the four essential elements of the‘right to menstrual health’in North Korea, all four elements(availability, accessibility, acceptability, and quality) have appeared to be lacking in North Korea. As a result, women in North Korea are dealing with their menstrual experience all by themselves as their state is not able to provide basic facilities, products, and service related to menstruation. This means that North Korea is not capable of guaranteeing the right to menstrual health. North Korean women’s menstrual experience in North Korea continues in third countries. Despite the fact that the quality of feminine hygiene products is a lot better in third countries, North Korean women have to bear their menstrual periods in poor conditions because of their unstable status as‘North Korean defectors’. Consequently, though the menstrual products in third countries are improved compared to those in North Korea, menstruating women are still being‘ignored’and‘discriminated’. The analysis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right to menstrual health’ in third countries shows that availability, accessibility, acceptability and quality are bound to be in poor conditions considering the unstable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s. North Korean defectors are not in the position to ask third countries for facilities, products, and service. Therefore, North Korean women have to take care of their menstrual health on their own in third countries where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ir‘right to menstrual health’. For those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staying in China in relatively safe conditions under the protection of relatives, the availability, accessibility, acceptability, and quality of the right to health might be better than in North Korea. Nevertheless, the level of acceptability to the right to health for North Korean defectors in China still appears to be very low, since they have not overcome the influence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cquired in North Korea. The menstrual experience of North Korean women in South Korea has been noticeably different from the menstrual experience in North Korea and the third countries in terms of products, facilities, education, information, and social atmosphere. The interviewees say that they can find feminine hygiene products or facilities whenever and wherever in South Korea. They also say that it is possible to have access to education and information about menstruation through various methods. On top of that, people in South Korea think of menstruation as a‘natural phenomenon’and have positive awareness about it. Accordingly, North Korean women living in South Korea do not look at menstruation limited to pregnancy function anymore and have started to consider it as an aspect of ‘health’. However, there also have been cases where North Korean women do not use menstrual products properly due to the false information they acquired in North Korea and exposure to numerous choices and the enormous amount of information in South Korea without proper training. Some North Korean women in South Korea even appear to have abnormal symptoms regarding menstruation, because they feel a lot of pressure living in an unfamiliar seting. What is worse is that the majority of such women choose to bear the pain or try to cure themselves rather than seeking professional help owing to the lack of knowledge. Since there is a strong chance that these women can change in South Korean society, given the social atmosphere and advanced environment, it is very important for them to have a proper awareness of their menstrual health. The analysis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right to menstrual health’in South Korea indicates that every element is at a satisfactory level compared to that in North Korea and third countries. Even 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eptability 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shows that male interviewees still have a negative perception about menstruation deeply rooted in their mind. The lack of acceptability makes it difficult to improve the level of acceptability without individual’s willingness even when information accessibility is at a high level. In case of female interviewees, while most of them are satisfied with their menstrual experience in South Korea, some of them are suffering from premenstrual syndrome because of the lack of information about feminine hygiene products along with the lack of knowledge related to female health. Such case is likely to be improved with the advanced facilities, products, service availability, accessibility, and quality in South Korea. In the end, though the ‘right to menstrual health’in South Korea is far better guaranteed than in North Korea or third countries, an attempt to understand North Korean defectors’previous experience and step up the level of their ‘right to menstrual health’in the future is needed. When people have distor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menstruation, it might have a negative effect on not only themselves but also their family members and people around them. This is an issue of‘menstrual health’ in a narrower sense and can be expanded to an issue of‘female health’. For that reason, it is crucial to make various programs to enhance‘the right to menstrual health’in conjunction with education for female menstruation and understanding the bod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menstrual products and facilities are developed, education and information are improved, and the awareness about menstruation is improved with the change in space from North Korea and third countries to South Korea. The negative perception about menstruation accumulated in North Korea still remains in some cases, but the right to‘menstruate safely and freely’asserted by the logic of‘menstrual equity’is being guaranteed only in South Korea out of 3 different spaces. Continuous attention and efforts are necessary so that women in North Korea and North Korean women still in third countries can fully enjoy their basic‘right to menstrual health’and ultimately, their ‘right to health’.;여성의 생물학적 성숙을 나타내는 월경은 초경부터 폐경에 이르기까지 약 34여 년 동안 개인의 일상과 함께한다. 월경이 인종과 계급을 초월한 여성의 보편적인 경험이지만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월경을 긍정의 경험으로 축복하는 시대와 문화가 있는 반면 부정하게 인식해 재앙의 상징으로 여기던 시대와 문화도 존재한다. 특히 남성중심사회일수록 여성의 경험을 숨기고 은폐하려는 경향이 있다. 월경 관련한 부정적인 인식과 그에 따른 여성 차별적인 환경은 관련 질병을 수반하며 이는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결과는 초래한다. 여성 건강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월경은 ‘안전하고 자유롭게 월경한 권리’ 보장이 필요한 영역이고 북한 여성도 당연히 이러한 권리를 누려야 할 집단에 해당한다. 북한 여성이 안전하고 자유롭게 월경을 할 여건을 갖추는 것은 이들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일이기도 하다. 이 논문은 ‘북한이탈’ 과정을 겪은 북한이탈주민 여성 15명과 남성 5명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북한, 제3국, 현재 거주하는 한국 총 3개 유형의 공간의 흐름에 따라 월경 경험을 살펴보고자 한다. 북한이탈주민의 월경 경험을 심층면담을 통해 재구성하고 건강권 필수 요소 4가지(가용성, 접근성, 수용성, 질)를 중심으로 분석으로 진행하는 것이 목적이다. 북한에 거주하던 당시 월경 경험을 하면서 가장 불편했던 사항은 관련 용품과 지식 부족 문제이다. 월경 용품과 위생 시설의 부족은 월경을 놀림의 대상으로 만들고, 여성이 ‘부끄러운’ 감정을 느끼도록 강제한다. 이러한 감정으로 인해 ‘감추기’ 행동을 지속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의 열악한 경제 상황이 기존 남성 중심 사회에서 나타나는 월경 관련 부정적인 태도를 강화하는데 영향 미치는 상황을 경험 재구성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북한의 ‘월경 건강권’ 4대 필수 요소 분석을 살펴본 결과 가용성, 접근성, 수용성, 품질 모든 요소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난다. 국가가 월경 관련 기초적인 시설·재화·서비스를 제공하지 못 하는 상황에서 개인이 월경 경험을 온전히 감당해 내고 있다. 이는 ‘월경 건강권’ 보장을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드는 상황을 의미한다. 제3국의 월경 경험의 특징은 북한에서 경험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공간이었다. 월경 관련 용품의 품질은 훨씬 더 좋은 환경이지만 ‘북한이탈’ 이라는 불안정한 상황 때문에 월경을 할 때 열악한 여건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제3국에서 용품은 북한보다 발전했지만 월경하는 여성을 ‘무시’ 하고 ‘차별’ 하는 상황이 계속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제3국의 ‘월경 건강권’ 필수 요소 분석을 살펴본 결과, 탈북 과정에서는 신변이 불안정한 상황이기 때문에 가용성, 접근성, 수용성, 품질이 취약한 상태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 시설·재화·서비스를 국가에 요청할 수도 없는 상황이고 스스로 해결하려고 하더라도 ‘탈북’ 상황을 고려했을 때 ‘월경 건강권’ 보장이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에서 친척의 보호를 받으며 비교적 안전한 상황에서 체류한 경우라면 가용성, 접근성, 수용성, 품질은 북한에서 보다 나은 상황이라고 하겠다. 다만 수용성에서 취약성이 나타나는데 북한에서 습득한 지식과 정보의 영향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용성의 취약성은 품질에도 영향을 준다. 한국에서 월경 경험은 용품, 시설, 교육, 정보, 사회적 분위기가 북한, 제3국의 공간과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북한과 제3국에서 경험한 월경과 달리 용품이나 시설을 언제 어디서든 구할 수 있고, 원하면 다양한 수단과 방법을 통해 관련 교육과 정보를 접하는 것이 가능한 환경이라고 면담 대상자는 설명하였다. 그리고 주변 사회 분위기도 월경을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여기고 있어 긍정적 인식을 만드는데 많은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임신의 기능에만 한정해서 보던 월경을 여성 ‘건강’ 측면으로 확대하는 모습도 면담 과정에서 드러난다. 하지만 북한에서 습득한 잘못된 정보, 다양한 선택권과 방대한 정보에 사전 교육 없이 노출된 결과 월경 관련 용품을 잘못 사용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낯선 환경으로 스트레스를 받아 월경 관련 이상을 겪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월경 이상 문제가 발생하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관련 인식이 부족해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 치료하거나 그냥 참는 사례도 많았다. 그러나 한국 내에서 변화 가능성이 충분히 높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한국에서 ‘월경 건강권’ 필수 요소 분석을 살펴본 결과 북한, 제3국과 비교했을 때 취약성을 가지는 부분은 없었다. 하지만 수용성과 정보 접근성 관계를 살펴보면 남성 면담 대상자의 경우 여전히 북한, 제3국에서 영향을 받아 월경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용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정보 접근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자발적인 의사 없이는 수용성 개선에 어려움이 있는 것을 분석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여성 면담 대상자의 경우에도 대부분의 경우 한국에서 월경 경험에 대한 만족감이 높았지만 용품에 대한 정보 부족과 여성 건강 관련 지식의 부족으로 ‘월경 증후군’ 같은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도 있었다. 이 경우 한국의 시설·재화·서비스의 가용성, 접근성, 품질 높은 상황을 고려해 개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한국에서 ‘월경 건강권’은 앞서 경험한 북한, 제3국에 비해 보장 수준이 월등히 높지만 이들의 기존 경험을 이해하고 ‘월경 건강권’ 향유 차원을 한 단계 높이는 시도가 필요하다. 월경 관련 지식과 정보를 왜곡된 상태로 가지고 있으면 본인뿐만 아니라 함께 사는 가족 구성원과 주변 사람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좁게 ‘월경 건강’ 문제이고, 넓게 ‘여성 건강’ 문제로 확장이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월경 건강권’ 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여성 월경 교육뿐만 아니라 신체 이해도를 높이는 교육도 함께 진행해야 할 것이다. 지역이 변화하면서 월경 용품과 시설의 발전, 교육과 정보의 발달, 인식 개선 등이 이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북한에서 체화한 부정적인 월경 태도가 그대로 이어지는 경향도 찾아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월경 형평성” 논리에서 주장하는 ‘안전하고 자유롭게 월경할’ 권리가 3개 유형의 공간 중 한국에서 유일하게 지켜지는 상황이다. 북한 여성과 아직 제3국에 거주하는 탈북 여성이 기본적인 ‘월경 건강권’ 보장 수준을 높여 궁극적으로 ‘건강권’ 확보를 목표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